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의 이해]

문학 작품과 방언

이태형(李 太 永) / 전북대학교

  작가가 작품에서 자기 고향의 방언을 사용하는 것은 상당한 모험이다. 고향 사람이 아니고서는 발화의 뉘앙스, 발화가 주는 다양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김소월과 백석, 서정주 등 유명한 시인의 시에서 보면 일반 독자들이 알기 힘든 방언을 구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자는 모험을 한다. 그 모험이 오히려 작품의 배경을 묘사하고, 작중 인물의 성격을 뚜렷이 규정짓고, 사실적인 현장성을 얻는 데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방언과 표준어의 의미 차이의 한 예는 ‘겁나게’에서 찾을 수 있다. 국어사전에서 ‘겁나게’는 부사로서 ‘매우, 아주’의 뜻을 가진 전라도와 충청남도의 방언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방언에서는 이 뜻과 더불어 ‘사람들이 겁나게 모여가꼬 일을 허도만.’이란 말에서 보는 것처럼 ‘많이’라는 뜻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방언 어휘의 의미 차이를 표준어가 감당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따라서 작가들이 개인이 겪은 문화와 전통과 의미를 세밀히 묘사하기 위하여 표준어보다는 방언 어휘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일일 것이다.
  작가 최명희의 <혼불>에는 형용사 ‘고실고실하다’는 말이 여러 번 나온다. 작가이기 때문에 표준어와 방언을 충분히 구별할 수 있는데도 표준어인 ‘고슬고슬하다’는 전혀 쓰지 않고 지문과 대화문에서 모두 ‘고실고실, 고실고실하다’를 쓰고 있다.

이렇게 고실고실한 비단·명주의 현란한 색깔들을 만지고 <혼불4,83>
연꽃물 먹은 종이들은 어느새 고실고실 말라서 <혼불9,32>

  작가는 표준어인 ‘고슬고슬하다’와 방언인 ‘고실고실하다’가 주는 음상의 차이를 느꼈을 것이다. 작가 최명희는 ‘발그롬하여, 발그로옴, 볼그롬한, 볼고로옴해’를 섞어서 사용하고 있는데 같은 뜻을 가진 단어를 쓸 때도 모음의 차이와 장음의 차이가 주는 의미 차이를 느끼면서 글을 쓴 것으로 보인다.
  작가들은 표준어와 대응되는 방언형을 구사할 수 있는데, 방언형의 경우에도 화자에 따라서 음상의 차이를 두고 있는 게 특징적이다. ‘저절로/제절로/지절로’, ‘남기고/냉기고/넹기고’, ‘잡우댕기고/잡어땡기고’, ‘아무렇게나/아무케나/암칙게나’ , ‘아고매/아이고매/하이고매/아앗따매’, ‘아무껏도/암껏도’, ‘이렇게는/요렇게는/그렇게는/고렇게는’, ‘저렇코롬/고렇코롬/그렇코롬’ 등이 그런 예인데 동일하거나 유사한 뜻의 어휘를 다양하게 구사하여 그때그때의 정서적 차이를 잘 나타낼 수 있다.
  작가들은 왜 이처럼 음상의 차이까지 고려하면서 방언을 선택하여 쓰는 것일까?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방언의 어휘에는 작가의 경험이 묻어 있는데, 경험을 되살리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자기가 쓰고 듣고 말하던 토착 언어를 사용하여 묘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방언은 그 당시의 상황이 배어 있는 말이기 때문에 작가는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방언을 사용한다. 작품을 연구할 때, 방언의 어휘가 주는 이러한 미세한 뉘앙스를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작가 최명희는 ‘언어는 정신의 지문’이라는 글에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나는 모국어의 모음과 자음이 어우러져 빚어내는 울림과 높낮이, 장단을 사랑하여 이 말의 씨를 이야기 속에 뿌리는 사람일 것이다.”
  우리는 최명희가 한국어와 지역 방언이 갖는 억양, 리듬감, 음의 고저장단, 음상 등을 깊이 이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지역 방언들이 서로 차이를 보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울림과 높낮이, 장단’이다. 이 요소가 있음으로 해서 경상도 방언, 전라도 방언, 충청도 방언이 각기 그 특징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방언이 갖는 깊은 층위의 다양한 특징들 때문에 작가들은 방언을 사용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