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새”


전수태(田秀泰) / 국립국어연구원

좋은 계절이 오고 있다. 꽃샘추위가 지난 뒤에 겨우내 쌓인 눈이 녹아 골짜기를 흐르고 따스한 봄볕이 양지 바른 언덕에 파란 싹을 틔우고 있다. 북녘에도 지금 봄이 오고 있을 것이다. 얼마 전 남북 이산가족 편지 왕래가 있었다. 50년 쌓인 한이 서신 한 장으로 해소되기는 어려웠겠지만 서로 생사를 확인하고 안부를 물은 것만으로도 큰 위안이 되었을 것이다.

이번에도 지난번에 이어 우리에게 생소한 북한 말을 소개해 보기로 한다.

‘련환대회’는 ‘어떤 경사스러운 일에 대해서 여러 조직이나 단체들, 여러 사람들이 함께 모여 공동으로 환영하는 모임’이다. “오늘은 국내진공을 앞두고 하는 사격경연이니만큼 우리끼리 조용히 하지만 이제 국내진공을 마치고 돌아오면 주변지역 인민들과 같이 성대한 련환대회를 가지고자 합니다.” <“압록강”,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3, 615쪽>와 같이 쓰인다.

‘마라초’는 ‘담배나 곰방대를 쓰지 않고 종이에 말아서 피우는 실담배나 잎담배’이다. “간밤에는 자다가 문득 깨여보니 최인관이 언제 자리에서 일어났는지 달빛푸른 초막입구에 우두커니 앉아 굵게 만 마라초를 태우며 바깥을 내다보다가 가슴꺼지게 한숨울 쉬였다. 집걱정을 하는게 분명하였다. 심중이 리해된다.” <“준엄한 전구”,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 108쪽>와 같은 예가 있다.

‘부족점’은 ‘모자라거나 미흡하거나 또는 흠으로 되는 점’을 말한다. “《상철이는 한사코 받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상철동무에게는 지금 그런 부족점이 있습니다. 사령관이 주면 싫든좋든 받아야 합니다.》” <“고난의 행군”,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6, 381쪽>와 같이 쓰인다.

‘일본새’는 ‘일하는 본새나 모양새’를 가리킨다. “(그런데 나는 왜 합숙에 여러번 나가보면서도 그런 생각을 못했을까?) 신철민은 그런데까지 깊이 파고들지 못한 자기의 일본새가 뉘우쳐졌다. 《그 다음엔 또 무엇이 요구되오? 있으면 다 말하오.》” <“뜨거운 심장”, 변희근, 문예출판사, 1984, 81쪽>처럼 쓰이는 말이다.

‘짜고들다’는 ‘(어떤 일을 해내기 위하여) 단단히 잡도리를 하거나 미리 빈틈없는 계획을 세우고 달라붙다’의 뜻이다. “그뒤 탄광에 무사히 남아있던 몇몇 의형제들은 전날의 원한을 가슴에 품은채 기회를 노리다가 짜고든 권양기 ‘사고’로 사또놈을 처단해치우는데 성공했다고 한다. 그러나 일본놈들이 강점하고있은 땅에서 탄부들의 처지는 나날이 더욱 비참해졌다.” <“그들의 운명”, 현희균, 문예출판사, 1984, 266쪽>와 같은 예가 있다.

남북한 사이의 정치, 경제, 문화 교류와 이산가족의 상봉 및 서신 교환 등 긴장 완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여러 사업들을 서로 불편함이나 부족점이 없도록 잘 짜고들어서(?) 본새 있게 진행하여 나아갔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