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의 이해]

햅쌀과 햇살

정 호 성(鄭 虎 聲) / 국립국어연구원

   우리말에서 ‘그해에 난 어떤 것’을 가리킬 때는 주로 접두사 ‘햇-/해-’가 쓰인다. ‘햇감자, 햇과일, 햇곡식, 햇나물, 햇병아리, 햇솜’과 같이 어떤 명사의 첫음절이 ‘햇-/해-’ 뒤에서 된소리로 변하거나 ‘ㄴ’ 소리가 덧날 때는 ‘햇-’을 쓰고, ‘해콩, 해팥’과 같이 발음에 변화가 없으면 ‘해-’를 쓰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해에 새로 난 쌀’을 가리키는 말은 무엇일까? 흔히들 그 말을 [해쌀/핻쌀]로 말하고 ‘*햇쌀’로 적는 경우가 있으나 잘못이다.(‘[ ]’속은 표기가 아니라 발음임을 나타냄.) 우리말에서 [해쌀/핻쌀]로 소리 나는 말은 ‘해가 내쏘는 광선’을 뜻하는 ‘해(日) + ㅅ(사이시옷) + 살’로 이루어진 말이므로 ‘햇살’로 적어야 한다.
   ‘그해에 새로 난 쌀’을 가리키는 말은 바로 [햅쌀]이다. 이 말에는 ‘해-/햇-’과 ‘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ㅂ] 소리가 들어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왜 유독 이 말에서만 [ㅂ] 소리가 덧날까? 그리고 [햅쌀]을 한글 맞춤법에 맞게 쓰려면 어떻게 써야 할까?
   먼저, 한글 맞춤법 제31항을 보면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ㅂ‘ 소리나 ’ㅎ‘ 소리가 덧나는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고 하였으므로 [햅쌀]은 ‘햅쌀’로 적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러고 보면 ‘쌀’이 뒤에 들어간 복합어에서 유난히 [ㅂ] 소리가 많이 덧나고 있음을 다음 예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는 잘못임을 나타냄)

(1)  ㄱ.  멥쌀(*메쌀) ∼ 메밥, 메벼, 메밀, 메조   ※메- : (접두사) 찰기가 없는
ㄴ.  입쌀(*이쌀) ∼ 이밥   ※이(<니) : 예전에 ‘메벼, 입쌀’을 뜻하던 말.
ㄷ.  좁쌀(*조쌀) ∼ 조밥   ※조 : (명사) 곡식의 하나(粟)
ㄹ.  찹쌀(*찰쌀) ∼ 찰밥, 찰옥수수, 차조   ※찰- : (접두사) 끈기가 많은
ㅁ.  햅쌀(*해쌀) ∼ 햇감자, 햇과일, 햇나물   ※햇- : (접두사) 그해에 난 

   ‘메밥, 조밥, 찰옥수수, 햇과일’등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ㅂ] 소리가 왜 ‘쌀’과 결합한 말에서만 나타나는 것일까? 그것은 ‘쌀’의 옛말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쌀’은 다음과 같이 옛 문헌에서 ‘’로 나타난다.

(2)   ㄱ.  그 짓 리  가져 나오나≪석보상절(1447) 6:14≫ 
ㄴ.  나날 太倉앳 닷됫  내야≪두시언해(1481) 초간본 15:37≫
ㄷ. 양 아마다 두 줌  드리라 야 쥭 먹 시 고≪번역소학(1517) 7:14≫ 

   문헌에 나타난 ‘’[米]은 [s'Λl]이 아니라 [psΛl]을 나타낸 것으로 초성으로 쓰인 ‘ㅄ’은 소위 어두자음군이었다. 어두자음군이란 인구어의 ‘strike, spring, break, cry, play’처럼 단어의 첫머리에 자음이 둘 이상 연속되는 것을 말한다. 현대국어에서는 어두자음군을 찾아볼 수 없으나 옛말에서 ‘米’의 뜻을 나타내는 ‘’은 단어의 첫머리에 자음 두 개가 연속되었던 것이다. 이 ‘’이 ‘니, 조ㅎ(粟), ’ 등과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이 바로 ‘입쌀, 좁쌀, 햅쌀’이다.

(3)   ㄱ.  니 +     → 니 > 입쌀  
ㄴ.  조ㅎ +  → 조 > 좁쌀
ㄷ.   +     →  > 햅쌀  

   옛말의 ‘’은 어두의 [ㅂ] 소리가 사라지면서 현대국어의 ‘쌀’로 변화했지만 ‘입쌀, 좁쌀, 햅쌀’과 같은 복합어 속에서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한글 맞춤법에서는 바로 이 [ㅂ] 소리를 반영하여 ‘입쌀, 좁쌀, 햅쌀’과 같이 ‘ㅂ’을 밝혀 적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두 말이 어울릴 적에 [ㅂ] 소리가 덧나는 말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더 있다.

(4)  ㄱ.  댑싸리      ← 대(竹) + 리(>싸리(荊)  ㅁ.  부릅뜨다   ← 브르- + -(>뜨-(開))
ㄴ.  볍씨         ← 벼(禾) + (>씨(種))   ㅂ.  휩쓸다      ← 휘- + -(>쓸-(掃))
ㄷ.  입때/접때 ← 이/저 + (>때(時)) ㅅ.  휩싸다      ← 휘- + -(>싸-(包))
ㄹ.  몹쓸         ← 몯(>못) + -(>쓰-(用)) + -ㄹ(관형사형 어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