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발음법의 이해]

이 밤의 끝을[끄틀] 잡고

김선철(金銑哲) / 국립국어연구원

방송에 나오는 출연자들 중에 다음과 같은 발음을 하는 경우가 있다.

(1) 가. 닭을[*다글] 못 먹는다.
나. 값을[*가블] 치렀다.
다. 꽃을[*꼬슬] 든 남자
라. 밭에[*바세] 뿌렸다.
마. 이 밤의 끝을[*끄츨/*끄슬] 잡고(*은 잘못임을 나타냄)

특히 (1마)에 등장하는 [*끄츨]과 같은 발음은 유행가 가사의 발음에서 자주 등장한다. (1)에서 등장하는 발음들은 연음 법칙이라고 불리는 표준 발음법 원칙을 어긴 것이다. 이는 당연히 다음과 같이 발음되어야 한다.

(2) 가. 닭을[달글] 못 먹는다.
나. 값을[갑쓸] 치렀다.
다. 꽃을[꼬츨] 든 남자
라. 밭에[바테] 뿌렸다.
마. 이 밤의 끝을[끄틀] 잡고

위 예들을 보면 주로 명사에서, 말음이 겹자음이거나 격음인 경우에 잘못된 발음이 많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특이하게도 '값'과 같은 ''이 받침인 용언 '없어'는 [*업어]로 발음하지 않고, '꽃'과 같은 'ᄎ' 받침 용언의 활용형인 '쫓아'는 [*쪼사]라고 발음하지 않는다. 위에 든 단어 이외에도 연음이 될 때 일반적으로 발음이 많이 틀리는 단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3) 넋, 몫, 삯, 기슭, 까닭, 흙, 외곬, 흙, 밤낮, 젖, 빚, 낯, 살갗, 닻, 덫, 빛, 숯, 윷, 부엌, 밑, 햇볕, 솥, 팥, 헝겊, 무릎...

그러나 이런 말음을 가진 명사가 모두 잘못 발음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과 같은 단어나 (3)에 있는 단어라도 조사 '에'와의 결합에서 잘못 발음하는 것을 관찰하기는 어렵다.

(4) 바깥+에, 밑+에, 솥+에, 앞+에.......

이러한 올바른 발음을 잘 염두에 두면 연음 법칙을 어렵지 않게 준수할 수 있다.
    국립국어연구원에 자주 들어오는 질문 중에 연음 법칙과 관련되는 대표적인 것이 혀끝소리 'ᄉ, ᄌ, ᄎ' 다음에 호격조사 '아'가 오는 경우의 발음이다. 예를 들어서 '꽃아'의 발음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에 대한 해답은 <표준 발음법> 제13항에 있다. 즉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연음하여 발음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꼬차]가 바른 발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