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원

가 랑 비


조항범(趙恒範) / 충북대학교

우리 국어에는 ‘비’와 관련된 단어가 유난히 많다. ‘가랑비’, ‘가을비’, ‘궂은비’, ‘꿀비’, ‘눈비’, ‘는개’, ‘단비’, ‘목비’, ‘못비’, ‘보슬비’, ‘줄비’ 등 40여 단어를 헤아리니 가히 우리 민족은 ‘비’에 관심이 많았던 민족이었음이 틀림이 없다.
   이들 ‘비’ 이름은 대체로 그 모양, 상태, 역할, 시기 등에 기초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렇듯 명명의 관점이 분명하니 그 이름의 유래도 쉽게 드러난다. 빗줄기가 ‘실’〔絲〕과 같아서 ‘실비’, 오랫동안 끄느름하게 내린다고 해서 ‘궂은비’, 필요할 때 알맞게 온다고 해서 ‘단비’, ‘이슬’과 같다고 해서 ‘이슬비’, ‘안개’와 같다고 해서 ‘안개비’이다.
   그러면 ‘가랑비’는 어떤 비일까? ‘가늘게 내리는 비’라는 정도만 알 수 있을 뿐 그 유래가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나 ‘가랑비’의 15세기 어형을 잘 분석해 보고 사용 예를 찬찬히 살펴보면 ‘가랑비’의 명명의 근거와 그 유래도 어렵지 않게 밝혀진다.
    ‘가랑비’는 15세기의 “月印釋譜”에 ''로 나온다. 이것은 ''와 ‘비’〔雨〕로 분석된다. ‘비’〔雨〕가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된 사실을 반영한 표기이다. 이에 따라 ''의 ''가 ‘雨’라는 사실은 분명히 밝혀진 셈이다. 문제는 선행 요소 ''의 정체이다.
   혹자는 지금의 ‘가루’〔粉〕가 15세기에 ''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를 ‘가루와 같은 비’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신빙성이 없다. ‘가루’〔粉〕와 관련시킬 수 있는 비에는 ‘가랑비’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보슬비’, ‘이슬비’ 등과 같은 여타의 가느다란 비도 있기 때문이다.
   또 ''를 '가다'〔分〕의 어간 '가-'로 간주하여 ''를 ‘갈라진 비’로 해석하기도 하나 이 또한 믿을 수 없다. ‘비’ 이름에 '가-'〔分〕를 이용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가랑비’를 '가-'〔分〕와 연결시켜 이해한 것은 실제 '가-'와 관계가 있는 ‘가랑머리’(두 가랑이로 땋은 머리), ‘가랑비녀’(머리에서 나란히 두 가랑이가 진 비녀), ‘가랑이’(원몸의 끝이 갈라져 나란히 벌어진 부분) 등의 ‘가랑’에 유추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는 ‘안개’〔霧〕의 뜻이다. “杜詩諺解”(11:11)의 "늘근 나햇 고  소개 보 도다"(老年花似霧中看)에 나오는 ''가 바로 ‘霧’의 그것이다. “杜詩諺解” 초간본 속의 ''는 중간본에는 ‘안개’로 바뀌어 나온다. 이로써 ''가 ‘안개비’라는 사실이 자명해진다. 그리고 모양에 근거해서 만들어진 단어라는 사실도 드러난다. ''가 ‘안개비’라는 사실은 지금 ‘가랑비’를 ‘안개비’라 하고 있는 사실을 통해서도 더욱 분명히 알 수 있다.
   15세기의 ''는 17세기의 “譯語類解”(상:2)에 '랑비'로 변하여 나온다. '랑비'의 '랑'은 ''에 접미사 ‘-앙’이 결합된 어형으로 파악된다. 이 '랑비'는 18세기 이후 ‘가랑비’로 변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가랑비’에 대한 엉뚱한 어원 설이 나오게 된 것은, 그 어형이 많이 달라졌고 또 ‘霧’의 ''라는 단어가 ‘안개’라는 단어에 밀려나 일찍 사라졌기 때문으로 파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