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의 이해]

사전에 실리는 말

조남호(趙南浩) / 국립국어연구원

우리는 언제 국어사전을 펼칠까? 여러 이유로 사전을 펼치게 되겠지만 그중에서도 처음 보는 단어의 뜻이 궁금하여 사전을 펼치는 일이 잦을 것이다. 그러면 사전에는 우리의 궁금증을 낱낱이 풀어줄 수 있게 모든 말이 올라 있는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사전 편찬자는 기준을 정하여 사전에 실을 말을 선별하기 때문에 그 기준에 맞지 않으면 사전에 오르지 못한다. 특정 분야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말이라면 십중팔구 국어사전에서 찾을 수 없다.
    사전의 규모, 성격에 따라서도 사전에 실리는 말이 달라진다. 흔히 사전의 규모에 따라 소사전, 중사전, 대사전을 구분하는데 사전의 규모가 클수록 당연히 실리는 말이 많아진다. 순수 언어 사전인가 아니면 백과사전식 사전인가에 따라서도 수록하는 말에 큰 차이가 있다. 언어에 관한 정보만을 제시하는 순수 언어 사전이라면 인명, 지명 등을 싣지 않지만 백과사전식 사전은 이런 말들도 일정 정도 싣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백과사전식 사전이 여러 차례 나온 바 있는데 상업적인 목적으로 항목 수를 늘린 것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없지 않았다. 그렇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면 백과사전식 사전이 나쁘다고 할 수만은 없다는 견해도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을 기획하면서도 내부적인 논의 끝에 백과사전식 사전이 좋겠다는 결론을 내리고 인명, 지명 등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수록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은 바 있다.
    일반적인 사전에 실리는 말의 단위는 흔히 사전에서의 관행에 따라 일정한 제한을 두기 마련이다. 대체로 단어는 빠짐없이 실리며 조사, 어미, 접사와 같은 것들도 실린다. 단어보다 큰 단위로는 보통 속담이나 관용구가 사전에 오른다. 이들은 모두 사전에서 풀이를 하지 않으면 그 말 자체만으로는 뜻을 알기 어려운 말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사전의 지면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구는 따로 올려 풀이하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창공', '벽공'처럼 한자어는 올리고 그에 대응하는 고유어인 '푸른 하늘'은 올리지 않았다고 비판하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이는 '창공, 벽공'은 단어로 보지만 '푸른 하늘'은 두 단어로 구성된 구로 본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한 잘못된 지적이다.
    '창공, 벽공'이 나온 김에 덧붙일 말이 있다. 사전에 한자어나 외래어가 많이 실리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 사용되는 말을 빼게 되면 어쨌든 그 말의 뜻을 알아야 되는 사람의 답답함은 어디에서 풀 수 있는가? 외래어나 한자어를 의도적으로 배제한 사전이 나온 바 있기는 하지만 일반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사전이라고 할 수는 없다. 어디 출신인가는 사전에 싣는 말을 정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될 수는 없다.
    「표준국어대사전」이 편찬된 이후 새로 생긴 말이나 유행어를 얼마나 많이 실었느냐 하는 질문을 종종 받았다. 새로 사전이 나왔으니 새로운 말이 들어갔을 것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새 말이 모두 수록되지는 않았다. 사전 편찬자는 새로 말이 생기면 보통 어느 정도 시간을 두고 지켜보다가 싣기 마련이다. 시간을 두고 새로운 말이나 유행어가 지속적으로 사용되는지 아니면 일시적으로 유행하고 마는지를 판단하여 웬만큼 시간이 흘러 그 말이 자리를 잡았다고 판단을 하면 싣게 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똑같은 이유로 1999년 발간보다 약간 이전에 사용되기 시작한 말은 올라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