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원

'얼굴'의 의미 변화


조항범(趙恒範) / 충북대학교

'얼굴'은 아주 중요한 신체 부위 중의 하나이다. 신체의 감각 운동을 주도하는 '입', '코', '눈' 등을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잣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얼굴'은 본래부터 지금과 같은 '안면(顔面)'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얼굴'은 15세기에서도 어형은 '얼굴'이었으나 '몸 전체', '형상', '형체', '모습', '틀'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15세기에 쓰인 '몸얼굴[體格]', '믿얼굴[原形]' 등의 합성어를 통해서도 '얼굴'이 몸 전체를 가리키는 단어였음이 분명히 드러난다. 인물을 고르는 표준인 '身言書判(신언서판)'의 '身'이 바로 '얼굴'이었다고 보면 된다.
    그런데 '얼굴'은 17세기에 와서 '顔面'이라는 의미로 변하였다. 17세기 초 자료인 “진주하씨언간”의 아 얼구리 눈에 암암여(아이들 얼굴이 가물가물 보이는 듯하여)”에 보이는 '얼굴'이 바로 '顔面'의 의미로 쓰인 것이다.
    '안면'은 '몸 전체'에 포함되는 한 부분이다. '몸 전체'에서 '몸의 일부'로 의미가 변한 것은 결국 의미 적용 범위가 축소된 현상으로 설명된다.
    '얼굴'이 새롭게 얻은 '顔面'이라는 의미는 기존의 ''이라는 고유어가 지니는 의미와 같다. 따라서, '얼굴'과 ''은 상호 유의 관계(類義關係)에 놓이게 된다. ''은 15세기 이래 '顔面'의 의미를 줄곧 지켜온 단어이다.
    이 ''은 17세기 이후 새로운 도전자인 '얼굴'과 경쟁하면서 지금의 '낯'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지금은 '얼굴'에 비해 그 세력이 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낯바닥', '낯바대기', '낯배기', '낯짝', '낯판' 등에서 보듯 비속어(卑俗語)를 만드는 데까지 이용되어 의미 가치도 상당히 떨어졌다. 이 '낯'은 언젠가 '얼굴'에 밀려 사라질지도 모른다.
    '얼굴'이나 '낯' 이외에 '쪽'이라는 은어(隱語)도 쓰인다. 주로 '팔리다'와 어울려 '쪽팔리다'는 형식으로 쓰이는데 이 단어는 '낯이 깎이다', '얼굴이 깎이다'는 의미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그러니 이 말을 굳이 써서 품위를 떨어뜨릴 이유가 없다. '부끄럽다', '창피하다'라고 표현하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