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언어의 이해

ㄱㅎ ㅊㅋ(?)

박용찬(朴龍燦) / 국립국어연구원

최근 들어 통신 언어가 점점 더 몇몇 네티즌의 은어로 바뀌어 가고 있음은 무엇보다도 지난 호에서 살펴본, 우리말을 한글이 아닌 다른 문자의 글자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예들을 포함하는 통신 언어는 기성세대에게 전혀 이해할 수 없는, 그들 즉 몇몇 네티즌만의 언어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각종 기호나 부호를 사용한 이모티콘[emoticon, '이모션(emotion)'과 '아이콘(icon)'의 합성어로 신세대나 네티즌들이 자신의 의사나 감정을 압축해 전달하는 기호를 이르는 말]이나 아예 우리말의 글자 자체를 해체한 기묘한 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이 자리에서는 특히, 우리말의 글자 자체를 해체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인터넷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1) ㄱ. ㄱㅅ(감사)/ㄱㅅㄱㅅ(감사 감사), ㅊㅋ(추카←축하)/ㅊㅋㅊㅋ(추카 추카←축하 축하)
ㄴ. ㅎㅎㅎ(하하하/히히히), ㅋㅋㅋ(크크크/키키키), ㅊㅊㅊ(츠츠츠), ㅋㄷㅋㄷ(키득키득)

이러한 예들은 대부분 우리말의 글자 가운데 자모(특히, 자음)만을 사용하고 있다. (1ㄱ)의 'ㄱㅅ'와 'ㅊㅋ'는 각각 '감사'와 '축하'의 실제 소리인 '추카'에서 각 음절의 첫 글자인 자음만을 따고 'ㄱㅅㄱㅅ'와 'ㅊㅋㅊㅋ'도 각각 '감사'와 '추카'의 반복형에서 각 음절의 첫 글자인 자음만을 딴 예이다. 이들은 인터넷상에 아주 널리 쓰이고 있어 'ㄱㅅ해요'와 'ㅊㅋ해요'처럼 쓰이기도 한다. (1ㄴ)의 예들은 모두 입으로 내는 소리나 모양을 나타내는 말로 각각 '하하하/히히히', '크크크/키키키', '츠츠츠', '키득키득' 등에서 각 음절의 첫 자음만을 딴 것들이다. 최근에는 '결혼'을 'ㄱㅎ'이라 한 경우도 있어 이러한 쓰임은 더욱 더 확대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다음 예들은 우리말의 글자 가운데 모음만을 사용한 예이지만 (1)의 예들과는 성격이 약간 다르다.

(2) ㅜㅜ(←ㅜ.ㅜ), ㅠㅠ(←ㅠ.ㅠ)

(1)과 달리 (2)의 'ㅜㅜ'와 'ㅠㅠ'는 각각 눈물을 흘리는 모습인 'ㅜ.ㅜ'과 폭포수 같은 눈물을 흘리는 모습인 'ㅠ.ㅠ'를 형상화한 것으로 모두 우는 모습을 나타내는 이모티콘에 해당하기 때문이다.[이모티콘에 대해서는 다음 호를 참조하기 바람.]
    아래의 예들은 좀 더 복잡한 방식으로 우리말의 글자를 해체하여 적은 것들이다.

(3) ㄱ. ㅂ2ㅂ2(←바이바이)/ㅃ2ㅃ2(←빠이빠이)
ㄴ. ㅂㄴㅂㄴ(바바←바이바이)/ㅃㄴㅃㄴ(빠빠←빠이빠이)

(3ㄱ)의 'ㅂ2ㅂ2'는 헤어질 때 영어식으로 하는 인사말인 '바이바이(byebye/byby)'에서 일부분은 소리가 같은 아라비아 숫자로 바꾸어 적고 다른 일부분은 음절의 첫 글자인 자음만을 따서 만든 예이다. 'ㅃ2ㅃ2'도 '바이바이'를 어린아이가 귀엽게 소리 내는 말인 '빠이빠이'에서 온 예이다. 반면 (3ㄴ)의 'ㅂㄴㅂㄴ'와 'ㅃㄴㅃㄴ'는 각각 '바이바이'와 '빠이빠이'의 줄인 말인 '바바'와 '빠빠'에서 'ㅏ'를 모양이 비슷한 'ㄴ'으로 바꾸어 적은 예이다. 참고로 '바바', '빠빠' 등은 (1)의 예처럼 각각 'ㅂㅂ', 'ㅃㅃ' 등과 같이 각 음절의 첫 자음만 따서 적기도 한다.
    이렇게 우리말의 글자 자체를 해체하여 사용한 몇몇 예는 귀엽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글쓴이의 감정을 그럴듯하게 보여 줘 사실감을 더해 준다는 장점도 없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및 예들은 기성세대에게 아주 기괴하게 보일뿐더러 우리말의 어법이나 글자 구성 면에서 볼 때에도 크게 잘못된 것임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