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 표현의 이해]

같은 뜻을 나타내는 관용 표현

김 한 샘 / 국립국어연구원

  일반 단어들 사이에 동의 관계가 성립하듯이 두 개 이상의 관용 표현이 같은 뜻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런데 관용 표현은 두 개 이상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성 요소를 비슷한 말로 바꾸어 전체 관용 표현이 같은 뜻을 나타내게 되는 경우가 많다.

(1) ㄱ. 길재는 조선 초기에 성리학의 씨를 뿌린 학자이다.
ㄴ. 길재는 조선 초기에 성리학의 씨앗을 뿌린 학자이다.
(2) ㄱ. 김 형사가 집요한 수사 끝에 박 사장의 탈을 벗겼다.
ㄴ. 김 형사가 집요한 수사 끝에 박 사장의 가면을 벗겼다.
(3) ㄱ. 창고 속에서 썩고 있던 물건이 이제야 임자를 만났구나.
ㄴ. 창고 속에서 썩고 있던 물건이 이제서야 주인을 만났구나.
(4) ㄱ. 동생은 형한테 장난감을 빼앗기고는 입을 내밀었다.
ㄴ. 동생은 형한테 장난감을 빼앗기고는 주둥이를 내밀었다.
  위의 (1~4)은 같은 뜻을 나타내는 관용 표현 쌍의 예이다. 이들은 모두 구성 명사가 관련 있는 단어이다. (1)의 씨와 씨앗처럼 두 명사가 거의 모든 경우에 바꾸어 쓸 수 있는 비슷한 말인 경우도 있고 (2), (3)의 '탈-가면', '임자-주인'처럼 고유어와 한자어 쌍인 경우도 있다. (4)의 '입을 내밀다'와 '주둥이를 내밀다'가 둘 다 토라진 모양을 나타내지만 '주둥이'는 '입'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므로 '주둥이를 내밀다'는 낮잡아 이르는 뜻이 있다.
(5) ㄱ. 선생님은 늦게까지 남아서 공부하는 제자들의 어깨를 두드려 주셨다.
ㄴ. 선생님은 늦게까지 남아서 공부하는 제자들의 어깨를 두들겨 주셨다.
(6) ㄱ. 경찰이 출동한 것은 강도가 아미 꼬리를 감춘 뒤였다.
ㄴ. 경찰이 출동한 것은 강도가 이미 꼬리를 숨긴 뒤였다.
(7) ㄱ. 김 선생님은 신세를 지고 그렇게 입을 닦을 분이 아닙니다.
ㄴ. 김 선생님은 신세를 지고 그렇게 입을 씻을 분이 아닙니다.
ㄷ. 걸레로 바닥을 닦았다.
*ㄹ. 걸레로 바닥을 씻었다.
  (1~4)와 달리 (5~7)은 구성 동사가 관련 있는 단어들이다. (5)의 '두드리다'와 '두들기다', (6)의 '감추다'와 '숨기다', (7)의 '닦다'와 '씻다' 등은 모두 비슷한 뜻을 나타내는 단어들이며 이들로 구성된 (5~7)의 관용 표현들도 모두 같은 뜻을 나타낸다. (7ㄷ~ㄹ)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닦다'와 '씻다'를 항상 바꾸어 쓸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입'과 함께 쓰여 '이익 따위를 혼자 차지하거나 가로채고서는 시치미를 떼다'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바꾸어 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