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자 표기법의 이해

새 로마자 표기법의 원칙


김세중(金世中) / 국립국어연구원

지난 7월 7일 고시된 새 로마자 표기법은 국어의 발음을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는 형태를 밝혀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한글 맞춤법과는 상반된다.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발음을 보이는 데 의의가 있다. 국어의 발음을 보임으로써 외국인이 국어 발음을 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만일 한글 표기를 그대로 로마자로 옮겨 보이면 외국인은 국어 발음과 아주 다른 발음을 하기 쉽다. 예를 들어 ‘신라’를 Sinla나 Sinra로 표기한다면 [실라]라는 발음을 기대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독립문’을 Doglibmun이나 Dogribmun으로 표기한다면 [동님문]이라는 발음을 기대하기 어렵다. 새 표기법에 따르면 ‘신라’는 Silla이고 ‘독립문’은 Dongnimmun이다.
   로마자 표기는 한글 표기를 로마자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한글 표기를 일대일로 로마자로 옮기는 표기 방식을 전자법이라 하는데 ‘독립문’을 Doglibmun으로 표기하면 [동님문]이라는 발음은 내기 어렵겠지만 설령 외국인이 [도그리브문]이라 발음하더라도 우리가 알아들을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그러나 전자법으로는 도저히 하기 어려운 예도 있다. 예컨대 ‘한빛’이라는 말을 전자법에 따라 Hanbich로 표기한다면 [한빋]이라는 발음은 거의 유도하기 어렵다. ‘웃말[운말]’이란 지명이 있다 하자. 이를 Usmal로 표기한다면 십중팔구 [우스말]로 발음할 것이고 [운말]이라는 발음을 내기는 어려울 것이다. ‘장산곶’이란 지명을 전자법으로 Jangsangoj라 표기하면 [장산곧]이란 발음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새 표기법으로 ‘한빛’은 Hanbit, ‘웃말’은 Unmal, ‘장산곶’은 Jangsangot이다.
   로마자 표기는 외국인이 읽을 것을 전제하고 하는 것이므로 외국인이 어떻게 발음할까 하는 점을 전연 무시할 수는 없다. 외국인이 편하게 발음하고 국어 발음에 가깝게 발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어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을 채택하지 않을 수 없다. 국어의 발음을 표기하는 방식을 표음법이라 한다. 새 로마자 표기법은 표음법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표음법이 적용되는 경우는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등 동화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와 합성어에서 ‘ㄴ, ㄹ’이 덧나는 경우 등이 있다.
   새 로마자 표기법은 표음법을 원칙으로 하지만 두 가지 예외를 두고 있다. 첫째, ‘ㄱ, ㄷ, ㅂ, ㅈ’이 ‘ㅎ’과 합하여 거센소리로 나더라도 ‘ㅎ’을 밝혀 적는 것이다. ‘묵호’의 경우 발음이 [무코]이므로 별도 규정이 없다면 Muko로 적어야 하지만 예외 규정에 따라 ‘ㅎ’을 밝혀서 Mukho로 적는다. 거센소리를 예외로 두는 것은 ‘ㅎ’이 로마자 표기에서 사라지는 것을 피하자는 뜻에서다. 둘째,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팔당’은 발음이 [팔땅]이므로 예외 규정이 없다면 Palttang로 적어야 하지만 예외 규정에 따라 Paldang이 된다. 된소리되기를 예외로 하는 것은 된소리로 발음되는지 그렇지 않은지 가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새 로마자 표기법은 원칙적으로 표음법인데 특수한 전문 분야에서는 전자법 방식의 별도의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학술 연구 논문 등 특수 분야에서 한글 복원을 전제로 표기할 경우에는 한글 표기를 로마자로 옮긴다. 이때 글자 대응은 표음법의 로마자 표기법대로 하되 ‘ㄱ, ㄷ, ㅂ, ㄹ’은 g, d, b, l로만 적고 음가 없는 ‘ㅇ’은 붙임표(-)로 표기한다. 그러나 전자법은 특수한 분야에서만 사용되고 일반적으로는 표음법의 표기법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