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

왜 ‘암뙈지’가 아니라 ‘암퇘지’일까?


정호성(鄭虎聲) / 국립국어연구원

국어에서는 두 말이 결합하여 복합어를 이룰 때 일반적인 음운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돼지’란 말은 그 앞에 ‘수-, 암-’이 오면 【수돼지/암돼지】혹은 【숟뙈지/암뙈지】가 아니라 【수퇘지/암퇘지】라고 발음을 한다. 또한 ‘안’과 ‘밖’이 결합하여 한 단어가 되면 【안박】이나 【안빡】이 아니라 【안팍】으로 소리가 난다. 또한 고기 중에서도 ‘기름기나 힘줄, 뼈 따위를 발라낸, 순 살로만 된 고기’를 가리키는 ‘살코기’란 말은 분명 ‘살+고기’로 구성된 단어이지만 【살고기】, 살꼬기가 아닌 【살코기】라고 말한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

현대국어에서 접두사로 분류되는 ‘암-’과 ‘수-’는 중세국어에서는 말음에 ‘ㅎ’ 소리를 가지고 있었던 말들이다. 또한 이들은 문장에서 홀로 쓰일 수도 있었다.

(1) ㄱ. 암히 수흘 좃놋다(雌隨雄) 《두시언해 초간본 제17권 5장》(암컷이 수컷을 좇는구나)
ㄴ. 수 라 머리 바  求거  암히 우루믈 슬피더라(雄飛遠求食 雌者鳴辛酸)《두시언해 중간본 제17권 7장》(수컷은 날아 멀리 밥을 구하거늘 암컷이 울음을 슬피하더라)

그리고, ‘안〔內〕’과 ‘살〔肉〕’은 현대국어에서 홀로 쓰일 수는 있지만 중세국어에서 역시 말음에 ‘ㅎ’ 소리를 가지고 있던 말이다.

(2) ㄱ. 內 안히라 《월인석보 1권 20장》(內는 안이라)
ㄴ. 안콰 밧기 貴賤이 다나 《두시언해 초간본 8권 5장》(안과 밖이 귀천이 다르나)
ㄷ.  菩薩이 몸과 콰 손과 … 《석보상절 13권 19장》(또 보살이 몸과 살과 손과 …)
ㄹ.  낱  좌샤 히 여위신 《월인천강지곡 상권 23장》(한 낱 쌀을 잡수시어 살이 여위신들)

현대국어에서는 이들 단어들이 문장에서 홀로 쓰일 때는 말음 ‘ㅎ’ 소리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수+닭, 수+강아지, 암+돼지, 안+밖, 살+고기’ 등과 같은 결합에서는 바로 이 ‘ㅎ’ 말음 소리의 자취가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수탉】, 【수캉아지】, 【암퇘지】, 【안팍】, 【살코기】’ 등으로 발음되는 것이다. 그래서 ‘한글 맞춤법’ 제31항과 ‘표준어 규정’ 제7항에서는 ‘암-, 수-’ 등에서 말음 ‘ㅎ’은 밝혀 적지는 않으나, 이들과 결합한 말들에서 거센소리가 나는 것을 인정하여 ‘암캐, 수탉, 암퇘지, 안팎, 살코기’ 등과 같이 거센소리로 쓰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