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

 

물음>      놀다’와 같이 ‘ㄹ’로 끝나는 용언의 명사형은 어떻게 적어야 합니까?
답변>     
 놀다’와 같이 ‘ㄹ’로 끝나는 용언은 활용할 때 ‘놀-’이라는 어간을 유지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어간의 받침 ‘ㄹ’이 줄기도 합니다.

(1) ㄱ. 먹다: 먹고 먹어 먹으며 먹음     ↔  먹으니 먹은 먹습니다 먹으시다 먹으오 먹을

     ㄴ. 놀다: 놀고 놀아 놀며   놂      ↔  노니   논   놉니다   노시다   노오   놀

     ㄷ. 가다: 가고 가서 가며    감      ↔  가니   간   갑니다   가시다   가오   갈

‘ㄹ’ 받침을 가진 어간은 (1ㄴ)의 ‘놀고, 놀아, 놀며’처럼 ‘놀-’이라는 어간을 유지하기도 하지만 (1ㄴ)의 ‘노니/논, 놉시다, 노시다, 노오, 놀’처럼 어미의 첫소리 ‘ㄴ, ㅂ, ㅅ’ 및 어미 ‘-(으)오, -(으)ㄹ’ 앞에서는 어간의 받침 ‘ㄹ’이 줄어지기도 합니다.[「한글 맞춤법」 제18항 참조] ‘ㄹ’ 받침을 가진 모든 어간이 이와 같이 활용합니다.

‘ㄹ’ 받침을 가진 용언의 명사형은 어간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ㄹ’은 어미의 첫소리 ‘ㄴ, ㅂ, ㅅ’ 및 어미 ‘-(으)오, -(으)ㄹ’ 앞에서만 줄어지기 때문입니다. ‘놀며’에서 보는 것처럼 ‘ㅁ’ 앞에서는 ‘ㄹ’이 줄어지지 않습니다. ‘놂을(놂+을)’이 [놀믈]처럼 ‘ㄹ’이 소리나는 것을 통해서도 그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놀다’의 명사형이 ‘놀음’이 아니라 ‘놂’이 되는 것은 모음이나 ‘ㄹ’ 받침 뒤에서 어미의 일부분인 ‘으’가 탈락하는 규칙에 따릅니다. ‘*놀음’이 ‘놂’이 된 것입니다. ‘먹으며, 놀며, 가며 : 먹으니, 노니, 가니’ 등과의 비교의 의해서도 모음이나 ‘ㄹ’ 받침 뒤에서 어미의 일부분인 ‘으’가 탈락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명사형을 만드는 것들에는 다음과 같은 예들이 있습니다.

(2) 만들다 → 만듦, 갈다 → 갊, 빌다 → 빎, 어질다 → 어짊, 멀다 → 멂

그러나 파생명사의 경우에는 명사형과 달리 ‘-음’이 결합될 수 있습니다. 파생명사는 용언의 어간에 파생접사인 ‘-음’이 결합되어 형성됩니다. ‘놀다’의 파생명사는 ‘놀음[여럿이 모여 즐겁게 노는 일]’이나 ‘노름[돈이나 물건를 걸고 주사위, 화투, 트럼프 따위를 사용하여 서로 따먹기를 하는 짓]’이 됩니다. 이런 파생명사들은 명사형과 달리 용언의 서술성도 상실되고 용언의 어간이 가지는 의미와도 약간 변화한 것으로 명사형과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

 

  ♣  『당신의 표준어 실력은?』에 대한 정답과 해설  ♣

1. ‘-배기/빼기’가 혼동될 수 있는 단어는 [배기]로 발음되는 경우에는 ‘배기’로 적고 [빼기]로 발음되는 경우에는 ‘빼기’로 적어야 하지만 ‘ㄱ, 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지 아니하므로(「한글 맞춤법」 제5항 참조) 뚝배기가 맞음.

 2. 「한글 맞춤법」 제16항에서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에만 어미를 ‘-아’로 적도록 하고 있으므로 ‘뱉어’가 맞음.

 3.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아니하는 것은 아니 나는 대로 적으므로 ‘부나비’가 맞음.

 4. 한자어끼리 결합한 합성어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셋방(貰房)’을 포함해 ‘곳간(庫間),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는 예외로서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음.

 5. 내용상 ‘두드러지게 드러나다’의 의미를 가지는 ‘띄다’가 맞음. ‘띄다’는 ‘뜨이다’의 준말임.

6. 내용상 ‘어떤 사실에 직면하다’이므로 ‘부딪치다’가 맞음.

 7. 부사에 ‘-이’가 붙어 역시 부사가 된 말이므로 ‘곰곰이’가 맞음.

 8. ‘수락하는지’, ‘수락했는지’와의 체계를 고려할 때 ‘수락할는지’가 맞음. ‘수락할는지’는 ‘수락하-’에 ‘-(으)ㄹ는지’가 결합한 말임.

 9. 끝소리가 ‘ㄹ’인 말과 딴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ㄷ’ 소리로 나는 것은 ‘ㄷ’으로 적는다는 규정(「한글 맞춤법」 제29항)에 따라 ‘숟가락’으로 적어야 함.

10. ‘상추’가 표준어임.

11. ‘천장’과 ‘천정’은 아무런 의미 차이 없이 쓰이는 말인데 더 널리 쓰이는 ‘천장’만을 표준어로 인정함. ‘천정부지(天井不知’는 ‘천장’임.

12. ‘세, 서, 석’은 모두 표준어로 인정되지만 뒤에 오는 단위명사에 따라 달리 쓰임. 단위명사 ‘되’가 뒤에 올 때는 ‘석’만을 표준어로 인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