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의 이해]

고정희의 시 “땅의 사람들 9 --사랑”

김옥순(金玉順) / 국립국어연구원

  ①월정사 부처님처럼/ ②마음을 비우고 잠드는 밤에 /③마음 저켠 벌판에서 비가 내렸습니다/ ④여리게 혹은 강하게 비가 내렸습니다/ ⑤눈물보다 투명한 그 빗방울들은/ ⑥삽시간에 하늘의 절반을 적시고/ ⑦오대산 구상나무 숲을 적시고/ ⑧우수수 우수수수수/ ⑨부처님 발목 밑에 내려와/ ⑩잠들지 못하는 새벽 풀잎 옆에/ ⑪오랑캐꽃으로 피었습니다/ ⑫은방울꽃으로 피었습니다/ ⑬초롱꽃으로 피었습니다/ ⑭바늘꽃, 두루미꽃으로 피었습니다/ ⑮사랑꽃, 이슬꽃으로 피었습니다/ 아....../ 신록으로 꽉찬 오월 언덕에서/햇빛 묻은 미루나무 몇 그루/아름다운 이별처럼 손 흔들고 있었습니다  
  (“땅의 사람들 9 --사랑”, 『지리산의 봄』, 문학과지성사, 1994)

  고정희(1948〜1991)의 시 “땅의 사람들 9−사랑”를 읽으면 오대산 월정사에 퍼지는 봄의 교향악이 들리는 듯하다. 그런데 그 봄의 교향악은 이 짧은 시 속에서 월정사 부처님과 말하는 이(시적 화자), 시간의 이동(밤→새벽→아침), 공간의 수직적 이동(하늘→숲→풀잎)과 같은 여러 가지 악기들이 연주하는 장엄하고도 비극적인 하모니 속에 잘 나타난다.
  시 속에서 말하는 이는 마음을 비우고 잠이 든다. 왜 마음을 비웠을까? 부처님 곁에 오니까 저절로 마음이 비워졌을까? 아니면 자신의 슬픔을 월정사 부처님께 의지하여 마음을 비우려고 노력하는 것일까? 아마 후자일 듯 싶다. 편안하게 마음을 비우고 잠이 든 상태라면 눈물을 흘리면서 잠을 청하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시인의 눈물과 비교되는 밤비는 오대산에 큰 사건을 일으키는데 밤비는 다음과 같은 시간 이동의 일부이다. “②마음을 비우고 잠드는 밤→⑩잠들지 못하는 새벽 풀잎 옆→⑱햇빛 묻은 미루나무”와 같이 뒷말을 꾸며주는 가운데 ‘밤→새벽→해 뜬 아침’으로 전개된다.
  말하는 이는 흥미롭게도 “①월정사 부처님처럼/ ②마음을 비우고 잠드는 밤에”에서 나타나듯이 부처님과 자신을 비교하고 있다.

비유하는 것) 월정사 부처님 ------┊------- 말하는 이(비유되는 것) 
공(空) 사상을 가지고  ------┊------- 마음을 비우고 잠드는 밤 
오대산 벌판에  ------┊------- 마음 저켠 벌판에 
비가  ------┊------- 눈물이 
부처님 발목 밑으로  ------┊------- 내가 잠들지 못하는 동안 
새벽 풀잎옆(땅)에  ------┊------- 사랑(꽃), 이슬(꽃)로 
오랑캐꽃, 은방울꽃, 초롱꽃, 바늘꽃, 두루미꽃으로  ------┊------- 피었다 
                          
  월정사 부처님과 말하는 이와의 이런 관계를 단순화하면 다음과 같다.
월정사 부처님의  --------------- 나(말하는 이)의 
┆  ╳  ┆ 
오대산 꽃  ---------------- 사랑  

  월정사 부처님이 오대산에 꽃을 피우듯 나는 이 세상에 사랑을 피우고 싶다. 그렇지 못해서 나는 밤새 눈물을 흘린다. 이 관계를 유추하자면, 나의 꽃은 사랑이고 월정사 부처님의 사랑은 오대산에 피는 꽃이다. 내가 밤새 눈물을 흘리며 이기적인 개인의 사랑을 큰 사랑으로 정리하는 동안 월정사 부처님은 밤새 오대산에 비를 내려 “⑰신록으로 꽉찬 오월 언덕”을 이룩하셨다. 이 놀라운 축복! 그것은 말하는 이가 피운 눈물의 사랑꽃, 이슬꽃이기도 하다. 세상 일은 결코 대가 없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부처님이 이기적인 마음을 비우고(공사상) 만물에게 비를 내려 오월의 언덕을 신록으로 채우듯이, 말하는 이도 자신만의 사랑을 비우고 부처님과 더불어 타인에 대한 사랑꽃, 이슬꽃을 피우기로 한 것이다. 부처님이 피우신 오대산의 꽃은 부처님 혼자서 피운 것이 아니라 밤새 눈물을 흘리며 자신을 비우고 큰 마음, 큰 사랑으로 타인을 대하기로 한 말하는 이의 희생이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⑰신록으로 꽉찬 오월 언덕에서/ ⑱햇빛 묻은 미루나무 몇 그루/ ⑲아름다운 이별처럼 손 흔들고 있었습니다”란 표현이 이해되는 것이다. 신록으로 꽉 찬 모습이 왜 이별로 느껴지는가? 오대산에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부처님이 자신을 비워야 하듯이 말하는 이가 공동체를 위한 사랑을 피우기 위해서는 말하는 이에게 아름다운 이별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