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의 발음
송철의/단국대학교 교수·국어국문학과
1.서론
이 글은 ‘한국어의 발음’이라는 특집의 일부로서 국어 자음의 발음을 논의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국어’라 함은 원칙적으로는 국어의 제 방언을 포괄하는 총체적인 개념으로서의 한국어를 지칭하는 것이어야 하겠으나, 본 특집의 성격이 표준어를 염두에 두고 계획된 것으로 여겨지므로 논의의 대상은 대체로 표준어에 국한시키기로 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 ‘국어’라고 지칭되는 것은 ‘표준어 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준어’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다만 필요한 경우에는 방언이 대한 언급도 굳이 피하지는 않을 것인데, 모음의 경우와는 달리 자음의 경우에는 방언에 따른 차이가 그리 심하지 않기 때문에 방언에 대하여 언급해야 할 경우가 그렇게 많지는 않을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문교부는 1988년 1월 19일 새로 수정된 ‘한글 맞춤법’과 새로 제정된 ‘표준어 규정’을 공표하였다. 그중 ‘표준어 규정’에는 ‘표준어 사정 원칙’과 ‘표준어 발음법’이 포함되어 있다. 표준어 정했으면 그것의 표준 발음(혹은 표준 발음법)에 대해서도 규정을 정해 주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예컨대 ‘밟다’를 [발따]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밥따]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두 가지 발음 중 어느 것을 표준으로 할 것인가를 정해 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표준 발음법’에는 바로 이러한 표준 발음에 관한 규정들이 들어 있다. 그러나 국어의 각 자음에 대한 음가와 정확한 발음법에 대한 규정은 들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앞부분에서 국어의 각 자음에 대한 음가와 발음법을 기술하고 뒷부분에서는 ‘표준 발음법’에서 언급하고 있는 표준어의 자음과 관련된 발음 규정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2. 자음의 음가와 발음 방법
각 언어에서 사용되는 자음의 수와 종류는 각기 다른데, ‘표준 발음법’ 제2장 제2항에서 국어의 자음은 다음의 19개라고 하였다.
(2) | 입술소리 | 혀끝소리 | 구개음 | 연구개음 | 목청소리 | |
예사소리 | ㅂ | ㄷ, ㅅ | ㅈ | ㄱ | ㅎ | |
거센소리 | ㅍ | ㅌ | ㅊ | ㅋ | ||
된소리 | ㅃ | ㄸ, ㅆ | ㅉ | ㄲ | ||
비음 | ㅁ | ㄴ | ㅇ | |||
유음 | ㄹ |
(3) | 입술소리 | 혀끝소리 | 구개음 | 연구개음 | 목청소리 | |
파열음 | ㅂ | ㄷ | ㅈ | ㄱ | ㅎ | |
ㅍ | ㅌ | ㅋ | ||||
ㄲ | ㄸ | ㄲ | ||||
마찰음 | ㅅ | ㅎ | ||||
ㅆ | ||||||
파찰음 | ㅈ | |||||
ㅊ | ||||||
ㅉ | ||||||
비음 | ㅁ | ㄴ | ㅇ | |||
유음 | ㄹ |
2.1 파열음
파열음은 허파에서 흘러나오던 공기를 발음 기관의 어떤 부위에서 완전히 막았다가 일시에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다.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입술소리 ‘ㅂ ㅍ ㅃ’, 혀끝소리 ‘ㄷㅌㄸ’, 연구개음 ‘ㄱ ㅋ ㄲ’이 이에 해당되는 자음들이다. 이들 중 ‘ㅂ, ㄷ, ㄱ’을 ‘예사소리’(평음), ‘ㅍ, ㅌ, ㅋ’을 ‘거센소리’(격음), ‘ㅃ, ㄸ, ㄲ’을 ‘된소리’(경음)라 한다.
예사소리 ‘ㅂ’은 두 입술을 닫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기 때문에 입술소리(양순음)라 한다. 음성 기호로는 [p]로 표기하는데, 목청 떨림(성대 진동)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무성음이다. 그런데 이 ‘ㅂ’이 유성음 사이에서 실현될 때는 목청 떨림을 수반하는 유성음 [b]로 발음된다. 그러니까 ‘바지’에서의 ‘ㅂ’은 [p]로 발음되지만 ‘아버지’에서의 ‘ㅂ’은 [b]로 발음되는 것이다. 그러나 국어의 일반 화자들은 ‘바지’에서의 ‘ㅂ’과 ‘아버지’에서의 ‘ㅂ’이 서로 다르게 발음된다는 사실을 잘 인식하지 못한다. [p]와 [b]의 차이가 국어에서는 뜻을 구별하는 데 아무런 기능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체로 일반인들은 뜻을 구별하는 데 별다른 기능을 하지 못하는 음성적 차이는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이 ‘ㅂ’이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실현될 때는 두 입술이 닫히기만 하고 터지지는 않으면서 발음된다. ‘입’에서의 ‘ㅂ’이 그런 예이다. 이와 같이 터지지 않고 발음되는 파열음을 내파음(혹은 불파음)이라 한다. 음성 기호로는 [p ̚ ]로 적는다. 그 밖에 ‘갈비’에서의 ‘ㅂ’ 은 두 입술이 살짝 닿았다가 떨어지면서 발음되는데 이 소리는 파열음이 아니라 마찰음에 가깝기 때문에 [β]로 적고 유성 양순 마찰음이라 한다. 결국 국어의 ‘ㅂ’ 은 나타나는 위치에 따라 [p], [b], [p ̚ ], [β]로 발음된다고 할 수 있겠다. 이들 음성들을 ‘ㅂ’ 의 ‘이음 (異音)’ 혹은 ‘변이음 (變異音)’이라고 한다.
‘ㄷ’은 혀끝이 윗잇몸 (혹은 치경)에 닿았다 떨어지면서 나는 소리이다. 전통적으로 이 자음을 ‘설음’ 혹은 ‘혀끝소리’라 불러 왔는데, 음성학적으로는 ‘치경음’이라고 부른다.1) 발음 기호로는 [t]로 적는다. 목청 떨림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역시 무성음이다. 그러나 이 ‘ㄷ’도 유성음 사이에 놓이게 되면 유성음 [d]로 발음된다. 따라서 ‘달’에서의 ‘ㄷ’의 음가는 [t]이고, ‘바다’에서의 ‘ㄷ’의 음가는 [d]인 것이다. ‘ㄷ’이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 실현될 때는 ‘ㅂ’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내파음으로 발음되며 그 음가는 [t ̚ ]이다. 국어의 ‘ㄷ’은 [t], [d], [t ̚ ]의 세 이음을 갖는 셈이다.
‘ㄱ’은 뒤혓바닥 (혓뿌리)이 여린입천장에 가 닿아서 공기의 흐름이 막혔다가 그것이 터지면서 나는 소리로서 [k]로 표기된다. 이 ‘ㄱ’도 유성음 사이에서는 유성음 [g]로 발음되며,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내파음 [k ̚ ]로 발음된다. ‘ㄱ’은 [k], [g], [k ̚ ]의세 이음을 갖는 셈이다.
거센소리 ‘ㅍ, ㅌ, ㅋ’은 예사소리 ‘ㅂ, ㄷ, ㄱ’에 비해서 터짐이 격렬한 듯한 인상을 준다. 이들을 거센소리, 즉 격음이라 명명한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거센소리를 발음할 때에는 터짐 뒤에 ‘ㅎ’ 소리가 이어 나는 듯한 인상을 주는데, 이러한 특성을 유기성(有氣性, aspiration)이라 한다. ‘파’를 발음해 보면 그 끝 부분이 ‘하’와 유사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국어에서 예사소리와 ‘ㅎ’이 결합되면 거센소리가 되는 현상이 있는데 (각하 → [가카], 놓고 →[노코]), 이러한 현상을 통해서도 거센소리의 특성을 파악해 볼 수 있다. 이들 거센소리는 유성음 사이에서도 유성음화하지 않는다. 예사소리와 다른 또 하나의 차이점이다.
‘ㅍ’의 음가는 [pʰ ]이다. 유기성을 갖는 양순 파열음인 것이다. 그런데 유기성은 터지는 과정이 있을 때에만 드러나기 때문에 터지는 과정이 생략되면 유기성이 드러나지 않는다. 그리하여 ‘ㅍ’이 어말이나 자음 앞에 올 때에는 ‘ㅂ’과 발음상으로 구별되지 않는다. 이런 위치에서는 ‘ㅍ’이 터지지 않는 소리, 즉 내파음으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덥다 (曙)’와 ‘덮다 (覆)’가 표기법상으로는 구별되지만 발음상으로는 구별되지 않는데 (음장의 차이는 제외하고), 이는 이들에서의 ‘ㅂ’과 ‘ㅍ’이 모두 내파음 [p ̚ ]로 발음되기 때문인 것이다. 결국 ‘ㅍ’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p ̚ ]로 발음되고 그 밖의 위치에서는 [pʰ ]로 발음된다고 할 수 있겠다.
‘ㅌ’의 음가는 [t ʰ]이다. 유기성을 갖는 치경 파열음인 것이다. ‘ㅌ’도 역시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내파음 [t ̚ ]로 발음된다.
‘ㅋ’의 음가는 [kʰ]이다. 유기성을 갖는 연구개 파열음인 것이다. ‘ㅋ’도 역시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내파음 [k ̚ ]로 발음된다.
그런데 이들 거센소리가 모음 사이에서 발음될 때는 다음과 같은 현상이 있음을 참고로 알아둘 필요가 있다. 즉, ‘아프다, 바탕, 시키다’의 경우, 이들의 표준 발음은 [아프다], [바탕], [시키다]이지만 실제로는 이들이 [압프다], [받탕], [식키다]와 같이 발음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거센소리가 있는 음절의 앞 음절을 강조해서 발음할 때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물론 이와 같은 현상은 거센소리의 경우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된소리의 경우에도 나타나는데 (아끼다 → [아끼다]~[악끼다], 기쁘다 → [기쁘다]~[깁쁘다]), 이는 거센소리와 된소리가 예사소리에 비해서 폐쇄 지속 시간이 길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김주필 1990). 피상적인 관찰에 의해서는 예사소리를 발음할 때와 거센소리나 된소리를 발음할 때 폐쇄 지속 시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어렵지만, 정밀한 음향 기기에 의한 실험 결과 보고에 따르면 예사소리를 발음할 때에 비해서 거센소리나 된소리를 발음할 때 폐쇄 지속 시간이 월등히 긴 것으로 나타난다.
된소리 ‘ㅃ, ㄸ, ㄲ’은 해당 발음기관과 후두의 근육을 긴장시켜서 발음하는 자음들이다. 그리하여 예사소리가 연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면 이 된소리들은 딱딱하고 빡빡한 느낌을 준다. ‘된소리’니 ‘경음’ (硬音)이니 하는 명칭들은 바로 이러한 인상적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이 된소리들은 무성음이고 유기성을 전혀 갖지 않는 무기음이다. 이 된소리들도 거센소리와 마찬가지로 유성음 사이에 놓이더라도 유성음화하는 일이 없다.
‘ㅃ’의 음가는 [p  ̓]이고 후두와 입술의 근육을 긴장시켜서 내는 소리이다. 유성음 사이에서도 그 음가가 그대로 유지된다. ‘ㅃ’이 어말이나 자음 앞에 놓이게 된다면 이것도 역시 내파음 [p ̚ ]로 발음될 것이지만 국어에서 ‘ㅃ’이 받침으로 쓰이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이것이 내파음 [p ̚ ]로 실현되는 경우는 없다.
‘ㄸ’의 음가는 [t ̓]이고 후두와 혀끝의 근육을 긴장시켜서 내는 소리이다. 이것도 받침으로 쓰이는 경우가 없어서 내파음 [t ̚ ]로 실현되는 일은 없다.
‘ㄲ’의 음가는 [k  ̓]이고 후두와 뒤 혓바닥(혀뿌리)을 긴장시켜서 내는 소리이다. 유성음 사이에서도 유성음화하는 일은 없으나 어말이나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내파음 [k ̚ ]로 발음된다. 예컨대 ‘예컨대 ‘밖[pak ̚]’, ‘엮다[jək ̚t ̓a]’에서의 ‘ㄲ’이 바로 그런 예이다.
2.2 마찰음
마찰음은 구강의 어느 지점을 아주 좁혀서 마치 창틈으로 공기가 지날 때처럼 공기를 마찰시켜서 내는 소리이다. 국어의 마찰음에는 ‘ㅅ, ㅆ, ㅎ’이 있다.
‘ㅅ’은 혀끝을 치경 (혹은 윗잇몸)에 가까이 접근시키고 공기를 밀어내면서 내는 소리로서 그 음가는 [s]이다. 음성학적으로는 치경 마찰음이라고 부른다. 무성 무기음이다. 국어의 마찰음 ‘ㅅ’은 다른 예사소리들 (ㄱ, ㄷ, ㅂ, ㅈ)과는 달리 유성음 사이에서도 유성음화하지 않는다는 특성을 갖는다. ‘ㅅ’이 [i]나 [j] 앞에 오게 되면 구개음에 가깝게 발음되는데, 이때의 음가는 [∫]이다. 치경음인 [s]가 구개 위치에서 발음되는 [i]나 [j]의 영향을 받아 구개음으로 발음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셔서’의 앞쪽 ‘ㅅ’은 [∫]로 발음되고 뒤쪽 ‘ㅅ’은 [s]로 발음된다.
‘ㅆ’은 ‘ㅅ’의 된소리이다. 음가는 [s ̓]이다. 이 ‘ㅆ’도 [i]나 [j] 앞에 오게 되면 구개음 [ ʃ ̓]로 발음된다.
이 치경 마찰음 계열에는 거센소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거센소리가 폐쇄 과정과 파열 과정을 전제로 해서만 가능한 소리이기 때문인 듯하다. 마찰음은 폐쇄 과정이나 파열 과정을 갖지 않는 소리이다.
한편, 국어의 마찰음들은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발음되지 못한다는 특성을 갖는다. 그리하여 이런 위치에서는 동일한 조음 위치에서 발음되는 내파음 [t ̚ ]로 발음된다. ‘옷’에서의 ‘ㅅ’이나 ‘있고’에서의 ‘ㅆ’이 모두 내파음 [t ̚ ]로 발음되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이다.
목청소리 ‘ㅎ’은 후음 혹은 성문음이라고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성문의 두 성대 사이가 약간 벌려지면서 만들어지는 성문 마찰음이라고 알려져 있다. 음가는 [h]이다. ‘하다’에서의 ‘ㅎ’의 음가가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ㅎ’은 [h] 이외에 몇 개의 이음을 더 갖는다. ‘힘’에서의 ‘ㅎ’의 음가는 [ ç]이고(독일어 ‘ich’에서의 ‘ch’의 발음과 유사하다), ‘흙’에서의 ‘ㅎ’의 음가는 [x]이다(독일어 ‘Buch’에서의 ‘ch’의 발음과 유사하다). 그 밖에 ‘ㅎ’이 유성음 사이에 놓이면 유성음 [ɦ]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다고 하나 이 소리는 일반인들로서는 인식하기 어려운 것이 아닌가 한다. 실제의 구어에서 ‘놓으니, 놓아’는 [노으니], [노아]로 발음되며 [노아]는 다시 한 음절로 축약되어 [놔:]로 발음되기도 한다. 여기서 두 음절이 한 음절로의 축약은 ‘ㅎ’의 탈락이 이루어진 후에만 가능하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국어의 ‘ㅎ’은 유성음 사이에서 탈락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한편, 국어의 ‘ㅎ’은 음절 말음으로는 실현되지 못한다는 특성을 갖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하겠다.
2.3 파찰음
파찰음은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릴 때에는 파열음처럼 일시에 터뜨리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터뜨려서 마찰을 일으키도록 하여 내는 소리이다. 따라서 파찰음은 파열음의 특성과 마찰음의 특성을 반반씩 가지고 있는 자음이라 할 수 있다. 파찰음이라는 명칭은 이 소리의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파찰음에는 경구개 위치에서 발음되는 경구개 파찰음과 치경 위치에서 발음되는 치경 파찰음이 있다. 경구개 파찰음은 [ ʧ ]로 표기되며 치경 파찰음은 [ts]로 표기된다. 경구개 파찰음을 흔히는 그냥 구개음이라 부른다. 그리하여 ‘ㄷ → ㅈ(해돋이 → [해도지])’와 같은 현상을 경구개음화라 부르지 않고 그냥 구개음화라 부르는 것이다.
국어의 ‘ㅈ’은 [ʧ]로 발음되는 경구개 파찰음이다. 혓바닥을 경구개 위치에 갖다 붙여서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서서히 열어 주면서 내는 소리이다.2) ‘ㅈ’이 유성음 사이에 놓이면 유성음 [ʤ ]로 발음되며 어말이나 자음 앞에 놓이게 되면 내파음 [t ̚ ]로 발음된다(젖 → [젇]). ‘ㅅ’과 마찬가지로 ‘ㅈ’도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제 음가대로 발음되지 못한다.
‘ㅉ’은 ‘ㅈ’의 된소리로서 그 음가는 [ʧ ̓ ]이며 ‘ㅊ’은 ‘ㅈ’의 거센소리로서 그 음가는 [ʧ ʰ]이다. ‘ㅊ’도 어말이나 자음 앞에서는 내파음 [ʧ ̚ ]로 발음된다. ‘ㅉ’은 받침으로 쓰이는 경우가 없어서 내파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없다.
2.4 비음
우리가 발음을 할 때 공기가 흘러나오는 통로는 두 개가 있다. 하나는 입 쪽의 통로이고 다른 하나는 코 쪽의 통로이다. 전자를 구강(口腔)이라 하고 후자를 비강(鼻腔)이라 한다. 앞에서 기술한 자음들은 모두 비강 통로가 닫힌 상태에서 발음되는 자음들이었다. 그에 비해 비음들은 비강 통로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발음되는 자음들이다. 말하자면 비음은 비강으로도 공기가 흘러나오면서 발음되는 자음인 것이다. 구강에서의 발음 방법은 파열음과 동일하다. 그리고 비음은 모두 목청 떨림을 수반하는 유성음이다.
국어의 비음에는 ‘ㅁ, ㄴ, ㅇ’이 있다. ‘ㅁ’은 ‘ㅂ’과 같은 위치에서 발음되는 양순 비음이고, ‘ㄴ’은 ‘ㄷ’과 같은 위치에서 발음되는 치경 비음이며, ‘ㅇ’은 ‘ㄱ’과 같은 위치에서 발음되는 연구개 비음이다. 이들의 음가는 각각 [m], [n], [ŋ ]이다. 이들 비음들은 앞서 기술한 바 있는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들과는 달리 대체로 어떤 위치에서나 동일한 음가로 발음된다. 파열음 ‘ㅂ’이 그 놓이는 위치에 따라 [p], [b], [p ̚ ]로 발음되는 것과는 다르다. 다만 ‘ㄴ’의 경우, ‘i’나 ‘j’ 앞에 놓이게 되면 치경 비음 [n]으로 발음되는 것이 아니라 경구개비음 [ɲ]으로 발음된다. 이는 치경음 [n]이 경구개 위치에서 발음되는 [i]나 [j]의 영향을 받아 경구개 쪽으로 이끌려서 발음되기 때문이다. 치경음 ‘ㄷ’ [t]가 [i]나 [j] 앞에서 경구개음 ‘ㅈ’[ʧ] 발음되는 것과 동궤의 현상이다. ‘나’와 ‘냐’를 발음하면서 자세히 관찰해 보면, ‘나’를 발음할 때는 혀끝이 치경에 가 닿지만 ‘냐’를 발음할 때는 혓바닥이 입천장 (경구개)에 가 닿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ŋ]은 어두음이나 음절 두음으로 나타나는 일이 없다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ŋ]은 나타날 수 있는 환경이 극히 제약되는 자음이라고 할 수 있다.
2.5 유음
유음은 자음 중 공기의 흐름이 가장 적게 장애를 받으면서 발음되는 자음이다. 즉, 공기가 물 흐르듯이 잘 흘러 나가면서 발음되는 자음인 것이다. 유음(流音)이라는 명칭은 바로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유음에는 우선 대표적인 것으로 [l]과 [r]이 있다. [l]은 혀끝을 치경(윗잇몸)에 갖다 대어 중앙 통로는 막고 혀의 양 옆으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이다. 그리하여 이를 설측음이라 부른다. [r]은 공기가 중앙 통로로 흘러나오면서 발음되는 소리인데, 여기에는 다시 혀끝이 치경에 한 번만 살짝 닿았다 떨어지면서 발음되는 설타음과 그러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계속되어 마치 혀끝이 바르르 떠는 것같이 되면서 발음되는 전동음이 있다. 이 중 설타음은 [ɾ]로 표기한다.
국어의 유음에는 ‘ㄹ’이 있다. 그런데 이 ‘ㄹ’도 항상 동일한 음가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달, 불고’등에서의 ‘ㄹ’은 설측음 [l]로 발음된다. 어말이나 자음 앞에 오는 ‘ㄹ’은 모두 이 소리로 발음된다. 그러나 ‘흐르다’에서의 ‘ㄹ’은 ‘달’에서의 ‘ㄹ’과는 다르게 발음된다. 이 경우의 ‘ㄹ’은 혀끝이 치경에 닿아 있는 채로 발음되는 것이 아니라 한 번 닿았다 떨어지면서 발음된다. 이때의 ‘ㄹ’을 흔히 [r]로 적기도 하는데 정확히는 [ɾ]이다. 전동음이 아니라 설타음이기 때문이다. 이들 [l]과 [ɾ]는 치경에서 발음된다. 한편, ‘ㄹ’이 [i]나 [j] 앞에 올 때에는 앞서의 ‘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i]나 [j]의 발음 위치에 이끌려서 구개음으로 발음된다. 발음 기호로는 [ʎ ]로 적는다. ‘흘러’와 ‘흘려’의 발음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이들에서의 ‘ㄹㄹ’의 발음 위치가 약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흘러’에서의 ‘ㄹㄹ’은 치경 위치에서 발음되는 [ll]이고 ‘흘려’에서의 ‘ㄹㄹ’은 경구개 위치에서 발음되는 [ʎʎ ]이다.
이 ‘ㄹ’도 ‘ㅇ’[ŋ]만큼은 아니지만 분포의 제약을 받는다. 즉, 국어에서 ‘ㄹ’은 원칙적으로 어두위치에 나타날 수 없다는 제약을 받는 것이다. 한자어에서 ‘오락(娛樂)’의 ‘樂’이 ‘樂園 (낙원)’에서는 ‘락’으로 발음되지 않고 ‘낙’으로 발음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제약 때문이다. 따라서 국어의 화자들은 어두 위치의 ‘ㄹ’을 잘 발음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고유어 중에서 어두에 ‘ㄹ’을 갖는 단어는 없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柳’씨를 ‘류’로 표기한다거나 북한에서처럼 ‘勞動’을 ‘로동’으로 표기하는 것은 결코 타당한 처사라고 할 수 없다. 국어의 특성을 무시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 밖에 ‘ㄹ’은 ‘ㄹ’ 이외의 다른 자음 뒤에서는 제 음가대로 발음될 수 없다는 제약도 갖는다. 즉, ‘ㄹ +ㄹ’과 같은 자음의 연결은 가능하지만 (달리다) ‘ㄱ +ㄹ’이나 ‘ㄴ +ㄹ’, ‘ㅇ +ㄹ' 등과 같은 자음의 연결은 허용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하여 ‘ㄹ’ 앞에 ‘ㄴ’이 오게 되면 그 ‘ㄴ’을 ‘ㄹ’로 동화시키며, ‘ㄴ’ 이외의 자음이 오게 되면 ‘ㄹ’ 자신이 ‘ㄴ’으로 바뀐다. ‘전라도’가 [절라도]로 발음되는 것이 전자에 해당되는 예이고, ‘종로’가 [종노]로 발음되는 것이 후자에 해당되는 예이다. ‘십리’가 [심니]로 발음되는 것은 ‘ㅂ’ 뒤에서 ‘ㄹ’이 ‘ㄴ’으로 바뀐 다음 (십리 → 십니), 그 ‘ㄴ’ 앞에서 ‘ㅂ’이 ‘ㅁ’으로 동화를 입은 것이다(입는 → [임는] 참고).
3. 자음의 표준 발음법
앞 장에서는 국어에서 사용되는 낱낱의 자음들에 대하여 그 음가와 발음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런데 이들 자음들은 실제의 언어 실현에 있어서는 독자적으로 쓰이질 못하고 반드시 다른 음들과 결합하여야만 쓰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음들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선행하는 음이나 후행하는 음의 영향을 받아 변화를 입게 되는 경우가 있게 된다. 본 장에서는 바로 이러한 문제들과 관련된 자음의 발음을 간략히 다루어 보고자 한다.
3.1 받침의 발음
국어에서 받침 (음절 말음)으로 실현될 수 있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ㅂ, ㅇ’의 7개뿐이다(표준 발음법 제8항). 따라서 이 7개 이외의 자음이 받침으로 쓰이게 되면 그것들은 이 7개 자음 중의 하나로 변화되어 발음된다. 그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4) | ㄲ ㅋ | → | ㄱ | ||||||
ㅅ ㅆ ㅈ ㅊ ㅌ | → | ㄷ | |||||||
ㅍ | → | ㅂ | |||||||
닦다 | → | [닥따] | 부엌 | → | [부억] | 옷 | → | [옫] | |
있다 | → | [읻따] | 젖다 | → | [젇따] | 꽃 | → | [꼳] | |
맡다 | → | [맏따] | 덮다 | → | [덥따] |
(8) | 넋 → [넉] | 넋도 → [넉또] | 앉다 → [안따] |
앉고 → [안꼬] | 외곬 → [외골] | 훑다 → [훌따] | |
훑고 → [훌꼬] | 값 → [갑] | 값과 → [갑꽈] | |
없다 → [없따] | 없지 → [업찌] |
(9) | 삶다 | → | [삼따] | 삶고 | → | [삼꼬] | 옮다 | → | [옴따] |
옮지 | → | [옴찌] | 읊다 | → | [읍따] | 읊지 | → | [읍찌] | |
삶 | → | [삼] | 삶도 | → | [삼도] | 앎 | → | [암] |
(10) | 끊다 | → | [끈타] | 끊고 | → | [끈코] | 앓지 | → | [알치] |
끊소 | → | [끈쏘] | 앓소 | → | [알쏘] | 끊는 | → | [끈는] |
(11) | 흙 | → | [흑] | 흙도 | → | [흑또] | 흙과 | → | [흑꽈] |
닭 | → | [닥] | 닭도 | → | [닥또] | 닭과 | → | [닥꽈] |
(12) | 맑다 | → | [막따] | 맑소 | → | [막쏘] | 맑지 | → | [막찌] |
맑고 | → | [말꼬] | 맑게 | → | [말께] |
(13) | 여덟 | → | [여덜] | 여덟도 | → | [여덜또] | |||
넓다 | → | [널따] | 넓고 | → | [널꼬] | 넓지 | → | [널찌] |
(15) | 닦아 | → | [다까] | 부엌에 | → | [부어케] | 맡아 | → | [마타] |
옷이 | → | [오시] | 꽃을 | → | [꼬츨] | 덮이다 | → | [더피다] | |
닭을 | → | [달글] | 밟아 | → | [발바] | 넓이 | → | [널비] | |
값이 | → | [갑씨] | 없어 | → | [업써] | 읊어 | → | [을퍼] |
3.2 소리의 동화
소리와 소리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어떤 음은 다른 음의 영향을 받아 그 음과 똑같은 음이 되거나 비슷한 음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소리(음)의 동화라 하는데, 어떤 음이 동화를 입게 되면 자연히 제 음가대로 발음되지 못하는 결과가 온다. 본 절에서는 소리의 동화와 관련된 자음의 발음에 대해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소리의 동화에 의해서 자음이 제 음가대로 발음되지 못하는 첫 번째 예로서는 받침 ‘ㄷ, ㅌ’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할 때 [ㅈ, ㅊ]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구개음화라 부른다. 이 구개음화는 모음에 의해서 자음이 동화를 입는 경우에 해당한다.
(17) | 밭이 | → | [바치] | 끝이 | → | [끄치] | 맏이 | → | [마지] |
해돋이 | → | [해도지] | 같이 | → | [가치] | 굳이 | → | [구지] |
(18) | 굳히다 | → | [구치다] | 닫히다 | → | [다치다] | 묻히다 | → | [무치다] |
(19) | 먹는 | → | [멍는] | 믿는 | → | [민는] | 잡는 | → | [잠는] |
국물 | → | [궁물] | 국만 | → | [궁만] | 밥만 | → | [밤만] |
(20) | 꺾는 | → | 꺽는 | → | [껑는] | 부엌만 | → | 부억만 | → | [부엉만] | |
몫만 | → | 목만 | → | [몽만] | 읽는 | → | 익는 | → | [잉는] | ||
옷만 | → | 옫만 | → | [온만] | 있는 | → | 읻는 | → | [인는] | ||
밭만 | → | 받만 | → | [반만] | 놓는 | → | 녿는 | → | [논는] | ||
읊는 | → | 읍는 | → | [음는] | 없는 | → | 업는 | → | [엄는] |
(21) | 신라 | → | [실라] | 난로 | → | [날로] | 천리 | → | [철리] |
말년 | → | [말련] | 불능 | → | [불릉] | 찰나 | → | [찰라] | |
칼날 | → | [칼랄] | 술내기 | → | [술래기] | 줄넘기 | → | [줄럼기] |
(22) | 앓는 | → | [알른] |
끓네 |
→ | [끌레] |
핥는 |
→ | [할른] |
훑네 | → | [훌레] | |||||||
cf. | 울다(泣): | 울- | + | -는 | → | [우는] | |||
불다(吹): | 불- | + | -느냐 | → | [부느냐] |
3.3 된소리되기
앞의 3.1과 3.2에서 논의한 것들은 대체로 받침으로 쓰인 자음들이 뒤에 오는 음에 영향을 받아 다른 음으로 발음되는 경우들이었다. 이에 비해 여기서 논의하게 될 된소리되기는 받침의 영향으로 뒤에 오는 자음이 다른 소리로, 즉 뒤에 오는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이다.
3.1에서 받침으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라고 하였는데, 된소리되기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세 부류로 나누어 볼 필요가 있다. 즉, 파열음 ‘ㄱ, ㄷ, ㅂ’, 비음 ‘ㄴ,ㅁ, ㅇ’, 유음 ‘ㄹ’ 로 나누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우선 파열음 ‘ㄱ, ㄷ, ㅂ’이 받침으로 쓰이면 (자음 앞에 놓이게 되면) 터지지 않는 소리, 즉 내파음으로 발음되는데, 내파음 ‘ㄱ, ㄷ, ㅂ’ 뒤에 오는 예사소리들(ㄱ, ㄷ, ㅂ, ㅅ, ㅈ)은 단어 내부에서건 곡용 및 활용에서건 예외 없이 된소리로 발음된다.
(23) | 책상 | → | [책쌍] | 죽(粥)도 | → | [죽또] | 먹다 | → | [먹따] |
믿고 | → | [믿꼬] | 믿소 | → | [믿쏘] | 속부터 | → | [속뿌터] | |
잡자 | → | [잡짜] | 접다 | → | [접따] | 잡지 | → | [잡찌] |
(24) | 깎다 | → | 깍다 | → | [깍따] | 삯돈 | → | 삭돈 | → | [삭똔] | |
웃고 | → | 욷고 | → | [욷꼬] | 꽃과 | → | 꼳과 | → | [꼳꽈] | ||
있지 | → | 읻지 | → | [읻찌] | 읊다 | → | 읍다 | → | [읍따] |
(25) | 안다(抱) | → | [안따] | 안고 | → | [안꼬] | 안지 | → | [안찌] |
감다 | → | [감따] | 감고 | → | [감꼬] | 감지 | → | [감찌] | |
cf. |
산도 | → | [산도] | 산과 | → | [산과] | 강(江)도 | → | [강도] |
(26) | 울고 | → | [울고] | 울다 | → | [울다] | 울지 | → | [울지] |
달과 | → | [달과] | 달도 | → | [달도] | 달부터 | → | [달부터] |
4. 결론
‘한글 맞춤법’이, 우리가 글을 쓸 때, 표준어를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를 규정한 것이라면, ‘표준 발음법’ 은, 우리가 말을 할 때, 표준어를 어떻게 발음할 것인가를 규정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글을 쓸 때 맞춤법이 틀리는 것에 대해서는 부끄럽게 생각하면서도, 말을 할 때 표준 발음을 정확히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별로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학교 교육에 있어서도 맞춤법 교육은 비교적 철저히 시키면서 표준 발음에 대한 교육은 소홀히 해 온 감이 없지 않다. 그리하여 ‘꽃이, 꽃을’ 을 ‘꼿이, 꼿을’ 로 표기하면 당장 그것이 잘못된 표기임을 지적해 주고 ‘꽃이, 꽃을’ 로 표기하도록 지도해 주면서도 이것을 [꼬치, 꼬츨]로 발음하지 않고 [꼬시, 꼬슬]로 발음하는 것에 대해서는 굳이 그것이 잘못된 발음임을 지적하거나 [꼬치, 꼬츨]로 발음하도록 지도하는 일이 거의 없었던 것이다.
우리가 글을 쓸 때 맞춤법을 정확히 지켜서 표기해야 하는 것이라면 말을 할 때에도 표준 발음법을 정확히 지켜서 발음하도록 노력해야만 할 것이다. 표준어를 정확히 발음하기 위해서는 국어의 각 모음이나 자음들의 정확한 음가와 발음 방법을 알아 둘 필요가 있으며, 음과 음이 결합하는 과정에서는 어떤 변화들이 있고, 그런 경우에는 또 어떻게 발음하는지를 알아 둘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사정을 염두에 두고서 국어(표준어)의 자음의 발음에 대하여 논의하였는데, 전반부에서는 각 자음의 음가와 발음방법을, 후반부에서는 주로 자음과 자음이 결합되는 과정에서의 표준 발음법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지면이 한정되어 있고, 또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한 글이기 때문에 세부적인 문제는 다루지 못했으며, 다룬 문제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설명을 베풀지는 못하였다. 독자들의 양해를 구한다.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