[표준 발음법의 이해]

단어와 단어 사이에 나타나는 발음 현상

최혜원(崔惠媛) / 국립국어원


  우리는 단어 하나만으로 자신의 의사를 충분히 잘 전달할 수 있을 때가 있다. 그러나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단어 몇 개가 결합한 문장을 주고받으며 의사를 소통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어를 제대로 발음하기 위해서는 단어 하나하나의 발음을 정확히 하는 것뿐만 아니라 단어와 단어 사이에 일어나는 음운 변화 또한 익히고 발음하여야 한다.
  표준 발음법에 나오는 다양한 음운 현상은 적용 범위가 단어일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단어와 단어 사이에 적용되는 음운 현상에 대한 설명도 곁들이고 있다.
(1) 옷 한 벌[오탄벌] 꽃 한 송이[꼬탄송이] 낮 한때[나탄때]
(2) 밭 아래[바다래] 늪 앞[느밥] 꽃 위[꼬뒤]
넋 없다[너겁따] 닭 앞에[다가페]
  (1)과 (2)는 받침소리가 단어 단위를 넘어 뒤에 오는 소리와 연결되어 어떻게 발음하는지에 관한 예인데 (1)은 ‘ㅎ’의 앞뒤에 장애음(ㄱ, ㄷ, ㅂ, ㅈ)이 올 경우 ‘ㅎ’이 앞뒤 소리와 결합하여 거센소리(ㅋ, ㅌ, ㅍ, ㅊ)로 바뀌게 되는 예들이다. 단어의 예로는 ‘놓고’, ‘쌓지’, ‘각하’, ‘맏형’ 등이 있다. (2)는 ‘겉옷’, ‘헛웃음’, ‘맛없다’와 같이 받침이 뒤에 오는 모음에 그대로 연결되지 않고 받침의 대표 소리(ㅋ→ㄱ, ㅅ· ㅈ· ㅊ· ㅌ →ㄷ, ㅍ→ㅂ)로 난 다음 그 뒤 소리와 연결되는 경우이다. 물론 특별히 ‘한 벌’이나 ‘한 송이’, ‘아래’나 ‘위’를 강조하고 싶을 때에는 앞의 받침소리는 뒤의 말과 연결되지 않고 끊어서 읽게 된다. (옷 한 벌[옫//한벌], 꽃 한 송이[꼳//한송이], 밭 아래[받//아래], 꽃 위[꼳//위])
(3) 책 넣는다[챙넌는다] 흙 말리다[흥말리다] 옷 맞추다[온마추다]
밥 먹는다[밤멍는다] 값 매기다[감매기다]
 &Nbsp;우리말에서 받침 ‘ㄱ, ㄷ, ㅂ’ 소리는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된다. 단어의 예로는 ‘국물[궁물], 옷맵시[온맵씨], 꽃망울[꼰망울], 앞마당[암마당]’이 있는데 (3)의 예처럼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발음의 변화를 겪는다.
(4) 할 것을[할꺼슬] 갈 데가[갈떼가] 할 바를[할빠를]
갈 곳[갈꼳] 할 도리[할또리] 만날 사람[만날싸람]
  (4)의 예는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이 된소리가 되는 경우이다. 된소리되기의 예는 이러한 관형사형이 수식하는 명사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이 한 단위로 묶이는 단어의 연속에서도 볼 수 있다.
(5) 미역국 대신[때신] 감자국을 끓였어요.
마지막 강의를[깡의를/깡이를] 마칩니다.
  표준 발음법에서는 단어와 단어 사이에 일어나는 ‘ㄴ’ 소리 첨가 현상에 대해서도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6) 한 일[한닐] 먹은 엿[머근녇] 서른 여섯[서른녀섣] 옷 입다[온닙따]
할 일[할릴] 먹을 엿[머글렫] 스물 여섯[스물려섣] 잘 입다[잘립따]
  이 경우에도 특별히 끊어서 뒤의 말을 강조하고 싶을 때에는 ‘ㄴ’ 소리가 첨가되지 않지만(‘옷 입다’나 ‘잘 입다’ 같은 경우는 [오딥따], [자립따]와 같이 발음한다.) 관형형 어미가 연결되는 경우나 만 단위로 묶여지는 숫자의 경우 한 단위로 발음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예외 없이 ‘ㄴ’ 소리를 첨가하여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