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일본어 표기법과 나의 의견
1. 들어가기
우리말 어휘를 크게 세 부류로 나눌 때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가 있는데, 어휘 체계의 안정성으로 보면 외래어는 이 중에서 가장 안정적이지 못하다. 신제품이 하루가 멀다하고 세계 시장에 쏟아져 나와 곧 우리에게 소개되는 세상에서 새로운 상품명, 새로운 개념이 우리의 어휘 체계로 들어오는 것은 막을 수 없는 일이다.2. 외래어 표기법의 원칙
현행 외래어 표기법2) 은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2장 표기 일람표, 제3장 표기 세칙, 제4장 인명·지명 표기의 원칙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중 표기의 기본 원칙은 5개항3) 으로 되어 있다.2.1. 일본어 표기법
표기 일람표 중에서 ‘일본어의 가나와 한글 대조표’ 가운데 논의에 관련되는 부분을 옮기면 다음과 같다.가 나 | 한 글 | |
어 두 | 어 중·어 말 | |
カ キ ク ケ コ タ チ ツ テ ト ヤ イ ユ エ ヨ ワ (ヰ) ウ (ヱ) ヲ ン ガ ギ グ ゲ ゴ ザ ジ ズ ゼ ゾ ダ ヂ ヅ デ ド |
가 기 구 게 고 ① 다 지 쓰 데 도 ② 야 이 유 에 요 ③ 와 (이) 우 (에) 오 ④ ⑤ 가 기 구 게 고 ⑥ 자 지 즈 제 조 ⑦ 다 지 즈 데 도 ⑧ |
카 키 쿠 케 코 타 치 쓰 테 토 야 이 유 에 요 와 (이) 우 (에) 오 ㄴ 가 기 구 게 고 자 지 즈 제 조 다 지 즈 데 도 |
キャ キュ キョ ジャ ジュ ジョ チャ チュ チョ |
갸 규 교 ⑨ 자 주 조 ⑩ 자 주 조 ⑪ |
캬 큐 쿄 자 주 조 차 추 초 |
제1항 | 촉음(促音) 「ッ」는 ‘ㅅ’으로 통일하여 적는다. サッポロ 삿포로, トットリ 돗토리, ヨッカイチ 욧카이치 |
제2항 | 장모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キュウシュウ(九州)규슈, ニイガタ(新渴)니가타, トウキョウ(東京)도쿄, オオサカ(大阪)오사카 |
1) | 큰사전(1957)에 실린 말: 가께수리, 가다꾸리, 가다방, 가마니, 가마보꼬, 구루마, 다꾸앙, 다마네기, 뎀뿌라, 스데끼, 오뎅, 우동, 유담뽀 |
2) | 우리말 큰사전(1992)에서 제외된 말: 가다꾸리, 가다방, 뎀뿌라, 스데끼 |
3) | 우리말 큰사전(1992)에 어형이 바뀌어 실린 말: 가마보꼬→가마보코, 유담뽀→유단뽀 |
2.3. 일본의 외래어 표기
일본의 어문 정책은 1946년의 한자 사용 제한, 철자법의 정비 등 강력한 개혁 이후 30여 년이 지나면서 1981년의 한자 사용의 완화, 1986년의 철자법의 제한 완화 등으로 전반적으로 느슨하여진 경향이다. 외래어 표기에 관한 것도 같은 경향에 있다. 1991년에 고시한 외래어 표기법의 몇 가지 특징을 말하면, 첫째, 일부 외래음 음절에 대해 두 종류의 표기법을 인정한 것은 과거의 기준에 비해 원음이나 원철자에 보다 가깝게 적을 필요가 있을 때에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표의 第2表). 기존의 음절표에 없던 문자 결합을 인정하게 되었다. 즉 小字 ‘ァ、ィ、ゥ、ェ、ォ’를 사용하게 되어서, /ti, di/, /kwa, kwi, kwe, kwo/ 등 다양한 음절을 나타내게 되었다. 이로써 비교적 자유롭게 외국어를 표기할 수 있게 되었다.10) 둘째, 관용이 있으면 그것을 인정하고, 표기 기준은 참고 사항일 뿐, 강제력이 없다. 과거의 표기를 부정하는 것도 아니며 고유 명사(인명, 회사명, 상품명 등)에서 반드시 지키라는 것은 아니다.1) | 「シェ」 「ジェ」: (예) シェ-カ-(shaker) ジェットエンジン(jet engine) シェ-クスピア(人, Shakespeare) ミケランジェロ(人, Michaelangelo) |
2) | 「チェ」: (예) チェ-ン(chain) チェス(chess) マンチェスタ-(地, Manchester) |
3) | 「ツァ」 「ツェ」 「ツォ」: (예) コンツェルン(Konzern) カンツォ-ネ(can- zone) フィレンツェ(地, Firenze) モ-ツァルト(人, Mozart) |
4) | 「ティ」 「ディ」: (예) ティ-パ-ティ-(tea party) ディ-ゼルエンジン(diezel engine) アトランティックシティ-(地, Atlantic City) ドニゼッティ(人, Donizetti) |
5) | 「ファ」 「フィ」 「フェ」 「フォ」: (예) ファイル(file) フィ-ト(feet) フェンシング(fencing) フォ-クダンス(folk dance) バッファロ-(地, Buffalo) フィリピン(地, Phillipine) フォスタ-(人, Foster) |
6) | 「デュ」: デュエット(duette) プロデュ-サ-(producer) デュ-イ(人, Dewey) |
1) | 「イェ」: (예) イェルサレム(地, Jerusalem) イェ-ツ(人, Yeats) |
2) | 「ウィ」 「ウェ」 「ウォ」: (예) ウィスキ-(whisky) ウェディングケ-キ(wedding cake) ストップウォッチ(stopwatch) ウィ-ン(地, Wien) スウェ-デン(地, Sweden) |
3) | 「クァ」 「クィ」 「クェ」 「クォ」: (예) クァルテット(quartet) クィンテット(quintet) クェスチョンマ-ク(question mark) クォ-タリ-(quarterly) |
4) | 「グァ」: (예) グァテマラ(地, Guatemala) パラグァイ(地, Paraguai) |
5) | 「ツィ」: (예) ソルジェニツィン(人, Solzenitsin) |
6) | 「トゥ」 「ドゥ」: (예) トゥ-ル-ズ(地, Toulouse) ヒンドゥ-敎(Hindu-敎) |
7) | 「ヴァ」 「ヴィ」 「ヴ」 「ヴェ」 「ヴォ」: (예) ヴァイオリン(vioin) ヴィ-ナス(Venus) ヴェ-ル(veil) ヴォルガ(地, Bolga) ヴィヴァルディ(人, Vivaldi) ヴォルテ-ル(人, Voltaire) |
8) | 「テュ」: (예) テュ-バ(樂器, tuba) テュニジア(地, Tunisia) |
9) | 「フュ」: (예) フュ-ジョン(fusion) ドレフュス(人, Drefuss) |
10) | 「ヴュ」: (예) インタヴュ-(interview) レヴュ-(review) ヴュイヤ-ル(人·畵家) |
第1表 |
|
ア イ ウ エ オ |
|
第2表
|
3. 맺음말
이상으로 간단하나마 현행 외래어 표기법의 일본어 부분에 대하여 살펴보고 필자가 생각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주로 처리에 있어 불비한 점과 원칙과의 상충되는 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관용 표기의 중요성과 작업의 어려움을 보았으며, 일본의 외래어 표기에 쓰이는 새로운 음절표를 소개하였다. 이외에 일본의 문헌을 번역할 때 생기는 문제도 다루었으면 했으나 다루지 못하였다.참 고 문 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