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발음법의 이해]

연음 범칙의 예외

김 선 철(金 銑 哲) / 국립국어연구원

    지난 호에는 표준어의 연음 법칙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표준어의 연음 법칙은 맞춤법에 잘 반영되어 있어서 받침 글자를 다음에 나오는 모음의 초성으로 이용하면 된다. 그런데 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여기에 예외가 되는 몇 가지 것이 있다.
    먼저 겹받침 ‘ㄹㅅ’의 연음에서 ‘ㅅ’의 발음은 ‘ㅆ’이 된다. 즉 ‘곬이’는 [골씨], ‘물곬으로’는 [물꼴쓰로]로 발음해야 한다.
    두 번째, 접미사는 종류에 따라서 연음 법칙을 따르기도 하고 따르지 않기도 한다. 예를 들어서 부사화 접미사 ‘ -이’가 ‘없-’에 붙을 때는 전체가 [업:씨]로 발음된다. 그런데 접미사로 사전에 올라 있지만 단어적 격이 강한 ‘ -어치’는 ‘값어치[가버치]’처럼 절음 법칙의 적용을 받는다.
    세 번째, 받침 ‘ㄷ, ㅌ’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굳이[구지], 밭이[바치]’처럼 구개음화가 일어난다. 그런데 절음 법칙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는 연음 법칙과 상통하는 면이 있다.
    네 번째, 한글 자모 가운데 자음의 이름에 쓰이는 마지막 받침 글자를 그 다음 모음에 바로 이어서 발음하는 것은 그릇된 발음이다. 한글 자음의 이름은 맨 처음과 맨 끝에 그 소리가 들어 가고, 그 사이에 모음 ‘이으’가 끼어 들도록 지어졌다. 물론 ‘기역’ , ‘디귿, 시옷’등은 여기에 대해 예외이다.

(1)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
(쌍기역, 쌍디귿, 쌍비읍, 쌍시옷, 쌍지읒)
    대개 ‘기역’과 ‘키읔’, ‘디귿’과 ‘티읕’이 혼동되므로 주의를 요한다.
    이와 같은 한글 자음의 이름 가운데 문제가 되는 것은 ‘디귿,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이다. 특히 ‘히읗’은 체언 말음으로 ‘ㅎ’이 쓰이는 경우가 다른 경우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발음이 혀끝소리의 대표음이라고 할 수 있는 /히읏/으로 정해졌다(이를 바탕으로 보면 최근 사회 일각에서 유행한 문자어인 ‘아햏햏’의 발음은 /아해탯/ 정도가 아닌가 한다). 이렇게 대표음으로 발음하는 방식이 나머지 다른 자음 이름에도 적용된다. 그래서 이것들은 다음 표와 같이 발음하여야 한다(괄호 안의 발음은 연음 법칙을 적용시킨 발음 형태가 결과적으로 틀린 것들이다).

구    분

‘-이’와 결합할 때

‘-을’과 결합할 때

디귿

[디그시]([*디그지])

[디그슬](*[디그들])

지읒

[지으시](*[지으지])

[지으슬](*[디그즐])

치읓

[치으시](*[치으치])

[치으슬](*[치으츨])

키읔

[키으기](*[키으키])

[키으글](*[키으클])

티읕

[티으시](*[티으치])

[티으슬](*[티으틀])

피읖

[피으비](*[피으피])

[피으블](*[피으플])

히읗

[히으시](*[히으히])

[히으슬](*[히으흘])

  이러한 한글 자음의 이름에 대한 발음법은 표준 발음법의 세 가지 원리인 전통성과 합리성, 관용 존중 가운데에서 관용 존중의 정신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