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발음법의 이해]

‘신다’와 ‘신도[靴]’

최혜원(崔惠媛) / 국립국어연구원

  체언과 조사가 만날 때,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만날 때에 분절음 사이에 일어나는 음운 변화가 있다. 된소리되기도 그 하나의 예이다.
  받침 ‘ᄀ, ᄃ, ᄇ’ 소리 뒤에 연결되는 ‘ᄀ, ᄃ, ᄇ, ᄉ, ᄌ’는 된소리로 발음한다. 이는 체언 어간과 결합하는 조사나 용언과 결합하는 어미 두 경우 모두에 적용된다.

(1) 떡도, 집도, 옷도, 낮도, 밖도, 흙도, 값도
(2) 먹고, 믿지, 입거나, 웃다, 찾고, 깎지
  받침 소리 ‘ᄀ, ᄃ, ᄇ’가 ‘ᄂ, ᄆ’ 앞에서 [ᄋ, ᄂ, ᄆ]로 비음화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떵만], [짐만], [온만]처럼 [멍는], [임는], [운는]도 어김없이 비음화가 일어난다.
(3) 떡만, 집만, 옷만, 밭만, 앞만, 넋만, 삶만, 값만
(4) 먹는, 입는, 웃는, 찾는, 깎는, 믿는
  그러나 위의 예와는 달리 체언과 용언이 다르게 행동할 때가 있다. 용언의 경우 어간 받침 ‘ᄂ(ᆬ), ᄆ(ᆱ)’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ᄀ, ᄃ, ᄉ, ᄌ’가 된소리로 발음되는데 체언의 경우는 비음 뒤에 오는 소리가 된소리로 바뀌지 않는다. ‘신다’와 ‘신도[靴]’, ‘넘고’와 ‘마음과’는 ‘ᆫ’와 ‘ᆮ’, ‘ᆷ’와 ‘ᆨ’의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앞에 오는 말이 용언의 어간이냐 체언이냐에 따라 (5)처럼 뒤의 소리가 된소리가 되기도 하고 (6)처럼 그냥 예사소리로 발음하기도 한다.
(5) 신다, 신고, 넘다, 넘고, 젊다, 앉다, 앉고, 젊고
(6) 돈과, 돈도, 마음과, 마음도
  또한 어간 받침 ‘ᆲ, ᆴ’ 뒤에 결합하는 어미의 첫소리 ‘ᄀ, ᄃ, ᄉ, ᄌ’은 된소리로 발음되지만 체언의 받침 ‘ᆲ, ᆳ’ 뒤에서는 된소리로 바뀌지 않는다. ‘여덟과, 여덟도, 곬도’는 [여덜과], [여덜도], [골도]와 같이 예사소리로 발음해야 하는 것이다.
(7) 넓고, 핥다, 훑소, 떫지
(8) 여덟과, 여덟도, 곬도
  체언과 용언은 이 외에도 소리 길이의 변화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명사의 경우 (9)에서 보듯이 첫 음절에 긴소리가 올 때 명사와 결합하는 조사가 모음으로 시작하든 자음으로 시작하든 관계없이 소리의 길이를 유지하지만 대부분의 용언은 (10)처럼 자음 어미와 결합할 때 유지되던 긴소리가 모음 어미 앞에서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9) 눈:이, 눈:도, 눈:만 / 말:을, 말:밖에, 말:에서 / 밤:이, 밤:과, 밤:까지
(10) 감:고, 감으니 / 밟:지, 밟아 / 신:다, 신어 / 알:면, 알아
  물론 용언의 어간이 두 음절 이상인 경우 첫 음절이 어미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어미에 따라 첫 음절이 짧게 발음하는 경우는 없다. (더:러워, 기:다래, 줴:박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