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물음 '닫히다'와 '닫치다'가 어떤 때 다르게 쓰이는지 알고 싶습니다.
(송윤선,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동)

두 가지가 다 동사의 기본형 '닫다[閉]'에서 나온 말입니다. '닫히다'는 '닫다'의 피동사로서 '닫아지다'와 대응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면 "바람에 문이 저절로 닫혔다."의 경우가 되겠습니다. '닫치다'는 '닫다'의 강세어이므로, "철수가 방문을 탁 닫쳐 버린다."처럼 쓰입니다. 드러나는 또 하나의 차이점은, 위에서 예를 든 것처럼, 피동사 '닫히다' 앞에는 주격 조사 '이'가 쓰이고, 능동사 곧 타동사 '닫치다'의 문장에는 '을(를)'와 같은 대격 조사가 쓰인 말이 오게 되는 사실입니다.

물음 "놀란 표정을 어서 지우게." 라는 말이 있는데, 이 어법은 틀린 것입니까?
(김태환, 서울특별시 중량구 면목동)

아닙니다. 틀리지 않습니다. '지우다'는 '지다'의 사역형으로, "나타났던 것의 형적을 없어지게 하다."란 뜻에 해당됩니다. 그 용례를 살펴보면, '국어 대사전'(이희승 편, 민중서림, 1982)에 "얼굴의 웃음을 지우다."가 있습니다. '새 우리말 큰 사전'(신기철 신용철 편, 삼성 이데아, 1988)에는 "부드러운 낯빛을 지우다."란 용례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위의 문장은 문법적으로 틀리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지우다'란 동사의 주체는 사람이 아닌 대상물(글씨를 ~, [몸의]때를 ~, 기억을 ~, 고무로 ~)을 사용하고,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는 사용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넘어지다'라는 표현은 사용하지만 '사람이 무너지다'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 것도 비슷한 예가 될 것입니다.
    그런데 사전에 "웃음을 지우다."라는 표현이 등재되어 있는 것은 물리적 작용에 사용하는 동사를 사람에게도 사용하므로 일어나는 언어의 '비유적 현상' 때문입니다. 즉 일상 언어에서 언어의 경제성이 자연스럽게 '비유적 표현'을 요구하게 된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지우다'는 "글씨를 지우다", "흔적을 지우다."와 같은 물리적 작용에도 쓰입니다만 "표정을 지우다."와 같은 표현은 '비유적 표현'입니다.

물음 '쌍둥이, 쌍동이' 가운데 어느 것이 맞습니까?
(조현호,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

'쌍둥이'가 맞습니다. 표준어 규정(제8항)은 양성 모음이 음성 모음으로 바뀌어 굳어진 단어는 음성 모음 형태를 표준어로 쓰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둥이'는 어원적으로 '童'에 '-이'가 붙은 '-동이'로 '아이'를 가리키는 말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그 어원적 형태나 의미가 뚜렷이 인식되지 못하고 '-동이'가 변한 '-둥이'가 하나의 접미사로 굳어져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표준어 규정은 이러한 현실을 존중하여 '-둥이'를 표준어로 삼은 것입니다.
    '쌍둥이'는 어원적으로 '雙童'에 접미사 '-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낱말로 원래는 '쌍동이'였습니다. 그러나 '쌍둥이'로 변하여 굳어진 것입니다. 이와 같은 예로 '귀둥이, 막둥이, 선둥이' 등이 있는데 이들은 각각 '귀동(貴童)이, 막동(童)이, 선동(先童)이'에서 변하여 굳어진 단어들입니다. 이 단어들은 '검둥이, 바람둥이, 흰둥이' 등과 함께 모두 '-둥이'의 형태만 표준어이고 '-동이'의 형태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주의할 것은 '-둥이'가 붙는 '쌍둥이'는 '쌍동-'이 아닌 '쌍둥-'이 표준어이지만 그 밖에 '-둥이'가 붙지 않는 다른 단어들은 널리 쓰이는 대로 '쌍동-'의 형태가 표준어입니다. 즉, '쌍동밤, 쌍동딸, 쌍동아들' 등이 표준어인 것입니다.

물음 흔히 사람들이 '주책없다'라고도 하고 '주책이다'라고도 하는데, 이렇게 정반대의 두 말이 같은 뜻으로 쓰일 수 있는지요? 또, 어떤 때는 '주착-'이라고도 합니다. 어느 것이 표준어입니까?
(최동령, 서울특별시 서초동)

먼저 '주책'인지 '주착'인지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주책'은 일정하게 자리 잡힌 생각을 뜻하는 말로 '主着'이라는 한자어에서 온 말입니다. 이 '주착'의 모음 발음이 변하여 '주책'으로 굳어진 것입니다. '표준어 규정'(제11항)은 일부 단어에 대하여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발음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 규정에 따라 '주착'이 아닌 '주책'이 표준어입니다.
    한편, '주책없다'는 "일정한 주견이나 줏대 없이 이랬다저랬다 하여 몹시 실없다."(금성판 국어 대사전)라는 의미를 지닌 표준어입니다. '표준어 규정'(제25항)은 이 '주책없다'만 표준어로 삼고, 적어도 '주책없다'는 뜻으로 '주책이다'를 쓰는 것은 비표준어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이와 동일한 규정(제25항)에 따르는 말로 '안절부절못하다/안절부절하다'가 있는데, 역시 부정사를 뺀 '안절부절하다'는 표준어가 아니며 '안절부절못하다'만 표준어로 삼고 있습니다.

물음 '뱉아'로 적어야 하는지 '뱉어'로 적어야 하는지, 그리고 '얇아'로 적어야 하는지 '얇아'로 적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최재동,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학동)

한글 맞춤법 제16항에 '어간의 끝 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에는 어미를 '-아'로 적고 그 밖의 모음일 때에는 '-어'로 적도록 되어 있으므로, '뱉어'로 적어야 합니다. 흔히 [배: 터]뿐만 아니라 [배: 타]라고 발음되기도 하지만, '뱉다'의 어간 끝 음절 모음이 'ㅏ'나 'ㅗ'가 아니므로 '뱉어'라고 적어야 합니다. '얇아'도 [얄버]처럼 발음되는 경향이 있으나 표준 형태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규정에 따라 '얇아'로 적어야 합니다.

물음 '가지 말아라'라고 써야 하는지, 아니면 '가지 마라'고 써야 하는지 알려 주십시오.
(임연숙,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어간 끝 받침 'ㄹ'은 'ㄷ, ㅈ, 아' 앞에서 줄지 않는 것이 원칙인데, 한글 맞춤법 제18항 붙임에 '마지못하다, 마지않다, (하)다마다, (하)자마자, (하)지 마라, (하)지 마(아)'와 같은 말에서 'ㄹ'이 준 대로 적도록 되어 있습니다.
    일상 회화에서 'ㄹ'이 준 형태인 '가지 마라'가 일반적으로 쓰입니다. 그러나 권위를 세워 타이르는 말에서는 '가지 말아라'가 쓰입니다. 그 밖에도 이른바 문어체의 명령이나 간접 인용의 형식에서는 "가지 말라", "읽지 말라고 하였다."와 같이 '말라'가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