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원

'샌님'과 '스님'

홍윤표(洪允杓) / 연세대학교

'샌님'이란 단어는 이것과 연관된 속담이 많은 것으로 보아, 그 쓰임이 꽤나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나룻이 석 자라도 먹어야 샌님', '남산골샌님은 뒤지하고 담뱃대만 들면 나막신을 신고도 동대문까지 간다', '남산골샌님이 망해도 걸음 걷는 보수는 남는다', '죄는 막둥이가 짓고 벼락은 샌님이 맞는다' 등등이 그 예들인데, 이 속담 속의 '샌님'은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가 수반되지만, 가끔 긍정적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남산골샌님'은 '남산골딸깍발이'나 '꽁생원'과 거의 동등한 상징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가난하면서도 자존심만 강한 선비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표준국어대사전"), '활동력과 진취성이 없고 행동이나 성미가 고리삭은 남자를 흉하게 이르는 말'(북한의 "조선말대사전")이란 뜻풀이는 주로 부정적인 면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가난하지만, 부정을 모르고 강직하여 융통성이 없이 원칙만 고수하는 사람'이라는 면에서 볼 때에는 긍정적인 면도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샌님'의 '님'은 '서방님, 도령님' 등의 '님'과 같은 접미사임이 틀림이 없다. 그렇지만 그 어기 '샌'은 무엇일까? 혹시 '샛서방'의 '샛'이 '님'과 연결되어 '샛님'이 되고 이것이 음운 동화를 일으켜 '샌님'이 되었다고 착각하는 사람은 없을까? 그러나 이 '샌'은 엉뚱하게도 한자어의 준말이다. 즉 '생원(生員)님'이 줄어서 '샌님'이 된 것이다. '생원'이 줄어서 '샌'이 된 것이 아니라 '생원님'이 줄어서 '샌님'이 된 것이다. '생원'이란 단어 자체로는 '샌'으로 줄어들기 어렵다. 여기에 '님'이 연결될 때라야만 '샌님'이 될 수 있다. '김 생원'을 '김 샌'이라고는 하지 않듯이. 그뿐만 아니라, 직접 그를 호칭할 때에도 그러하다. 즉 '김 생원님'을 '김 샌님'이라고는 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그렇게 부르는 사람이 있다면 아마도 '김 생원님' 하고는 한판 싸움이 벌어질 것 같다.
    '샌님'이 '생원님'의 준말이라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1880년에 편찬된 "한불ㅈ뎐(韓佛字典)"에 '신님'을 '上典主'로 풀이하고 다시 그 뒤에 다시 '싱원님'이란 풀이를 하고 있고, 조선 총독부의 "조선어사전"(1920)과 문세영의 "조선어사전"(1938)에도 '생원님'과 동일하다고 풀이하고 있으며,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편찬한 "표준국어대사전"이나 북한에서 간행된 "조선말대사전"에서도 모두 똑같이 '생원님'의 준말로 풀이하고 있다. 이러한 풀이는 옛 문헌에도 보인다. 예컨대 1843년(또는 1903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연세대학교 소장본인 "속명유취(俗名類聚)"에 '生員主'라는 표제어에 대하여 '신임'으로 풀이하고 있어서, 사전에서의 풀이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이처럼 '생원님'이 '샌님'으로 줄어들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전에는 '쥐'를 '서생원(鼠生員)'이라고 하였는데, 그 발음이 대개는 '서새원'으로 들리곤 했다. 이화 작용에 의한 변화들이다.
    음운 변화가 일어나 '생원님'이 '샌님'이 되면서, '생원님'과 '샌님'은 그 뜻이 분화된 것으로 보인다. '샌님'은 주로 '남산골샌님'이지만 '생원(님)'은 매우 다양하다. 즉 '광주(光州) 생원(生員) 첫 서울', '글에 미친 송 생원(生員)', '까다롭기는 옹생원 똥구멍이라', '최 생원(生員)의 신주(神主) 마르듯', '홍(洪) 생원네 흙질하듯' 등처럼 다양하게 쓰이는데 주로 구체적인 수식어를 동반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구체적인 인물을 2인칭으로 호칭할 때에는 '생원(님)'이지만, '생원님'을 싸잡아 보편적으로 좋지 않게 3인칭으로 언급할 때에는 '샌님'을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생원님'은 '쌩원님'이 되지 않지만, '샌님'은 '쌘님'이라고 하여 그 부정적 의미를 더 강하게 표현하기도 한다.
    이와 비슷한 단어로 '스님'이 있다. '스님'의 '님'이야 그 뜻을 모를 리 없겠지만, 그 어기인 '스'의 의미를 알기는 힘들 것이다. 이것도 '생원님'이 '샌님'이 되었듯, '승(僧)'에 접미사 '님'이 붙은 '승님'이 변화한 것이다. 이화 작용에 의해서 '승'의 '이응' 음이 탈락된 것이다. 그래서 '스님'이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