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의 이해]

한 살배기 아기

정호성(鄭虎聲) / 국립국어연구원

우리는 어린아이의 나이를 말할 때 흔히 '저는 {한 살배기/한 살바기/한 살박이} 아기가 있습니다.'와 같이 말을 한다. 그런데 아이의 나이를 말할 때 쓰는 말은 과연 '배기, 바기, 박이' 가운데 어떤 것이 옳을까? 한편, 고깃집에서 '소의 양지머리뼈의 한복판에 붙은, 희고 단단한 기름진 고기'를 먹고 싶으면 '{차돌배기/차돌바기/차돌박이}' 가운데 어떤 것을 주문해야 할까? 또한 양이 많은 사람은 '자장면 {곱배기/곱빼기}' 가운데 어떤 것을 시켜야 할까?
    국어에서 [배기], [바기], 그리고 [빼기] 등으로 소리 나는 말들을 어떻게 한글 맞춤법에 맞게 써야 할지를 알아보도록 하자.
    표준어에서 [배기]로 소리가 나는 말은 '-배기'로 적도록 하고 있다. 이 '-배기'는 접미사로 구별되며 몇 가지 뜻으로 쓰인다. 먼저 '-배기'가 '그 나이를 먹은 아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일 때에는 '한 살배기, 세 살배기'처럼 쓰인다.(그런데 이 말들에서 '한, 세' 등은 수관형사이고 '살'은 의존 명사이므로 '한 살, 세 살'과 같이 띄어 써야 하고, '-배기'는 접미사이므로 앞 말에 붙여 써야 한다. 그러므로 '한 살배기, 세 살배기'처럼 띄어 써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배기'가 '그것이 들어 있거나 차 있음'의 뜻을 나타내는 접미사일 경우는 '나이배기(겉보기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알배기'처럼 쓰이고, '그런 물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일 때에는 '가짜배기, 공짜배기, 대짜배기, 알짜배기, 진짜배기' 등과 같이 쓰인다.
    그 밖에도 '-배기'가 붙는 말에는 '귀퉁배기, 양코배기, 육자배기(六字­), 주정배기(酒酲­), 포배기(한 것을 자꾸 되풀이하는 일), 혀짤배기, 황토배기(누렇고 거무스름한 흙으로 이루어진 땅)' 등이 있다. 그런데 '뚝배기, 학배기(잠자리의 애벌레를 이르는 말), 언덕배기'는 소리는 [빼기]로 나지만 표기는 '배기'로 하는 것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표준어에서 [바기]로 소리가 나는 것은 '-박이'로 적어야 한다. 이 '-박이'는 '박다'의 의미가 살아 있는 경우에 쓰는 것으로, '점박이, 덧니박이, 외눈박이, 차돌박이, 오이소박이('오이소박이'는 오이에 '소'를 박은 음식이다. '소'는 '만두 속에 넣는 재료, 혹은 통김치 따위의 속에 넣는 여러 가지 고명'을 뜻한다. 만두나 김치에 들어가는 재료를 흔히 '속'이라고 하는데 이는 '소'의 잘못이다.), 붙박이, 장승박이' 등이 있다. '본토박이, 토박이, 쌍열박이(총열이 두 개인 총)' 등은 '박다'의 의미에서 좀 멀어진 경우이지만 여전히 '박다'와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박이'로 적는 것들이다. 그런데 [바기]로 소리 나는 경우, '○○바기'로 적는 것은 '○○박이'의 잘못이므로 그 표기가 틀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빼기]로 소리 나는 것은 '고들빼기, 곱빼기, 코빼기'와 같이 '-빼기'로 적는다. 이 외에도 '과녁빼기(외곬으로 똑바로 건너다보이는 곳), 구석빼기(썩 치우쳐 박힌 구석 자리), 그루빼기(짚단이나 나뭇단 따위의 그루가 맞대어서 이룬 바닥 부분), 대갈빼기, 머리빼기(머리가 향하여 있는 쪽을 속되게 이르는 말), 밥빼기(동생이 생긴 뒤에 샘내느라고 밥을 많이 먹는 아이), 악착빼기, 억척빼기, 얼룩빼기(겉이 얼룩얼룩한 동물이나 물건), 이마빼기, 재빼기[嶺頂](=잿마루)', 그리고 '앍둑빼기, 앍작빼기, 얽둑빼기, 얽빼기, 얽적빼기(이들은 모두 '얼굴에 잘고 굵은 것이 섞이어 얽은 자국이 촘촘하게 있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들이다.)'와 같은 예들이 있다. 하지만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뚝배기', 학배기, 그리고 '언덕배기'는 [-빼기]로 소리 나지만 '배기'로 적는 것이므로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