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성어를 찾아서

모순(矛盾)과 완벽(完璧)

이준석(李浚碩) / 국립국어연구원

고사 성어는 대개 넉 자의 한자로 이루어져 있지만 반드시 넉 자로만 되는 것은 아니다. 두 자나 석 자로 된 고사 성어들도 있다. 그런 말들 가운데 우리 생활에서 흔히 쓰는 고사 성어가 '모순(矛盾)'과 '완벽(完璧)'이다.
    '창'의 뜻을 가진 '모(矛)'와 '방패'의 뜻을 지닌 '순(盾)'의 한자가 어울려서 쓰이는 '모순(矛盾)'은 흔히 어떤 사실의 앞뒤, 또는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가리킬 때 쓰인다. "네 말은 모순이야."라고 할 때의 의미는 "네 말은 이치가 안 맞아, 또는 네 말에는 문제가 있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논리학이나 철학에서 쓰이는 모순은 일상적인 쓰임에서와는 달리 그 의미가 분명하다. 논리학에서는 모순이 두 가지의 판단, 사태 따위가 양립하지 못하고 서로 배척하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쓰인다. 예를 들어 에이(A)를 하나의 명제로 가정하면 "에이(A)는 에이(A)가 아니다."라고 말할 때, 에이(A)의 내용이 무엇이건 간에 그 말은 항상 옳지 않게 되는데 이를 논리학적 모순(矛盾)이라 한다. 철학에서는 사물이 정(正)․반(反)․합(合)의 세 단계를 거쳐서 전개된다고 보는 변증법(辨證法)을 설명할 때 이 말을 사용한다. 정(正)의 단계에서 의식되지 않은 상태로 포함되어 있는 모순은 자각되었을 때 비로소 밖으로 드러나게 되는데, 밖으로 드러나는 단계를 반(反)의 단계라 하고, 정과 반이 모순에 빠짐으로써 제3의 합(合)의 단계로 전개해 나가게 된다는 것이다.
    모순의 고사는 "한비자(韓非子)"의 '난세편(難勢篇)'에 나온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어느 날 저잣거리에 방패와 창을 늘어놓고 팔고 있던 초(楚)나라 장사꾼이 있었다.
    "자, 여기 이 방패를 보십시오. 이 방패는 대단히 견고해서 아무리 날카로운 창이라도 막아낼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이번에는 창을 집어 들고 외쳐 댔다.
    "자, 이 창을 보십시오. 이 창은 어찌나 날카로운지 꿰뚫지 못하는 것이 없습니다."
    그때, 구경꾼 가운데 하나가 이렇게 질문을 하였다.
    "그럼, 그 창으로 그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되는 거요?"
    그러자, 장사꾼은 아무 대답도 못하고 서둘러 그 자리를 떠났다. 스스로 논리적 모순에 빠졌던 것이다.

'완벽(完璧)'은 한자의 뜻만으로라면 '온전한 구슬'을 가리킨다. 그런데 실상은 '흠잡을 데 없이 완전함'을 이르는 뜻으로 우리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이 말의 고사(故事)는 "사기(史記)"의 '인상여열전(藺相如列傳)'과 "십팔사략(十八史略)"의 '조편(趙篇)'에 나오는 '화씨지벽(和氏之璧)'에서 유래한다.

전국 시대, 조(趙)나라 혜문왕(惠文王)은 '화씨지벽(和氏之璧)'이라는 천하 명옥(天下名玉)을 가지고 있었다. 이 소문을 들은 진(秦)나라 소양왕(昭襄王)이 화씨지벽을 손에 넣겠다는 생각으로 조나라에 "성(城) 열다섯과 화씨지벽을 맞바꾸자."라고 제의했다.
    혜문왕은 난처하였다. 제의를 거절하면 당장 쳐들어올 것이고, 화씨지벽을 넘겨주면 그냥 빼앗길 것이 뻔했기 때문이었다. 중신들을 소집하여 의논하자 의견이 분분하였으나 결국 진나라의 제의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혜문왕이 진나라에 보낼 사신으로 누가 적임자인가를 중신들에게 묻자, 대부(大夫)인 무현(繆賢)이 그의 식객(食客)으로 있는 인상여(藺相如)를 추천하였다. 사신으로 발탁된 인상여는 대책을 묻는 혜문왕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신이 구슬을 가지고 가겠습니다. 성이 조나라로 들어오면 구슬은 진나라에 두고, 성이 들어오지 않으면 신은 온전한 구슬을 조나라로 가지고 돌아오겠습니다.(...城不入 臣請完璧歸趙)"
    인상여는 화씨지벽을 가지고 진나라에 가서 목숨을 담보로 한 기지를 발휘하여 소양왕에게서 온전하게 그 구슬을 지켜 낼 수 있었던 것이다.

'모순'이나 '완벽'은 두 자가 결합된 한 단어로 국어에서 쓰이지만 유래를 가지고 있으므로 고사 성어로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