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의 이해]

선물을 주신대

정호성(鄭虎聲) / 국립국어연구원

(1) 울면 안 돼 울면 안 돼 / 산타 할아버지는 우는 아이에겐 / 선물을 안 *주신데
산타 할아버지는 알고 *계신데 / 누가 착한 아인지 나쁜 아인지 / 오늘 밤에 *다녀가신데
잠잘 때나 일어날 때 / 짜증날 때 장난할 때도 / 산타 할아버지는 모든 것을 알고 *계신데
울면 안 돼 울면 안 돼 / 산타 할아버지는 우는 아이에겐 / 선물을 안 *주신데

위는 성탄절이 다가오면 많이 들을 수 있는 "울면 안 돼"라는 성탄 축하곡의 가사이다. 많은 아이들이 선물을 기다리며 이 노래를 부르겠지만 필자는 걱정이 앞선다. 왜냐하면 '주신데, 다녀가신데, 계신데'의 표기가 모두 잘못되었기 때문이다.(위 가사는 인터넷에서 검색한 것이다. 필자가 몇 군데를 찾아보았지만 모두 위와 같은 표기로 되어 있다.)
    국어에서는 직접 경험한 일과 남에게서 들은 일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말을 한다. 직접 경험한 일을 말할 때에는 '-더라, -데' 등의 어미를 쓰고, 직접 경험한 일이 아닌 말은 '-다고 해(-대)', 혹은 '-라고 해(-래)'를 쓴다. 그런데 위 문장은 직접 보거나 경험한 것이 아니라 남에게서 들은 말을 다시 전하는 말이므로 '-다고 해'가 줄어든 형태인 '-대'로 적어야 한다.

(2) ᄀ. 주신데 → 주신대(주신다고 해)
ᄂ. 다녀가신데 → 다녀가신대(다녀가신다고 해)
ᄃ. 알고 계신데 → 알고 계신대(알고 계신다고 해)

반면, '-데, -더라'는 말하는 사람이 과거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할 때에 쓰는 종결 어미이다. '-데'와 '-더라'는 같은 의미를 나타내므로 다음 문장에서 '-데'는 모두 '-더라'로 고쳐 쓸 수도 있다.

(3) ᄀ. (분장한) 산타 할아버지께서 아이들에게 선물을 주시데/주시더라.
ᄂ. 선물은 대부분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이데/것이더라.
ᄃ. 아이들이 좋아하니 나도 기분이 좋데/좋더라.
ᄅ. 내년에도 아이들이 선물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데/좋겠더라.

한편, 위 말을 들은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다음과 같이 말을 전할 수 있을 것이다.

(4) ᄀ. (분장한) 산타 할아버지께서 아이들에게 선물을 주신대/주셨대. ← 주신다고 해/주셨다고 해
ᄂ. 선물은 대부분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이래. ← 것이라고 해
ᄃ. 아이들이 좋아하니 (그 이도) 기분이 좋대/좋았대. ← 좋다고 해/좋았다고 해
ᄅ. 내년에도 아이들이 선물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대. ← 좋겠다고 해

그러므로 과거에 직접 경험한 일을 현재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할 때에는 '-데'를 써야 하고, 남의 말을 듣고 그 말을 다시 다른 사람에게 옮길 때에는 '-대('다고 해'의 준말)' 혹은 '-래('-라고 해'의 준말)'를 써야 한다.

경험한 일 좌측의 일을 직접 겪고 난 후 그 사실을 듣고 다른 이에게
돌 지난 아이가 걷는다. 돌 지난 아이가 벌써 걷데/걷더라. 돌 지난 아이가 벌써 걷는대/걸었대.
아이가 키가 크다. 아이가 키가 크데/크더라. 아이가 키가 크대.
아이가 잘생겼다. 아이가 아주 잘생겼데/잘생겼더라. 아이가 아주 잘생겼대.
아이 이름이 현승이다. 아이 이름이 현승이데/현승이더라. 아이 이름이 현승이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