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 표현의 이해]

관용 표현의 우회적 용법

김 한 샘 / 국립국어연구원

   관용 표현은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어울려 쓰이며 대부분 같은 형태의 직설적인 표현이 존재하기 때문에 문맥을 파악해야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힘들거나 속된 말을 할 때 관용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부정적인 내용을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어떤 이의 죽음을 다른 사람에게 전할 때 ‘누가 죽다’, ‘어느 분이 돌아가시다’라고 직접적으로 말할 수도 있지만 관용 표현을 쓰면 완곡하게 표현할 수 있다.

(1) ㄱ. 김 박사는 아들에게 유언을 남기고 눈을 감았다.
ㄴ. 모두 가만히 앉아서 눈을 감으세요.
(2) ㄱ. 그는 사랑하는 가족들을 뒤로하고 잠이 들었다.
ㄴ. 피곤해서 눕자마자 금방 잠이 들었어요.
(3) ㄱ. 내가 숟가락을 놓기 전엔 너희들 결혼 허락 못한다.
ㄴ. 할머니는 밥맛이 없으신지 금방 숟가락을 놓으셨다.
(4) ㄱ. 요단강 건넌 후엔 다 소용없는 것이니 너무 욕심 부리지 말게.
ㄴ. 적군이 요단강을 건너 진격해 왔다.
(5) ㄱ. 요새 몸 상태로 봐서는 천당에 갈 날이 멀지 않은 것 같아.
ㄴ. 난 지은 죄가 하도 많아서 죽어서 천당 가기는 힘들 거야.
(6) 아버님은 5년 전에 유명을 달리하셨습니다. (※유명(幽明): 저승과 이승을 아울러 이르는 말)
   (1~5ㄱ)과 (6)의 ‘눈을 감다, 잠이 들다, 숟가락을 놓다, 요단강을 건너다, 천당에 가다, 유명을 달리하다’는 모두 ‘죽다’의 의미를 나타내는 관용 표현이고, (1~5ㄴ)은 같은 표현이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쓰인 예이다.‘눈을 감다, 잠이 들다, 숟가락을 놓다’는 모두 ‘죽음’이 동반하는 신체적 변화에 빗대어 ‘죽다’의 의미를 표현한 것이다. 사람이 죽으면 잠이 든 것처럼 눈을 감게 되고 더 이상 숟가락을 들어 밥을 먹을 수 없게 된다. 한편 ‘요단강을 건너다, 천당에 가다, 유명을 달리하다’는 산 사람은 알 수 없는 사후 세계를 염두에 둔 표현이다. 그것이 ‘요단강 건너편’이든 ‘천당’이든 ‘저승’이든 사람이 죽으면 우리와 같은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것은 분명하다.    ‘죽음’과 마찬가지로 직접적으로 말하기 꺼려하는 것 중 하나가 남녀 관계이다.
(7) ㄱ. 영희는 새로 온 과장에게 꼬리를 쳤다.
ㄴ. 집에 들어서자 강아지가 반갑다고 꼬리를 쳤다.
(8) ㄱ. 김 선생과 박 선생이 눈을 맞추는 것 같더니 다음 달에 결혼한대요.
ㄴ. 엄마가 아기와 눈을 많이 맞추는 것이 좋대요.
(9) ㄱ. 같은 팀에서 일하면서 전기가 통했는지 요새 다정해 보이네요.
ㄴ. 전기가 밖으로 통하지 않도록 테이프로 잘 감아 놓아라.
   (7ㄱ)의 ‘꼬리를 치다’는 주로 여자가 남자에게 적극적으로 좋아하는 감정을 나타낼 때 쓴다. (8~9ㄱ)의 ‘눈을 맞추다’와 ‘전기가 통하다’는 남자와 여자가 서로 좋아해서 사귀는 것을 뜻한다. ‘눈이 맞다’도 (8~9ㄱ)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