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

질 문 >‘새롭다’의 활용형으로 ‘새로와’가 맞습니까, ‘새로워’가 맞습니까?

답 변 >  국어에는 어간에 어미를 결합할 때 어간의 끝음절 모음에 따라 다른 어미를 적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간의 끝음절이 ‘ㅏ, ㅗ, ㅑ’일 때에는 (1)과 같이 연결어미를 ‘-아’ 계열로 쓰고, 그 밖의 모음일 때에는 (2)와 같이 ‘-어’ 계열로 씁니다.[한글 맞춤법 제16항 참조]

그러면 질문하신 ‘새롭다’와 같이 어간의 끝받침 ‘ㅂ’이 모음 앞에서 ‘우’로 바뀌는 용언 어간은 연결어미 ‘-아/-어’의 두 계열 가운데 어느 계열과 결합할까요? 이러한 경우에는 다음의 (3)와 같이 ‘-어’ 계열과 결합하여 ‘-워’로 적습니다.[한글 맞춤법 제18항 제6번 참조]

즉, 어간의 끝음절 모음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어간이 단음절일 경우는 이와 다릅니다. (4)과 같이 모음이 ‘ㅗ’일 때에는 ‘-아’ 계열의 어미와 결합하여 ‘와’로 적고, (5)와 같이 그 밖의 모음일 때에는 ‘-어’ 계열의 어미와 결합하여 ‘워’로 적는 것입니다. 즉, ‘곱다, 돕다’처럼 어간의 모음이 ‘ㅗ’일 때만 ‘-아’ 계열의 어미와 결합합니다.[한글 맞춤법 제18항 제6번 다만 참조].

결국 질문하신 ‘새롭다’의 활용형은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ㅗ’이지만 단음절 어간이 아니므로 ‘-어’ 계열과 결합한 ‘새로워’가 맞습니다. 이 밖에 ‘순조롭다’도 같은 이유로 ‘순조로워’가 맞습니다.

 

♣  『당신의 표준 발음법 실력은?』에 대한 정답과 해설  ♣

1. 「표준 발음법」 제6항 [붙임]에 따르면 용언의 단음절 어간에 어미 ‘-어’가 결합되어 한 음절로 축약되는 경우에도 긴소리로 발음하므로  줘: 가 맞음.

2. 제1번과 같은 경우이지만 ‘와<오+아>’, ‘져<지+어>’, ‘쳐<치+어>’는 예외적으로 짧게 발음하므로 [와]가 맞음(「표준 발음법」 제6항 [붙임]의 다만 참조).

3. ‘살다 살:다 ’처럼 긴소리를 가진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그 용언 어간이 짧게 발음되므로 [사라]가 맞음(「표준 발음법」 제7항 제1번 참조).

4. 겹받침 ‘ㄼ’은 자음 앞에서 [ㄹ]로 발음하므로 [널따]가 맞음(「표준 발음법」 제10항 참조).

5. 겹받침 ‘ㄼ’은 자음 앞에서 [ㄹ]로 발음하지만 ‘밟-’는 예외적으로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하므로 [밤:는]이 맞음(「표준 발음법」 제10항 다만 참조). [밤:는]은 ‘ㄴ’의 비음 앞에서 ‘ㅂ’이 ‘ㅁ’으로 동화된 것임.

6. 겹받침 ‘ㄺ’은 자음 앞에서 [ㄱ]으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하므로 [말께]가 맞음(「표준 발음법」 제11항 다만 참조).

7. 겹받침 ‘ㄺ’은 자음 앞에서 [ㄱ]으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국찌카다]가 맞음(「표준 발음법」 제11항 참조).

8. ‘ㅎ’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우, ‘ㅎ’은 발음하지 않으므로 [싸이다]가 맞음
       (「표준 발음법」 제12항 제4번 참조).

9. 「표준 발음법」 제14항에 따르면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와 결합되는 경우, 뒤의 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그런데 뒤의 것이 ‘ㅅ’일 때는 된소리로 발음하므로 [업:써]가 맞음.

10. 겹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ㅗ, ㅜ, ㅟ’ 들로 시작되는 실질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독립형으로 쓰이는 받침의 소리를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하므로 [너겁따]가 맞음(「표준 발음법」 제15항 [붙임] 참조).

11. ‘ㄴ’은 ‘ㄹ’의 앞에서 [ㄹ]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예외적으로 ‘이원론’은 ‘ㄹ’을 [ㄴ]으로 발음하므로 [이:원논]이 맞음(「표준 발음법」 제20항 다만 참조).

12. ‘ㄴ’이 ‘ㅁ, ㅂ, ㅃ, ㅍ’ 등의 앞에서 ‘ㅁ’으로 역행동화되는 것은 「표준 발음법」에서 인정하지 않으므로 [문뻡]이 맞고 [뭄뻡]은 맞지 않음(「표준 발음법」 제21항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