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의 이해]

준말의 표기

양명희(梁明姬) / 국립국어연구원


  준말은 단어의 일부가 줄어든 말로 문어보다는 구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그 중에는 표기가 가능하지 않은 말도 있는데, 예를 들면 ‘바뀌었다’나 ‘사귀었다’를 빨리 말할 때 3음절로 줄여 말하지만 이를 표기할 문자가 한글에 없기 때문에 줄임말을 우리는 표기하지 않는다.(‘바꼈다, 사겼다’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발음과는 동떨어진 표기이며, 만약 표기를 한다면 ‘ㅟ’와 ‘ㅓ’를 줄인 문자(ㅜㅕ)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는 한글맞춤법 자모에 없는 글자이기 때문에 사용이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은 준말을 표기에 반영하고 있으며 오히려 준말의 표기는 분명한데 이 말이 어디서 온 것인지 금방 알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준말의 몇 예를 같이 보기로 하자.

(1) 가. 걔, 얘, 쟤
나. 게서, 예서, 제서
다. 이럭하다, 어떡하다, 고럭하다, 조럭하다
라. 골고루, 갈가리, 갈갈이, 낄끼리
마. 인마

  (1가)의 ‘걔, 얘, 쟤’는 ‘그 아이, 이 아이, 저 아이’가 줄어든 말이고 (1나)의 ‘게서, 예서, 제서’는 ‘거기에서, 여기에서, 저기에서’가 줄어든 말이다. (1다)는 ‘이렇게 하다, 어떻게 하다, 고렇게 하다, 조렇게 하다’가 줄어든 말로 ‘ㄱ’ 받침 대신 ‘ㅎ’을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1라)의 ‘골고루, 갈가리, 갈갈이, 낄끼리’는 ‘고루고루, 가리가리, 가을갈이, 끼리끼리’가 줄어든 말로 대부분의 화자들은 준말인지 모르고 사용하고 있다. (1마)의 ‘인마’는 ‘이놈아’의 준말로 풀이되어 있다.
  또 ‘가지어다’와 ‘어디에다’가 줄어든 다음 말도 줄기 전의 말이 무엇인지에 대해 사전마다 조금씩 다른 정보를 주고 있어 준말과 본디말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드러내 준다.

(2) 가. 갖다 ‘가지어다’가 줄어든 말. ∥집 마당과 부엌에 동네 가마솥을 있는 대로 다 갖다 걸어 놓고 고방에 잔뜩 쌓인 쌀을 내어 밥을 짓고 멱서리에 퍼 담아, 관덕정 마당으로 져 날랐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나. 얻다 ‘어디에다’가 줄어든 말. ∥나는 할머니가 돈을 얻다 감춰 두나를 알고 있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얼굴만은 얻다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것 같았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사전에는 우리가 생각지도 않은 준말이 표제어로 올라 있기도 하다.

(3)

애최, 근데

  ‘애최’는 ‘애초에’가 줄어든 말이고 ‘근데’는 ‘그런데’의 준말로 사전에 올라 있다.
  최근에 ‘무어’가 줄어든 말로 ‘뭐’ 대신에 ‘모’를 사용하는 경우를 보는데(*모가(->뭐가) 잘못되었다는 거예요?) 이는 잘못된 표기이다. 비록 발음은 ‘모’에 가깝게 나고 있지만 이는 ‘뭐’의 이중모음을 제대로 발음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표기는 ‘뭐’로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