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의 이해]

'가지다'와 '갖다'

정호성(鄭虎聲) / 국립국어연구원

일반적으로 구어체(입말체)에서는 어떤 단어의 준말이 그 본말보다 더 많이 쓰이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그 준말과 본말의 문법적인 성질이 서로 다른데도 말하는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해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꽤 많다. '가지다'와 그 준말인 '갖다'가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1) ㄱ. 그것 말고 저것을 갖어라.
ㄴ. 아이는 장난감만 갖으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흔히들 위 (1)과 같이 '갖다'의 활용형으로 '갖어라, 갖으면' 등과 같이 쓰지만 이들은 모두 잘못이다. '가지다'에는 모든 어미가 자유롭게 연결될 수 있지만 준말인 '갖다'에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만 연결될 수 있고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는 연결될 수 없기 때문이다.(어간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경우 어미를 '-아'로 적는다는 한글 맞춤법 제16항의 규정을 따르자면 '갖다'에는 '-어'가 아니라 '-아'가 결합되는 것처럼 설명해야 한다. 물론 '*갖아라, *갖았다'도 역시 잘못이다.)

(2) '가지다'와 '갖다'의 활용
어미

기본형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고 -는 -지 -니? -어/아 -었/았(다) -(으)니 -(으)면 -(으)ㄴ -(으)ㅁ
가지다 가지고 가지는 가지지 가지니? 가지어(가져) 가지었다(가졌다) 가지니 가지면 가진 가짐
갖다 갖고 갖는 갖지 갖니? *갖어/*갖아 *갖었다/*갖았다 *갖으니 *갖으면 *갖은 *갖음
(*표는 잘못임을 나타냄)

그러므로 위 (1)의 예문은 다음과 같이 고쳐 적어야 한다.

(1)' ㄱ. 그것 말고 저것을 가져라.
ㄴ. 아이는 장난감만 가지면 시간 가는 줄 모른다.

위 (2)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준말인 '갖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붙은 '*갖어, *갖었다, *갖으니, *갖으면, *갖은, *갖음'는 모두 잘못이므로 이 말은 '가지어(가져), 가지었다(가졌다), 가지니, 가지면, 가진, 가짐'처럼 본말 '가지다'의 활용형으로 사용해야 한다.

(3) ㄱ. 나 이거 {가져도/*갖어도} 돼?
ㄴ. 나와 다른 생각을 {가진/*갖은} 사람은 함께 일하기 힘들지.
ㄷ. 우리가 모두 다 {가지면/*갖으면} 다른 사람이 {가질/*갖을} 게 없겠지.
ㄹ. 우리에게 누가 관심을 {가지겠니/갖겠니}?
ㅁ. 제발 우리에게도 애정을 {가지고/갖고} 대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은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디디다'와 '딛다'가 있다. 이 역시 본말인 '디디다'에는 모든 어미가 연결될 수 있지만 '딛다'에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는 연결될 수 없다.
    그러므로 '-어, -(으)니, -(으)면' 등과 같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를 사용하려면 '딛다'의 활용형('*딛어, *딛었다, *딛으니, *딛으면, *딛은, *딛음')이 아니라 '디디다'의 활용형('디디어(디뎌), 디디었다(디뎠다), 디디니, 디디면, 디딘, 디딤')을 써야 한다. 물론 '디디고/딛고, 디디지/딛지, 디딥니다/딛습니다'와 같이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는 '디디다'와 '딛다'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3) ㄱ. 사회에 첫발을 {내디뎠다/*내딛었다}.
ㄴ. 왼발을 먼저 앞으로 {내디디세요/*내딛으세요}.
ㄷ. 편안하게 발을 {디뎌/*딛어} 보세요.
ㄹ. 인생의 반려자와 첫발을 {내디디는/내딛는} 순간
ㅁ. 아픈 발이 다 낳았으니 바닥을 {디디고/딛고} 서 보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