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의 이해]

떡볶이/떡볶기

정호성(鄭虎聲) / 국립국어연구원

우리가 먹는 음식 가운데 [떡뽀끼]라는 것이 있는데 이 말을 한글 맞춤법에 맞게 적으려면 어떻게 적어야 할까? 또 손톱을 다듬는 기구인 [손톱까끼]는 또한 어떻게 적어야 할까? 이들은 자주 쓰는 말들이지만 적을 때 흔히 잘못을 저지를 수 있는 것들이므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먼저 [떡뽀끼]라는 말은 그 의미가 '떡을 볶아 만든 음식'이므로 그 의미에 기대어 '떡 + 볶 + ○'와 같이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떡뽀끼]에서 앞의 두 말은 명사 '떡'과 동사 '볶-'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에는 어떤 말이 와야 할까? 그 말이 [떡뽀끼]이므로 '끼'나 '기', 아니면 '이'가 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 앞에는 '볶-'이라는 동사 어간이 있으므로 국어의 단어 구성상 ○은 접미사이어야만 한다. 드물게 용언 어간 바로 다음에 명사가 오는 경우도 있지만(늦봄, 꺾쇠, 깎낫, 접칼 등) 일반적이지 않으므로 ○가 명사일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러므로 ○에 와야할 접미사로는 '-기'와 '-이'로 그 범위를 좁힐 수 있겠다. 국어의 접미사(혹은 모든 문법형태소) 목록에서 '-끼'라는 말은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기'와 '-이'는 용언에 붙어 명사를 만드는 파생 접미사인 점은 같지만 그 의미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파생 접미사 '-기'는 대체로 어떤 행위를 나타내는 데 쓰이고(읽기, 말하기, 줄넘기, 글짓기, 가지치기 등), 파생 접미사 '-이'는 대체로 구체적인 사물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먹이, 목걸이, 구이, 재떨이 등) 그러므로 [떡뽀끼]라는 말은 '떡 + 볶- +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아 '떡볶이'로 적어야 한다. 만약 [떡뽀끼]를 '떡볶기'로 적는다면 이는 '떡을 볶는 행위'를 뜻하는 말이 될 것이다. [손톱까끼]도 역시 '손톱을 깎는 물건'이므로 '손톱 + 깎- + -이'로 보아 '손톱깎이'로 적어야 한다.('*손톱깎개'는 표준어가 아님)
    그런데 '떡볶이'가 표기에 혼란을 보이는 것은 받침에 'ㄲ'이 쓰였기 때문일 것이다. '떡볶이'는 '*떡볶기', '*떡복기', 심지어 '*떡뽂끼'로 적어도 모두 [떡뽀끼]로 소리가 나므로 표기에 혼란이 생기는 것이다. 'ㄱ' 받침의 말들(먹이, 칸막이, 점박이 등)에서는 그리 큰 혼란이 일어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국어에서 받침이 쌍받침인 낱말을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검색해 보면, 'ㄲ'이 쓰인 몇몇의 명사와 동사, 그리고 'ㅆ'이 쓰인 '있다' 정도를 찾을 수 있다.(국어에는 'ㄸ, ㅃ, ㅉ'으로 끝나는 낱말이 없다.) 그런데 'ㄲ'으로 끝나는 말은 (3)의 명사 '밖, 낚'을 제외하면 모두 (4)와 같이 동사에서만 발견된다.

(3) ㄱ. 밖, 안팎(안 + 밖)
ㄴ. 고패낚, 찌낚, 대낚, 끌낚 등(모두 '○○낚시'의 준말임.)
(4) 겪다, 깎다, 꺾다, 낚다, 닦다, 덖다, 묶다, 볶다, 섞다, 솎다, 엮다

위 (4)의 동사의 활용형이나 이들에서 파생된 낱말들은 모두 '떡볶이, 손톱깎이'에서와 같은 혼란을 보일 수 있는 것들이므로 적을 때 특히 유의해야 한다. 이들 동사에서 파생되어 널리 쓰이는 말 가운데 그 표기에 주의해야 하는 것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5) 손님겪이 / 연필깎이, 늦깎이, 손톱깎이 / 꺾꽂이, 꺾쇠, 꺾자 / 낚시 / 구두닦이, 닦달, 닦음질 / 묶음 / 떡볶이, 낙지볶음, 볶음밥 / 섞어찌개, 섞박지 / 솎음 / 엮은이, 엮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