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한자어
1. 머리말
어느 날 아침, 대학 방송국은 ‘우리말 알고 씁시다.”를 강조하고 있었다.음독 | 大根 | 다이콘 | 火事 | 가지 |
훈독 | 手紙 | 데가미 | 名前 | 나마에 |
음·훈 혼합 | 本箱 | 혼바코 | 雨具 | 아마구 |
2. 일본 번역어의 특색
19세기 후기 이후, 중국 측에서 받아들이고, 또 우리말에서도 그대로 통용되고 있는 서구어 계통의 학술 용어 가운데, 중국 고전을 바탕으로 해서 만든 일본의 번역어(한자어)는 다음과 같다2).영어 | 번역어 | 근거 |
revolution | 革命 | 易經 革卦: 湯武 革命, 順乎天而應乎人 |
education | 敎育 | 孟子 盡心: 得天下英才而敎育之 |
literature | 文學 | 論語 先進: 文學, 子游, 子夏(여기의 文學은 文章·博學이라는 뜻) |
culture | 文化 | 束晢 補亡詩: 文化內輯 武功外悠(文化의 원 뜻은 文德敎化) |
civilization | 文明 | 易經 乾卦: 天下文明(文明의 원 뜻은 有文章而光明) |
economics | 經濟 | 文中子: 皆有經濟之道(經濟의 원 뜻은 經世濟民) |
feudal | 封建 | 左傳: 封建親戚 |
machine mechanical |
機械 | 莊子 天地: 有機械者 必有機事 |
opportunity | 機會 | 韓愈가 柳中丞에게 준 글: 動皆中於機會 |
unique | 唯一 | 書經: 惟精惟一 |
oration, speech | 演說 | 書經: 更將此九類而演說之(演說의 원 뜻은 그 說을 펴 가다.) |
comrade | 同志 | 國語: 同心則同志 |
spirit | 精神 | 淮南子: 精者神之氣 神者人之守也 |
concret | 具體 | 孟子: 顔淵則具體而微(具體의 원 뜻은 全體를 갖추다.) |
autocracy | 專制 | 淮南子: 周公事文王也 行無專制(專制의 원 뜻은 일을 독단으로 하다.) |
society | 社會 | 東京夢華錄: 어떤 사당의 제삿날, 제사를 지내러 모인 사람들은 ‘社會’라고 일컬었다. |
work | 勞動(働) | 白居易詩: 勞動故人용閣老(勞動은 본래 勞鴐라는 뜻. 勞鴐는 수고로이 가마를 타고 오다.) |
representation | 表象 | 後漢書: 表象之變(表象은 본래 表見之象이라는 뜻) |
environment circumstance |
環境 | 元史: 環境昨堡砦(環境은 본래 둘러싸고 있는 구역이라는 뜻) |
insurance | 保險 | 隋書 劉元進傳: 其餘黨往往保險爲盜(保險은 원래 험악한 땅을 차지한다는 뜻) |
mean, signify | 意味 | 杜牧 詩: 始覺空門意味長(의미는 본래 樂趣, 意趣 의 뜻) |
1. 명사
영어 | 번역어 | 영어 | 번역어 |
aim | 目的 | actuality | 現實 |
background | 背景 | chemistry | 化學 |
consciousness | 意識 | condition | 條件 |
concept | 槪念 | doctrine | 主義 |
dictatorhip | 獨裁 | definition | 定義 |
deduction | 演繹 | development | 進化 |
element | 成分 | enterprise | 企業 |
gymnastics | 體操 | history | 歷史 |
idea | 觀念 | intuition | 直覺 |
intention | 意圖 | information | 情報 |
matter | 物質 | motion | 動議 |
mobilization | 動員 | object | 對象 |
philosophy | 哲學 | physics | 物理學 |
policy | 政策 | party | 政黨 |
proposition | 命願 | premise | 前提 |
phenomenon | 現象 | police | 警察 |
principle | 原則 | publication | 出版 |
representation | 代表 | reaction | 反應 |
relation | 關係 | science | 科學 |
system | 系統 | synthesis | 綜合 |
telephone | 電話 | tramway | 電車 |
unit | 單位 |
2. 형용사
영어 | 번역어 | 영어 | 번역어 |
absolute | 絶對 | abstract | 抽象 |
affirmative | 肯定 | direct | 直接 |
indirect | 間接 | objective | 客觀 |
negative | 否定 | subjective | 主觀 |
3. 동사
영어 | 번역어 | 영어 | 번역어 |
adjust | 調整 | condition | 制約 |
criticize | 批評, 批判 | generalize | 槪括 |
improve | 改良, 改善 | liberate | 解放 |
영어 | 한어 | 일본어 | 한국어 |
automobile | 汽車 | 自動車 | 自動車 |
cinematograpt | 電影 | 映畵 | 映畵 |
cooperation | 合作社 | 綜合 | 組合 |
engineer | 工程師 | 技師 | 技師 |
object | 賓語 | 目的語 | 目的語 |
post office | 郵(政)局 | 郵便局 | 郵便局→郵遞局 |
postage stamp | 郵票 | 郵便(切手) | (切手)郵便 |
president | (大)總統 | 大統領 | 大統領 |
railway | 鐵路 | 鐵道 | 鐵道, 鐵路 |
soap | 肥皂 | 石¿ | 飛陋 |
station | 車站 | 停車場 | 停車場 |
steamship | 輪船 | 汽船 | 汽船 |
train | 火車 | 汽車 | 汽車 |
韓: 名詞 代名詞 數詞 | 形容詞 動詞 助動詞 | 副詞 接續詞 感歎詞 助詞 |
朝: 名詞 代名詞 | 形容詞 動詞 | 副詞 接續詞 感歎詞 後詞 |
名詞(이름씨) | 代名詞(대이름씨) |
數詞(셈씨) | 動詞(움직씨) |
形容詞(엇더씨) | 指定詞(잡음씨) |
冠形詞(엇던씨) | 副詞(엇지씨) |
感動詞(늣김씨) | 助詞(토씨) |
영어 | 漢 | 日 | 韓 |
subject | 主語 | 主語 | 主語 |
verb | 動詞(述語詞) | 動詞 | 動詞 |
adjective | 形容詞 | 形容詞 | 形容詞 |
adveb | 副詞 | 副詞 | 副詞 |
form | 形態 | 形態 | 形態 |
category | 範疇 | 範疇 | 範疇 |
complement | 補語 | 補語 | 補語 |
passive form | 被動式 | 被動式 | 被動式 |
predicate | 謂語 | 述語 | 述語 |
preposition | 介詞 | 前置詞, 介詞 | 前置詞 |
sentence | 句子 | 文 | 文 |
syntax | 句法 |
統辭法 構文法 |
統辭論 構文法 |
intransitive verd | 不及物動詞 | 自動詞 | 自動詞 |
transitive verd | 及物動詞 | 他動詞 | 他動詞 |
imperative sentence | 祈使句 | 命令文 | 命令文 |
function | 功能 | 職能 | 職能 |
deep structure | 基底結構 | 深層構造 | 深層構造 |
3. 흘러 들어온 일본 한자어
일본어식 한자어는, 두 가지 방식으로 우리말 속에 흘러 들어왔다. 하나는 일본어에서 음독하는 한자어를 그대로 받아들여서 우리나라 한자음(漢字音)으로 음독하여 통용하고 있는 경우다.한자어 | 일 | 한(한국 한자음) |
案內 | 안나이 | 안내 |
照會 | 쇼카이 | 조회 |
一生 | 잇소 | 일생 |
한자어 | 일 | 한 |
明渡(시) | 아케와다시 | 명도 |
差入 | 사시이레 | 차입 |
請負(우) | 우케오우 | 청부 |
假縫 | 가리누이 | 가봉 |
보기 | 일 | 한 | 뜻 |
頑張(루) | 간바루 | 완장 | 버팀, 버티다 |
成程 | 나루호도 | 성정 | 과연 |
流石(노) | 사스가(노) | 유석 | 한다하는 |
締切 | 시메키리 | 체절 | 마감 |
割箸 | 와리바시 | 할저 | 소독저 |
4. 우리말에 스며든 일본 한자어
(1) 1910년대
먼저 박중화(朴重華)가 1909년에 지은 ‘修正增補 日語大海 全’ (隆熙 3年 2月 15日 初版, 1920年 12月 8日 9版, 朝鮮圖書株式會社)에서 일본어식 한자어와 우리말에서 통용하고 있던 한자어를 대조해 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는,한 | 일 | 일본음 |
兒孩 | 子供 | 고도모 |
弄談 | 冗談 | 조단 |
한국 한자어 | 일본 한자어 | 일본음 | 현용 |
下人 | 小使 | 고스카이 | 小使 소사 |
兒孩 | 子供 | 고모도 | × |
父母 | 親 | 오야 | × |
木手 | 大工 | 다이쿠 | × |
醫員 | 醫著 | 이샤 | × |
泥匠 | 左官 | 사칸 | 左官(사깡) |
工夫 | 勉强 | 벤쿄 | × |
求景 | 見物 | 겐부쓰 | × |
議論 | 相談 | 소단 | 相談 상담 |
居處室 | 居間 | 이마 | × |
應接室 | 應接間 | 오세쓰마 | × |
弄談 | 冗談 | 조단 | × |
妨害 | 迷惑 | 메이와쿠 | × |
一朔 | 一月 | 히도쓰키 | × |
變通 | 融通 | 유스 | 融通 융통(漢: 通融, 臨機應變) |
物件 | 品物 | 시나모노 | × |
停車場 | 停車場 | 데이샤바 | 停車場 정거장 |
汽車 | 汽車 | 기샤 | 汽車 기차 |
片紙 | 手紙 | 데가미 | × |
演說 | 演說 | 엔세쓰 | 演說 연설 |
身病 | 病氣 | 뵤오키 | ×, 炳병 |
作亂 | 惡戱 | 이다즈라 | × |
歲月 | 月日 | 쓰키히 | × |
節候 | 時侯 | 지고오 | × |
滿發 | 滿開 | 만카이 |
滿發, 滿開 만발, 만개 국어에도 만개 있음 |
今番 | 今度 | 곤도 | × |
消暢 | 保養 | 호요오 | 保養 보양 |
寒暖計 | 寒暖計 | 간단케이 | 寒暖計 한난계(漢: 寒暑錶) |
朝夕 | 朝晩 | 아사반 | × |
丹楓 | 紅葉 | 모미지 | × |
準備 | 用意 | 요오이 | × |
外貌 | 見掛 | 마카케 | × |
移秧 | 田植 | 다우에 | × |
火爐 | 火鉢 | 히바치 | × |
房內 | 空內 | 시쓰나이 | 空內 실내 |
年終 | 年未 | 넨마쓰 | 年未 연말 |
大端(히) | 大分 | 다이부 | × |
日氣 | 天氣 | 덴키 | × |
迫頭 | 切迫 | 셋파쿠 | × |
臨時 | 間際 | 마기와 | × |
近地 | 近所 | 긴조 | × |
近地 | 近邊 | 긴펜 近所긴조 | × |
方向 | 方角 | 호가쿠 | × |
親舊 | 友達 | 도모다치 | × |
交際 | 付合 | 쓰키아이 | × |
方席 | 座蒱團 | 자부동 | × |
體面(없이) | 遠慮(나시) | 엔료나시 | × |
工夫 | 稽古 | 게이코 | × |
不便 | 不自由 | 후지유 | 不便, 不自由 불편, 부자유 |
恒常 | 始終 | 시주우 | 恒常, 始終 항상, 시종 |
忍耐 | 辛垉 | 신보오 | × |
點心 | 書飯 | 히루한 | × |
貧寒 | 貧乏 | 빈보오 | × |
苦生 | 難儀 | 난기 | × |
大端(히) | 大層 | 다이소오 | × |
模樣 | 樣子 | 요오스 | × |
親愛 | 親切 | 신세쓰 | 親切 친절 |
期於(히) | 是非 | 제히 | × |
左便 | 左側 | 히다리가와 | 左側, 左便, 좌측, 좌편 |
捷徑 | 近路 | 지카미치 | × |
失禮 | 失敬, 失禮 | 싯게이, 시쓰레이 | 失禮 실례 |
氣體 | 機嫌 | 기겐 | × |
近間 | 近頃 | 지카고로 | × |
感氣 | 風邪 | 가제 | × |
效驗 | 效能 | 고오노오 | × |
調攝 | 養生 | 요오조오 | × |
安寧 | 達者 | 닷샤 | × |
近來(近者) | 近頃 | 지카고로 | × |
他處 | 餘所 | 요소 | × |
奔走 | 煩忙 | 한보오 | × |
病患 | 炳氣 | 뵤오키 | × |
室人 | 家內 | 가나이 | × |
慰問 | 見舞 | 미마이 | × |
旅館 | 宿屋 | 야도야 | × |
淨潔 | 奇麗 | 기레이 | × |
餘食 | 御馳走 | 고지소오 | × |
弊 | 御厄介 | 고약카이 | × |
演劇 | 芝居 | 시바이 | × |
作亂 | 惡戱 | 이다즈라 | × |
用力 | 世話 | 세와 | × |
功效 | 甲斐 | 가히 | × |
子弟(분) | 御息子樣 | 오무스코상 | × |
怜俐 | 悧口 | 리코오 | × |
親舊 | 友人 | 유우징 | 友人, 親舊 |
燭籠 | 提灯 | 조오징 | × |
來往 | 往復 | 오오후쿠 | 往復 |
各處 | 方方 | 호오보오 | × |
景致 | 景色 | 게시키 | × |
葉卷烟 | 葉卷 | 하마키 | × |
暫間 | 一寸 | 좃토 | × |
德分 | 御陰樣 | 오카게사마 | × |
害工 | 邪魔 | 자마 | × |
雨日 | 雨天 | 우뎅 | × |
大端 | 大變 | 다이헨 | × |
任務 | 役目 | 야쿠메 | × |
任務分擔 | 役割 | 야쿠와리 | 役割 역할 |
掛念 | 頓着 | 돈차쿠 | × |
請牒 | 案內狀 | 안나이조우 | 案內狀, 請牒(狀) 안내장, 청첩 |
接待員 | 接待係 | 셋다이가카리 | 接待係(員) 접대계 |
價値 | 値打 | 네우치 | × |
靴襪 | 靴下 | 구쓰시다 | × |
裁法 | 仕立 | 시다데 | × |
接依 | 袷衣 | 아와세 | × |
針工 | 針仕事 | 하리시고도 | × |
針工집(裁縫所) | 仕立屋 | 시다데야 | × |
自己 | 自分 | 지분 | × |
工錢 | 手間賃 | 데미친 | × |
寢依 | 寢卷 | 네마키 | × |
飛陋 | 石¿ | 셋켄 | × |
寢具 | 夜具 | 야구 | × |
黑羽緞 | 黑天鵝紱 | 구로비로오도 | × (葡 velludo→漢→日) |
風當耳 | 頭巾 | 즈킨 | →頭巾 두건 |
褥 | 敷蒲團 | 시키부동 | × |
衣藏(籠) | 簞司 | 단스 | × |
長籠 | 長持 | 나가모치 | × |
箱子 | 行李 | 고오리 | × |
唐木 | 金巾 | 가나킨 | × |
紋彩 | 模樣 | 모요오 | × |
한국 한자어 | 일본 한자어 | 일본음 | 현용 |
儉素 | 質素 | 지미 | × |
掌甲 | 手袋 | 데부쿠로 | × |
行纏 | 脚絆 | 갸쿠항 | × |
吐手 | 腕拔 | 우데누키 | × |
毯褥 | 毛布 | 모오후 | 手布, 毯褥, 모포, 담요 |
陽傘 | 蝙蝠傘 | 고오모리가사 | × |
生鮮 | 生物 | 나마모노 | × |
膾 | 刺身 | 사시미 | × |
鷄卵 | 王子 | 다마고 | × |
菜蔬店 | 八百屋 | 야호야 | × |
出入 | 外出 | 가이슈쓰 | 外出 외출 |
白太 | 大荳 | 다이즈 | 大豆(荳) 대두 |
風俗 | 風習 | 후우슈 | 風俗, 風習 풍속, 풍습 |
再昨年 | 一昨年 | 잇사쿠넹 | × |
輪船 | 汽船 | 기셍 | 汽船 기선 |
二層 | 二階 | 니카이 | × |
基地 | 敷地 | 시키치 | 敷地 부지 |
建築 | 普請 | 후싱 | × |
災殃 | 災難 | 사이난 | 災難, 災殃 재난, 재앙 |
平家 | 平屋 | 히라야 | 平屋 평옥 |
貰家 | 貸家, 借家 | 가시야, 샤쿠야 | × |
位置 | 場所 | 바쇼 | 場所, 位置 장소, 위치 |
家基 | 野敷 | 야시키 | × |
修補 | 修繕 | 슈우젠 | 修繕 수선 |
日氣 | 日和 | 히요리 | × |
沐浴場 | 風呂場 | 후로바 | × |
廚房 | 臺所 | 다이도코로 | × |
書冊 | 書物 | 쇼모쓰 | × |
琉璃 | 硝子 | 가라스 | 硝子, 琉璃 초자, 유리 |
浮費 | 費用 | 히요오 | 費用 비용 |
冊床 | 机 | 쓰쿠에 | × |
冊藏 | 本箱 | 혼바코 | × |
壁藏 | 押入 | 오시이레 | 壁藏 벽장, 押入(오시이레) |
寢床 | 寢臺 | 네다이 | 寢臺 침대 |
한ㆍ일 | 참고(漢語) | 한ㆍ일 | 참고(漢語) |
月曜日 | 星期一 | 火ㆍ水ㆍ木ㆍ金ㆍ土曜日 | 星期二ㆍ三ㆍ四ㆍ五ㆍ六 |
日曜日 | 星期日 | 博物館 | 博物館 |
便便局 | 郵局 | 運動會 | 運動會 |
洋服 | 西服 | 燕尾服 | 燕尾服 |
券烟草 | 紙烟, 雪茄 | 活動寫眞 | 電影 |
年賀狀 | 賀年片(信) | 毛織 | 毛織 |
時計 | 鐘,錶 | 蚊帳 | 蚊帳 |
朝飯 | 早飯 | 葡萄酒 | 葡萄酒 |
料理 |
菜(반찬) 做菜(찬을 만들다) |
西洋料理 洋食 |
西餐 西餐 |
副食物 | 副食品 | 蛋白質 | 蛋白質 |
茶店 | 茶館, 茶棚 | 元氣 | 元氣, 精力 |
文明國 | 文明國 | 早速 | 火速, 立核 |
俱樂部 | 俱樂部 | 落成式 | 落成典禮 |
軍艦 | 軍艦 | 工科大學 | 工學院 |
卒業 | 畢業 | 苦心 | 苦心, 費心 |
有名, 著名 | 有名, 著名 | 別莊 | 別墅 |
賃金 | 工資 | 障子 | 拉窗 |
掃除 | 打掃 |
한 | 일 | 現用 |
一色 | 美人 | 一色은 文語化 |
引導 | 案內 | 案內 |
印朱 | 印肉 | 印朱 |
移舍(徙) | 轉居 轉宅 | 移徙 |
¿養間 | 牛小舍 | 외양깐 |
異常 | 不可思議, 怪事 | 異常, 不可思議 |
隱君子 | 賣笑婦 | (私娼女) |
韻致 | 風流, 風致 | 韻致, 風致 |
弄談 | 戱言, 戱談 | 弄談 |
路資 | 旅費 | 旅費 |
方蓆 | 座浦團 | 方蓆 |
方文 | 處方箋 | 方文, 處方箋 |
白炭 | 木炭 | 木炭 |
半産 | 流産 | 流産 |
白退 | 却下 | 却下 |
半指 | 指還 | 半指 |
半作 | 小作 | 小作 |
防豫 | 禁厭, 呪咀 | 呪咀 |
擺撥 | 傳令 | 傳令 |
把守 | 步哨 | 步哨 |
望拜 | 遙拜 | 遙拜 |
發明 | 辯明 | 辯明 |
發說 | 首謨, 發議 | 發議 |
頒布 | 布告, 告示 | 布告, 告示 |
榜文 | 廣告文, 揭示文, 張札 | 揭示文, 廣告文 |
賠補 | 賠償 | 賠償 |
廢庄 | 荒蕪地 | 荒蕪地 |
入直 | 宿直, 當番 | 宿直 |
入口 | 輸入, 移入 | 輸入 |
日間 | 近日 | 近日 |
日前 | 先日 | 日前 |
任意 | 隨意 | 任意 |
妄發 | 失言, 妄語 | 失言, 妄發 |
防築 | 堤防, 堰 | 堤防 |
沒入 | 沒收 | 沒收 |
防川 | 堤防 | 堤防 |
飽滿 | 飽食, 滿腹 | 飽食 |
放送 | 放免 | 放免 |
奔走 | 多忙 | 奔走, 多忙 |
保人 | 保證人 | 保證人 |
保放 | 保釋 | 保釋 |
浦口 | 船着場 | 浦口, 船着場 |
捧入 | 領收 | 領收 |
捧稅官 | 徵稅官 | 徵稅官 |
募軍 | 人夫 | 人夫 |
片紙ㆍ便紙 | 手紙 | 便紙 |
弊端 | 弊害 | 弊端, 弊害 |
變通 | 融通, 調達 | 調達, 融通, (變通) |
辦備 | 用意, 準備 | 準備 |
辦巖 | 判決書 | 判決書 |
邊利 | 利子 | 利子 |
瞥眼間 | 瞬間, 一刹那 | 瞥眼間, 瞬間 |
土店 | 砂金礦場 | 砂金礦場 |
斗護 | 後見, 看視, 看護 | 後見, 看護 |
同事 | 組合, 共同營業者 | 組合 |
唐根 | 食用人蔘 | 唐根 |
得用 | 借用(金錢上) | 借用 |
登記 | 書留郵便 | 登記, 8.15 이전은 가키도메(書留) |
途排匠 | 表具師 | 表具師 |
騰錄 | 寫本, 記錄 | 寫本 |
丈家 | 妻家 | 妻家, 장가가다(婚姻하다) |
地動 | 地震 | 地震 |
治罪 | 處分 | 處分 |
直領 | 禮服 | 禮服 |
帳設 | 豫算, 準備金 | 豫算 |
調攝 | 養生, 攝生 | 調攝 |
籌板 | 算盤 | 籌板 |
留置 | 保管 | 保管 |
流通 | 流行 | 流行(유통의 현행 뜻은 흘러 통하는 것) |
領座 | 水夫長 | 水夫長 |
離別 | 離緣(離婚), 袂別 | 離別, 袂別 |
於音 | 約束手形 | 於音 |
應當 | 多分 | 多分(히), 應當(아마) |
下世 | 死亡 | 死亡 |
下陸 | 上陸 | 上陸 |
甘結 | (觀察使의) 訓示,訓令 | 訓示, 訓令 |
行實 | 行儀, 品行 | 品行, 行實 |
行下 | 賞與 | 賞與(보너스) |
旱澇 | 旱魃 | 旱魃 |
海關 | 稅關 | 稅關 |
看色 | 見本 | 見本 |
客地 | 他鄕 | 客地, 他鄕 |
烚似 | 酷似 | 烚似, 酷似 |
活人 | 救濟 | 救濟 |
香泉 | 淸酒 | 淸酒 |
看事人 | 支配人, 管理者 | 支配人, 管理者 |
乾沒 | 橫領 | 橫領 |
革罷 | 廢止 | 發止 |
格軍 | 海員, 水夫 | 海員, 水夫 |
換錢 | 雨替 | 換錢 |
眼界 | 展望 | 展望 |
項穴 | 咽喉 | 咽喉 |
眼同 | 隨行子, 護送, 押送 |
護送, 押送 眼同은 사람을 함께 보내는 것 |
假害 | 露店 | 露店 |
假放 | 假出獄 | 假出獄 |
葭莩 | 姻戚 | 姻戚 |
歇價 | 廉價 | 廉價, 喝값 |
過給 | 加給 | 加給 |
開銷 | 出入 | 出入 |
會民 | 會員 | 會員 |
解産 | 出産, 分娩 | 出産, 解産, 分娩 |
感氣 | 感冒, 風邪 | 感氣 |
價文 | 金額, 物價, 代金 | 代金 |
價金(額) | 代金 | 代金 |
濶手 | 慈善家 | 慈善家 |
擱散 | 解散 | 解散 |
容納 | 容赦, 宥恕 | 容納, 容赦, 宥恕 |
客貌泡記 | 人相書 | 人相書 |
丹靑 | 彩色 | 丹靑 |
丹骨 | 顧客 | 顧客, 단골 |
他作 | 小作 | 小作 |
代身 | 代理 | 代身, 代理 |
宅相 | 外孫 | 外孫 |
妥貼 | 妥協 | 妥協 |
但只 | 唯一 | 但只 |
待接 | 接待, 應接 | 待接, 接待, 應接 |
退定 | 延期 | 延期 |
脫服 | 忌明 | 脫服 |
堂叔 | 從叔父 | 堂叔 |
毯褥 | 毛布 | 毯褥(요), 毛布 |
單子 | 目錄 | 單子, 目錄 |
答章 | 返事, 回答 | 回答, 答章(狀) |
團束 | 取締 | 團束, 取締 |
當付 | 下命 | 當付, 下命 |
當身 | 貴殿, 貴下 | 當身, 貴下 |
蕩減 | 免除 | 蕩減, 免除 |
料量 | 想像, 見積 | 料量, 見積 |
廉探 | 探査, 偵察 | 探査, 偵察, 廉探 |
零在 | 殘額 | 殘額 |
零條 | 殘高 | 殘高(零條는 조금 남은 것) |
卽錢 | 現金 | 現金 |
息筒 | 氣管 | 氣管 |
息訟 | 取下 | 取下 |
摠拱 | 總計, 總額 | 總計, 總額 |
蘇醒 | 蘇生 | 蘇生 |
贖官 | 沒收 | 沒收 |
贖公 | 沒收 | 沒收 |
通奇 | 消息, 通知 | 通知 |
通奸 | 姦通 | 姦通 |
圖形 | 圖面 | 圖面 |
圖章 | 印章 | 印章, 圖章 |
挪用 | 流用, 轉用 | 流用, 轉用 |
來歷病 | 遺傳病 | 遺傳病 |
亂離 | 騷動, 戰亂 | 戰亂, 亂離 |
落科 | 敗訴, 不合格, 落第 | 落第, 不合格, 取訴 |
化去 | 死亡 | 死亡 |
瓜熟 | 滿期 | 滿期 |
伙物 | 家具 | 家具 |
回玉 | 回答 | 回答 |
回甲, 還甲 | 還歷 | 回甲, 還歷, 還甲 |
屈道 | 迂回道 | 迂回道 |
官況 | (官史의)報酬 | 報酬 |
空日 | 日曜日 | 日曜日, 空日 |
軍士 | 兵士 | 兵士 |
廣大 | 俳優 | 俳優 |
洋灰水 | 苛性曹達 | 苛性曹達 |
洋糸 | 紡績糸 | 紡績糸 |
萬警 | 非常線 | 萬警 |
萬物店 | 雜貨店 | 雜貨店 |
磨鍊 | 調達, 準備 | 調達, 準備 |
月花 | 月經 | 月經 |
見樣 | 見本 | 見本 |
血綠 | 血脈 | 血脈 |
圭角 | 紛爭, 議論 | 紛爭, (議論) |
袂子 | 禮服 | 禮服 |
付托 | 依賴, 依托 | 付托, 依賴 |
物主 | 荷主, 資本主 | 物主, 荷主, 資本主 |
負袱商 | 小行商人 | (小)行商人 |
浮費 | 費用 | 費用 |
袱商 | 行商人 | 行商人 |
聞見 | 見聞 | 見聞 |
複道 | 廊下 | 廊下, 複道 |
股主 | 株主 | 株主 |
呼角 | 警笛 | 呼角, 警笛 |
誤死 | 變死 | 變死 |
役事 | 工事 | 役事, 工事 |
役軍 | 人夫 | 人夫 |
疫疾 | 天然痘 | 天然痘 |
緣分 | 因緣 | 因緣, 緣分 |
天漢, 天潢 | 銀河 | 銀河 |
佃戶 | 農家 | 農家 |
點考 | (詳細한)取調 | 取調 |
(2) 1940년대
위에 든 대조표를 보면, 우리 고유의 한자어(漢語의 영향을 받은 예도 있음)가 그대로 보존되어 쓰이고 있는 것도 있고, 일본 한자어에 밀려난 예도 있으며, 우리말의 한자어와 일본 말의 한자어가 함께 쓰이게 된 예도 있다.한자어 | 일 | 한 | 순화안 |
起案 | 기안 | 기안 | 초안, 기안 |
決裁 | 겟사이 | 결재 | 재결 |
供覽 | 교오랑 | 공람 | 보여 드림 |
上申 | 조오신 | 상신 | 사리 |
日付 | 히쓰케 | 일부 | 날짜, 날짜매기 |
附箋 | 후센 | 부전 | 쪽지 |
別紙 | 벳시 | 별지 | 별첨 |
但書 | 다다시가키 | 단서 | 그러나, 그렇지만 |
出張 | 슛초 | 출장 | 파송, 파견 |
係員 | 가카리잉 | 계원 | 빋아지 |
給仕 | 규우지 | 급사 | 사환 |
小使 | 고쓰카이 | 소사 | 용인, 심부름꾼 |
集配人 | 슈우하이닝 | 집배인 | 체전원 |
兵士 | 헤이시 | 병사 | 병정 |
配達 | 하이다쓰 | 배달 | 분전 |
配達先 | 하이다쓰사키 | 배달선 | 분전곳 |
摘要 | 데키요 | 적요 | 요령, 요령따기 |
詰所 | 쓰메쇼 | 힐소 | 빋아치막, 집합소 |
年中行事 | 넨추교오지 | 연중행사 | 햇일 |
天然痘 | 덴넨토 | 천연두 | 마마 |
立場 | 다치바 | 입장 | 처지, 선자리 |
場面 | 조오멘 | 장면 | 마당, 판 |
添付物 | 소에쓰기모노 | 첨부물 | 껴붙임 |
順番 | 준판 | 순번 | 차례 |
親展 | 신덴 | 친전 | 몸소(펴다) |
虎列刺 | 고레라 | 호열자 | 괴질, 죄통 |
處方書 | 쇼호오가키 | 처방서 | 약방문 |
祭典 | 사이덴 | 제전 | 식전(式典) |
用度(係) | 요오도가카리 | 용도(계) | 쓰음, 쓰음(빋) |
別表 | 벳뵤오 | 번표 | 딴표, 漢:另表 |
稟議 | 린기 | 품의 | 문의, 漢:書面請示 |
稟申 | 린신 | 품신 | 사리 |
變死 | 헨시 | 변사 | 오사(誤死) |
未決 | 미케쓰 | 미결 | 결정중 |
身元 | 미모도 | 신원 | 근지 |
役員 | 야쿠인 | 역원 | 임원, 직원 |
料理人 | 료오리닝 | 요리인 | 숙수 |
郵便配達夫 | 유빈하이다쓰후 | 우편배달부 | 체전원 |
案內 | 안나이 | 안내 | 인도(하다), 알림(알리다) |
案內者 | 안나이샤 | 안내자 | 길잡이, 인도자 |
案內狀 | 안나이조 | 안내장 | 청첩, 알림, 통지서 |
回覽 | 가이란 | 회담 | 돌려보기 |
組合 | 구미아이 | 조합 | 계, 도중(都中) |
下宿 | 게슈쿠 | 하숙 | 사관(들다) |
料理 | 료오리 | 요리 | 찬 |
貸切 | 가시키리 | 대절 | 전세, 독세 |
看板 | 간판 | 간판 | 보람판, 보람패 |
器具 | 기구 | 기구 | 그듯, 연모 |
還曆 | 간레키 | 환력 | 환갑, 회갑 |
慶賀 | 게이가 | 경하 | 치하 |
忌中 | 기추우 | 기증 | 상중 |
局面 | 교쿠멘 | 국면 | 판, 판세 |
矜持 | 긴지 | 긍지 | 자랑, 자긍 |
支障 | 시쇼오 | 지장 | 거침, 거침새 |
砂原 | 스나바라 | 사원 | 모래틉, 모래밭 |
調和 | 조오와 | 조화 | 어울림, 고름 |
道具 | 도오구 | 도구 | 연장, 도구 |
道樂 | 도오라쿠 | 도락 | 소일 |
入場券 | 뉴우조켄 | 입장권 | 들림표 |
人氣 | 닌키 | 인끼 | 명망, 물망 |
人氣物 | 닌키모노 | 인끼물 | 세월난 것 |
出口 | 데쿠지 | 출구 | 나가는 곳, 어구 |
家長 | 가초오 | 가장 | 집어른, 바깥주인 |
世帶 | 세다이 | 세대 | 식구(家口), 살림 |
世帶主 | 세다이누시 | 세대주 | 살림우인 |
受付 | 우케쓰케 | 수부 | 접수(처) |
不具者 | 후구샤 | 불구자 | 병신, 漢: 殘廢者 |
資本 | 시흥 | 자본 | 밑천, 본밑 |
資金 | 시킹 | 자금 | 밑천 |
高利 | 고오리 | 고리 | 비싼 변 |
低利 | 데이리 | 저리 | 싼 변, 헐 변 |
正札 | 세이사쓰 | 정찰 | 값표 |
正札制 | 세이사쓰세이 | 정찰제 | 값표붙이기 |
原價 | 겐카 | 원가 | 본 값, 본 금 |
現金 | 겐킨 | 현금 | 맞돈, 뇐돈(놓여 있는 돈) |
手當 | 데아데 | 수당 | 가봉, 별급 |
費用 | 히요오 | 비용 | 쓰임, 경비, 해자 |
計算書 | 게이산쇼 | 계산서 | 장기(장기) |
小賣 | 고우리 | 소매 | 산매 |
景氣 | 게이키 | 경기 | 세월, 시세 |
不景氣 | 후게이키 | 불경기 | 세월없다, 언짢은 세월 |
品名 | 힌메이 | 품명 | 물명 |
品切 | 시나기레 | 품절 | 떨어짐 |
荷主 | 니누시 | 하주 | 짐 주인, 짐 임자 |
荷物 | 니모쓰 | 하물 | 짐, 봇짐 |
出荷 | 슛카 | 출하 | 물건부침(물건을 내보내다) |
商品目錄 | 쇼오힝모쿠로쿠 | 상품목록 | 발기, 장기 |
調達(하다) | 조오도쓰 | 조달(하다) | 바침, 바침술, 만들어내다 |
仕入 | 시이레 | 사입 | 사들이기 |
仕入先 | 시이레사키 | 사입선 | 사 온 자리 |
仲買 | 나카가이 | 중매 | 거간, 주름, 중도위 |
引下 | 히키사게 | 인하 | 내리다, 내리기 |
引出 | 히키다시 | 인출 | 돈을 찾다 |
拂込 | 하라이코미 | 불입 | 치러넣기 |
支拂 | 시하라이 | 지불 | 치름, 치르기 |
殘高 | 잔다카 | 잔고 | 시재, 남어지 |
据置 | 스에오키 | 거치 | 매두기 |
立替 | 다데카에 | 입체 | 선대(하다) |
收穫高 | 슈우가쿠다카 | 수확고 | 소출 |
食料品 | 쇼쿠료오힌 | 식료품 | 음식감 |
祝儀 | 슈우기 | 축의 | 팁, 행하, 상급 |
配給 | 하이큐우 | 배급 | 태움(태우다) |
配當 | 하이토오 | 배당 | 몫벼름, 깃벼름 |
葉烟草 | 하다바코 | 엽연초 | 입담배 |
穀物 | 고쿠모쓰 | 곡물 | 곡식 |
手製品 | 데세이힌 | 수제품 | 손치 |
船賃 | 후나칭 | 선임 | 배삯, 선가 |
分配 | 분파이 | 분배 | 노누매기 |
元金 | 간킨 | 원금 | 본전 |
元利 | 강리 | 원리 | 본변 |
利息 | 리소쿠 | 이식 | 변리, 길미, 변 |
令達 | 레이다쓰 | 영달 | 통첩, 내려보냄 |
記帳 | 기초오 | 기장 | 치부, 올림 |
株式 | 가부시키 | 주식 | 고본(股份) |
株券 | 가부켄 | 주권 | 고본표 |
裏書 | 우라가키 | 이서 | 뒷다짐, 뒷보증 |
內譯 | 우찌와케 | 내역 | 속가름, 명세 |
賣渡(시) | 우리와다시 | 매도 | 팔아넘김 |
課稅 | 가제이 | 과세 | 세매기 |
赤字 | 아카지 | 적자 | 결손, 부족 |
繰上(루) | 구리아게(루) | 조상(하다) | 다가올림, 다가올리기 |
行商 | 교오쇼오 | 행상 | 도붓장사 |
行商人 | 교오쇼오닝 | 행상인 | 도붓군, 장돌림 |
見積書 | 미쓰모리쇼 | 견적서 | 발기, 물목발기 |
不渡 | 후와다리 | 부도 | 못 치름, 안 치름 |
用達 | 요오다쓰 | 용달 | 바침 |
用達社 | 요오다쓰샤 | 용달사 | 공물방 |
豫想高 | 요소오다카 | 예상고 | 겉가량 |
割引 | 와리비키 | 할인 | 벗김 |
月賦 | 겟부 | 월부 | 달드림, 漢: 按月付款 |
年賦 | 넨부 | 연부 | 해드림 |
割增 | 와리마시 | 할증 | 쪽보탬, 漢: 增額 |
旅人宿 | 료오진슈쿠 | 여인숙 | 주막 |
見本 | 미혼 | 견본 | 간색 |
持出證 | 모치다시쇼오 | 지출증 | 내갈표 |
役割 | 야쿠와리 | 역할 | 구실, 소임 |
土産 | 미야게 | 토산 | 선물, 봉물 |
始末書 | 시라쓰쇼 | 시말서 | 전말서, 사과장 |
出頭 | 슛토오 | 출두 | 출석 |
取調 | 도리시라베 | 취조 | 심문・문초(하다), 사실(하다) |
旣決 | 기게쓰 | 기결 | 결정됨 |
差入 | 사시이레 | 차입 | 옥바라지 |
差押 | 사시오사에 | 차압 | 덮잡기 |
面識 | 멘시키 | 면식 | 안면, 면분 |
明渡(스) | 아케와다스 | 명도(하다) | 비어주다 |
抹消 | 맛쇼 | 말소 | 지움 |
命日 | 메이니치 | 명일 | 제삿날, 기일(忌日) |
假刷 | 가리스리 | 가쇄 | 초벌찍음, 준지 |
校正刷 | 고오세이스리 | 교정쐐 | 준지, 준찍음 |
假綴 | 가리도지 | 가철 | 초벌매기 |
菊判 | 기쿠방 | 국판 | 57판 |
罫紙 | 게이시 | 계지 | 인찰지 |
校合 | 고오고오 | 교합 | 대조 |
割當 | 와리아데 | 할당 | 벼름 |
表紙 | 효오시 | 표지 | 책껍질, 漢: 書皮ㆍ封面 |
枚數 | 마이수우 | 매수 | 장수 |
卷紙 | 마키가미 | 권지 | 두루말이 |
見本 | 미홍 | 견본 | 본, 본보기 |
餘白 | 요하꾸 | 여백 | 빈 데 |
落書 | 라쿠가키 | 낙서 | 장난글씨 |
表具 | 효오구 | 표구 | 표장(裱裝), 漢: 裱糊 |
封切 | 후우키리 | 봉철 | 개봉(봉지 떼다) |
編上靴 | 아미아게구쓰 | 편상화 | 목다리양화 |
上衣 | 우와기 | 상의 | 양복저고리 |
被服 | 히후쿠 | 피복 | 입성, 漢: 被服, 服裝 |
木棉 | 모멘 | 목면 | 무명, 漢: 棉 |
洋服地 | 요오후쿠지 | 양복지 | 양복감 |
假縫 | 가리누이 | 가봉 | 시침바느질 |
裁斷 | 사이단 | 재단 | 마름질, 漢:剪裁 |
毛布 | 모오후 | 모포 | 담요, 漢: 毛毯 |
追越(시) | 오이코시 | 추월 | 제치다, 따라넘다, 앞지르다 |
合乘 | 아이노리 | 합승 | 얼러타기 |
乘合自動車 | 노리아이지도샤 | 승합자동차 | 두루기차 |
乘煥 | 노리카에 | 승환 | 갈아타기(갈아타다) |
待合室 | 마치아이시쓰 | 대합실 | 기다림방 |
行先地 | 유키사키치 | 행선지 | 가는 곳, 가는 데 |
上塗 | 오와누리 | 상도 | 덧칠(하다) |
下塗 | 시도누리 | 하도 | 초벽, 밑칠 |
人夫 | 닌푸 | 인부 | 일꾼, 모꾼 |
構造 | 고오조오 | 구조 | 얽음새, 얽이 |
構內 | 고오나이 | 구내 | 울안 |
玄關 | 겐칸 | 현관 | 문간 |
天井 | 덴조오 | 천정 | 천장, 반자 |
階段 | 가이단 | 계단 | 층대, 층층대 |
入口 | 이리구치 | 입구 | 어구, 들어가는데, 들목 |
廊下 | 로오카 | 낭하 | 복도, 골마루 |
便所 | 벤조 | 변소 | 뒷간 |
露店 | 로덴 | 노점 | 한데가게 |
土台 | 도다이 | 토대 | 지대(地臺) |
堤防 | 데이보오 | 제방 | 방축,뚝 |
境內 | 게이다이 | 경내 | 터안, 테안 |
石工 | 세키코오 | 석공 | 석수, 석수장 |
看過(스) | 미스고가(스) | 간과(하다) | 가볍게보다 |
企圖 | 기도 | 기도 | 계획 |
供給(스) | 고오큐우(스) | 공급(하다) | 대어주다, 이바지하다 |
交替 | 고오다이 | 교체 | 번갈음, 교대 |
看取(루) | 미도(루) | 간취(하다) | 보아알다, 보아내다 漢: 看見, 看到 |
看做(스) | 미나(스) | 간주(하다) | 보다, 보아 여기다 漢: 看作, 認爲 |
届出 | 도도케이데 | 계출 | 사뢰기 |
談合 | 단고오 | 단합 | 끼리끼리 맞추기 |
答申 | 도오신 | 답신 | 대답사리 |
當番 | 도오반 | 당번 | 든번, 번(번들다) |
妨害 | 호오가이 | 방해 | 헤달, 훼방 |
受付 | 우케쓰케 | 수부 | 접수 |
示唆 | 시사 | 시사 | 귀뜸, 암시 |
示達 | 시다쓰 | 시달 | 알림, 통첩 |
授受 | 주주 | 수수 | 주고 받기, 여수 |
上陸 | 조오리쿠 | 상륙 | 하륙(下陸) |
申請 | 신세이 | 신청 | 청원 |
申告 | 신코쿠 | 신고 | 사리, (신고) |
散步 | 산보 | 산보 | 거님, 소풍 |
申請 | 모오시코미 | 신립 | 신청, 제의 |
手續 | 데쓰쓰키 | 수속 | 절차(밟다) |
手配 | 데하이 | 수배 | 지위(知委) |
煽動 | 센도오 | 선동 | 충동 |
掃除 | 소오지 | 소제 | 쓰레질 |
相談 | 소오단 | 상담 | 의논, 상의 |
讓渡 | 조오도 | 양도 | 넘겨주기 |
依賴 | 이라이 | 의뢰 | 부탁 |
完結 | 간케쓰 | 완결 | 끝남 |
願望 | 간보오 | 원망 | 소원 |
入場 | 뉴우조오 | 입장 | 들어가기(들어가다) |
引受 | 히키우케 | 인수 | 넘겨받다, 맡다 |
引繼 | 히키쓰기 | 인계 | 넘겨주다 |
立會 | 다치아이 | 입회 | 징참 |
慫慂 | 쇼오요오 | 종용 | 부추김 |
叱咤 | 싯다 | 질타 | 꾸지람 |
止揚 | 시요오 | 지양 | 얹어두기 |
照會 | 쇼오카이 | 조회 | 알아보기 |
進捷 | 신초쿠 | 진첩 | 되어가기 |
全滅 | 젠메쓰 | 전멸 | 몰사, 몰살 |
裝置 | 소오치 | 장치 | 차림, 차리다 |
組織 | 소시키 | 조직 | 짜임 |
持參 | 지상 | 지참 | 가지고 오다 |
注文 | 주우몽 | 주문 | 마춤, 마추다 |
調査 | 주오사 | 조사 | 사실(하다) |
着手 | 자쿠슈 | 착수 | 손대기(손대다) |
出願 | 슛간 | 출원 | 청원 |
出産 | 슛산 | 출산 | 해산, 몸풀기 |
差出(스) | 사시다(스) | 차출 | 내다, 내보내다 |
取扱 | 도리아쓰카이 | 취급 | 다룸, 다루기, (다루다) |
取消 | 도리케시 | 취소 | 무름, 무르다, 푸지위(하다) |
取締 | 도리시마리 | 취체 | 단속 |
出迎 | 데무카에 | 출영 | 마중 |
推察 | 스이사쓰 | 추찰 | 짐작 |
通達 | 쓰다쓰 | 통달 | 알림, 통첩 |
打合 | 우치아와세 | 타합 | 협의, 상의 |
歎願 | 단강 | 탄원 | 발괄 |
評價 | 효오카 | 평가 | 값치기 |
化粧 | 게쇼오 | 화장 | 단장 |
呼出 | 요비다시 | 호출 | 불러내기, 漢:喚來 |
一旦 | 잇단 | 일단 | 한번 |
色色 | 이로이로 | 색색 | 여러가지, 갖갖으로 |
往往 | 오오오오 | 왕왕 | 이따금 |
結局 | 겟교쿠 | 결국 | 마침내, 끝끝내 |
仔細 | 시사이 | 자세(히) | 곡절, 상세, 漢: 緣故,細情 |
始終 | 시주우 | 시종 | 종시, 늘, 항상 |
大槪 | 다이가이 | 대개 | 거의, 거반 |
假令 | 다도에 | 가령 | 설사, 설혹 |
多分 | 다분 | 다분(히) | 아마 |
當分間 | 도오붕캉 | 당분간 | 얼마간, 얼마 동안 |
同伴 | 도오항 | 동반 | 동행, 작반 |
親切 | 신세쓰 | 친절 | 다정(하다) |
全快 | 젠카이 | 전쾌 | 쾌차, 완치(하다) |
滿開 | 만카이 | 만개 | 만발 |
妄言 | 모오겐 | 망언 | 망발 |
缺席届 | 겟세키도도게 | 결석계 | 말미사리 |
遠足 | 엔조쿠 | 원족 | 소풍 |
黑板 | 고쿠반 | 흑판 | 칠판 |
白墨 | 햐쿠보쿠 | 백묵 | 분필 |
內申 | 나이신 | 내신 | 속사리 |
徒弟 | 도데이 | 도제 | 계시(기술 전수자) |
碍子 | 가이시 | 애자 | 뚱딴지, 막이 |
5. 맺는말
한ㆍ중ㆍ일 3국이 모두 한자를 쓰고 있는 나라들이라고 해서 흔히 ‘漢字 文化圈‘이라 하고, 한자를 공통으로 쓰고 있으므로 한자를 알고 있으면, 같은 한자 문화권인 한ㆍ중ㆍ일 세 나라에서는 한자로 기록되어 있는 어휘(한자어)의 뜻을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하는 이들이 있다.보기 | 한 | 중 | 일 |
工夫 | 학습 | 틈 | 궁리 |
東西 | 방향 | 물건 | 방향 |
勉强 | × | 강요(하다) | 공부(하다) |
汽車 | 기차 | 자동차 | 기차 |
뜻 | 한 | 중 | 일 |
우체국 | 郵遞局 | 郵局 | 郵便局 |
비행기 | 飛行機 | 飛機 | 飛行機 |
전문가 | 專門家 | 專家 | 專門家 |
우회전 | 右回轉 | 右轉 | 右回轉 |
사회자 | 司會者 | 司儀 | 司會者 |
수출 | 輸出 | 進口 | 輸出 |
수입 | 輸入 | 入口 | 輸入 |
우편물 | 郵便物 | 郵件 | 郵便物 |
등기 | 登記 | 掛號 | 書留 |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