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법 표준화 사업

1990년 10월 31일 화법 표준화 사업의 첫 번째 주제를 조선일보에 실은 후 현재(1991년 6월 19일)까지 열여섯 가지 주제를 다루었다. 한 주제를 두 주에 걸쳐 다루는데, 국립 국어 연구원에서 조사한 자료(언해본, 고전 소설, 신소설, 근대 희곡, 현대 소설, 현대 희곡, 현재 쓰고 있는 말, 국민들이 어려워하는 점 등)를 바탕으로 첫째 주 수요일에 문제 제기 기사와 그 주제에 대한 콩트를 싣고, 그 주 금요일에 열두 명으로 구성된 자문 위원회를 열어 표준안을 결정한다. 결정된 표준안은 국립 국어 연구원에서 정리하여 둘째 주 수요일에 조선일보 문화면에 싣는다.
    첫 번째 주제부터 여섯 번째 주제까지는 '국어생활 제23호(1990년 겨울 호)'에 실었다. 이후의 것에 대한 표준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전화 예절

◇ 전화를 받을 때의 말
벨이 울리면 수화기를 들고 여보세요. (모범 답)
여보세요,(지역 이름)입니다.(허용)
네,(지역 이름)입니다.(후보)
직장 네, ○○○○입니다.
전화를 바꾸어 줄 때 (네,) 잠시/잠깐/조금 기다려 주십시오. 바꾸어 드리겠습니다.
직장 (네,) 잠시/잠깐/조금 기다려 주십시오. 바꾸어 드리겠습니다.
상대방이 찾는 사람이 없을 때 지금 안 계십니다. 들어오시면 뭐라고 전해 드릴까요?
직장 지금 안 계십니다. 들어오시면 뭐라고 전해 드릴까요?
잘못 걸려 온
전화일 때
아닌데요(아닙니다), 전화 잘못 걸렸습니다.
직장 아닌데요(아닙니다), 전화 잘못 걸렸습니다.
 
◇ 전화를 걸 때의 말
상대방이 응답을 하면 안녕하십니까? (저는/여기는) ○○○입니다. ○○○ 씨 계십니까?
직장 안녕하십니까? (저는/여기는) ○○○인데요, ○○○ 씨 좀 바꿔 주시겠습니까?
(교환일 때) 안녕하십니까? ○○번 좀 부탁합니다.
통화하고 싶은 사람이 없을 때 죄송합니다만 ○○○한테서 전화 왔었다고 전해 주시겠습니까?
말씀 좀 전해 주시겠습니까?
직장 죄송합니다만 ○○○한테서 전화 왔었다고 전해 주시겠습니까?
말씀 좀 전해 주시겠습니까?
대신 거는 전화 직장 안녕하십니까? ○○○ 님의 전화인데요, ○○○ 씨를 부탁합니다.
(부탁한 전화가 연결되었을 때) 안녕하십니까? 저는 ○○ 회사 ○○○입니다. ○○○ 님의 전화인데요, 바꿔 드리겠습니다.
전화가 잘못 걸렸을 때 죄송합니다(미안합니다), 전화가 잘못 걸렸습니다.
 
◇ 전화를 끊을 때의 말
안녕히 계십시오.
고맙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그만 끊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2. 생일 축하 인사

◇ 생일 인사말
상황 인사말
돌 때 아이 부모에게 축하합니다.
얼마나 기쁘십니까? 얼마나 기쁘시겠습니까?
아이에게 건강하게 자라라.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의 생일에 (생일) 축하한다.
환갑,고희 등의 생일에 본인에게 (생신) 축하합니다.
더욱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더욱 강녕하시기 바랍니다.
배우자에게 축하합니다.
잔치 준비한
자녀에게
축하하네.
수고했네.
환갑, 고희 등의 잔치에서 헌수할 때의 말 더욱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만수무강하십시오.
 
◇ 특별한 생일(나이)의 이름
※연령은 세는 나이임.
연령 이름 연령 이름
60세
61세
62세
70세
육순(六旬)
환갑(還甲), 회갑(回甲), 화갑 (華甲)
진갑(進甲)
칠순(七旬), 고희(古稀)
77세
80세
88세
90세
99세
희수(喜壽)
팔순(八旬)
미수(米壽)
구순(九旬)
백수(白壽)

3. 문상 인사말

※ 어느 경우에나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예의다. 만약 말을 할 경우는 다음 표와 같다.
상황 문상객의 말 상주의 말
일반적으로 두루 쓸 수 있는 말 얼마나 슬프십니까.
뮈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고맙습니다.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부모 상의 경우 얼마나 망극(罔極)하십니까?

4. 손님 맞이 인사말

◇ 손님을 맞을 때의 인사말
상황 인사말
어서 오십시오.
관공서, 회사 등 어서 오십시오. 어떻게 오셨습니까?
백화점, 가게, 음식점, 다방 등 손님이 들어오면 어서 오십시오.(무엇을 찾으십니까?)
손님이 자리에 앉으면 무엇을 드시겠습니까? (음식점)/무엇을 드릴까요? (다방) /주문하시겠습니까?(공통)
주문한 것을 놓고 맛있게 드십시오.(음식점)
택시 어서 오십시오. 어디로 모실까요?
잔치 어서 오십시오. 고맙습니다.
 
◇손님을 보낼 때의 인사말
상황 인사말
안녕히 가십시오.(손위)
살펴 가십시오.(손위)
잘 가라.(손아래)
관공서, 회사 등 안녕히 가십시오.
백화점, 가게, 음식점, 다방 등 (고맙습니다.) 안녕히 가십시오.
안녕히 가십시오.(또 찾아 주십시오.)
택시 (고맙습니다.) 안녕히 가십시오.
잔치 고맙습니다. 안녕히 가십시오.
 
◇손님의 인사말
상황 인사말
들어갈 때 안녕하십니까?
관공서, 회사 등 수고하십니다. (수고가 많으십니다.) ○○일로 왔습니다.
잔치 축하합니다.
나올 때 (결례가 많았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관공서, 회사 등 수고하셨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수고하십시오.) (아랫사람에게)
잔치 (다녀가겠습니다/먼저 가겠습니다/안녕히 계십시오.)

5. 소개 인사말

자기 자신을 직접 소개할 때
(두 사람이 만났을 때) 자신을 남에게: 처음 뵙겠습니다(인사드리겠습니다). (저는) 아무개입니다.
아버지에 기대어 자신을 소개하는 경우: 저의 아버지는(아버지의 함자는) ○자 ○자이십니다.
여러 사람 앞에서 자기를 소개할 때: 처음 뵙겠습니다. 아무개입니다. (정형)
안녕하십니까? 아무개입니다. (허용)
중간에서 다른 사람을 소개할 때
(1) 친소 관계를 따져 자기와 가까운 사람을 먼저 소개한다.
(2) 손아랫사람을 손윗사람에게 먼저 소개한다.
(3) 남성을 여성에게 먼저 소개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이 섞여 있을 때에는 (1), (2), (3)의 순서로 적용한다.

6. 남편의 동기와 그 배우자의 호칭·지칭어

◇ 남편의 형
상황 자문 위원회 안
호칭어 아주버님
지칭어 시부모, 당사자의 손위 동기, 시댁 쪽 사람들에게 아주버니
손아래 동기에게 아주버님
친정 쪽 사람에게 시아주버니
자식에게 큰아버지, (큰아버님)/(첫째 큰아버지)/((지역 이름) 큰아버지)
 
◇ 남편의 아우
  상황 자문 위원회 안
호칭어 미혼자 도련님, (○째 도련님)
기혼자 서방님, (○째 서방님)
지칭어 시댁 쪽 사람에게 미혼자 도련님
기혼자 서방님
친정 쪽 사람에게 시동생
자식에게 미혼자 삼촌
기혼자 작은아버지, (작은아버님)
 
◇남편의 누나
상황 자문 위원회 안
호칭어 형님
지칭어 시댁 쪽 사람에게 형님
친정 쪽 사람에게 시누이
자식에게 고모, (고모님)
 
◇ 남편의 누이동생
상황 자문 위원회 안
호칭어 아가씨, 아기씨
지칭어 시댁 쪽 사람에게 아가씨, 아기씨
친정 쪽 사람에게 시누이
자식에게 고모, (고모님)
 
◇ 남편 형의 아내
상황 자문 위원회 안
호칭어 형님
지칭어 시댁 쪽 사람에게 형님
친정 부모에게 큰동서, (맏동서)
친정 쪽 사람에게 동서
자식에게 큰어머니, (큰어머님)
 
◇ 남편 아우의 아내
상황 자문 위원회 안
호칭어 동서
지칭어 시댁 쪽 사람에게 동서
친정 부모에게 동서
친정 쪽 사람에게 동서
자식에게 작은어머니, (작은어머님)
 
◇ 남편 누이의 남편
관계
상황
남편 누나의 남편 남편 누이동생의 남편
호칭어 아주버님, 서방님 서방님
지칭어 자식에게 고모부(님) 고모부(님)
자식 외의 사람들에게 (지역 이름) 아주버님, (지역 이름, 성) 서방님, ○○ 고모부 (님) (지역 이름, 성) 서방님, ○○ 고모부 님

7. 아내의 동기와 그 배우자의 호칭·지칭어

관계
상황
아내의 오빠 아내의 남동생 아내의 언니 아내의 여동생
호칭어 형님, 처남
(연하)
처남, 이름 처형 처제
지칭어 당사자에게 형님, 처남
(연하)
처남, 이름 처형 처제
아내에게 형님, 처남
(연하)
처남, 이름 처형 처제
부모에게 처남 처남 처형 처제
장인 장모에게 형님, 처남
(연하)
처남, 이름 처형 처제
당사자의 손위 동기와 배우자에게 형님, 처남
(연하)
처남, 이름 처형 처제
손아래 동기에게 [그들이 부르는 대로] [그들이 부르는 대로] [그들이 부르는 대로] [그들이 부르는 대로]
자신의 동기와 배우자에게 처남 처남 처형 처제
자식에게 외삼촌, 외
숙(부)
외삼촌, 외
숙(부)
이모 이모

관계
상황
아내 오빠의 부인 아내 남동 생의 부인 아내 언니
의 남편
아내 여동생의 남편
호칭어 아주머니 처남의 댁 형님, 동서 동서, ○ 서방
지칭어 당사자에게 아주머니 처남의 댁 형님, 동서 동서, ○ 서방
아내에게 처남의 댁 처남의 댁 형님, 동서 동서, ○ 서방
부모에게 처남의 댁 처남의 댁 동서 동서, ○ 서방
장인 장모에게 처남의 댁 처남의 댁 형님, 동서 동서, ○ 서방
당사자의 시댁 및 처가의 손위 동기와 배우자에게 처남의 댁 처남의 댁 형님, 동서 동서, ○ 서방
손아랫사람에게 [그들이 부르는 대로] [그들이 부르는 대로] [그들이 부르는 대로] [그들이 부르는 대로]
자신의 동기와 배우자에게 처남의 댁 처남의 댁 동서 동서
자식에게 외숙모 외숙모 이모부 이모부

8. 동기와 그 배우자의 호칭·지칭어

◇남자의 경우
관계
상황
형의 아내
호칭어 형, 형님 아주머님, 형수님
지칭어 당사자에게 형, 형님 아주머님, 형수님
부모에게 아주머님, 형수
동기, 처가 쪽 사람에게 형, 형님 아주머니(님), 형수(님)
자식에게 큰아버지(님) 큰어머니(님)
타인에게 형, 형님 형수님, ○○ 큰어머니

관계
상황
남동생 남동생의 아내
호칭어 ○○(이름), 아우, 동생 제수 씨, 계수 씨
지칭어 부모, 동기, 타인에게 ○○(이름), 아우, 동생 제수 (씨), 계수 (씨)
처가 쪽 사람에게 아우, 동생, ○○삼촌,
(○○ 작은아버지)
제수 (씨), 계수 (씨)
자식에게 삼촌, 작은아버지(님) 작은어머니(님), 숙모(님)

관계
상황
누나 누나의 남편
호칭어 누나, 누님 매부, 매형
지칭어 부모에게 누나 매부, 매형
동기 및 처가 쪽 사람, 타인에게 누나, 누님 매부, 매형
자식에게 고모(님) 고모부(님)

관계
상황
여동생 여동생의 남편
호칭어 ○○(이름), 동생, ○○
어머니(엄마)
매부, ○ 서방
지칭어 부모, 동기, 타인에게 ○○(이름) 매부, ○ 서방
동기에게 ○○(이름), 동생 매부, ○ 서방
처가 쪽 사람 누이동생 매부
자식에게 고모(님) 고모부(님)
타인에게 누이동생 매부, ○ 서방

◇ 여자의 경우
관계
상황
오빠 오빠의 아내
호칭어 오빠, 오라버니(님) (새)언니
지칭어 당사자에게 오빠, 오라버니(님) (새)언니
부모에게 오빠, 오라버니 (새)언니, 올케
동기에게 오빠, 오라버니(님) (새)언니, 올케
시댁 쪽 사람 및 타인에게 (친정) 오빠, (친정) 오라버니, ○○ 외삼촌 (새)언니, 올케
자식에게 외삼촌, 외숙 외숙모

관계
상황
남동생 남동생의 아내
호칭어 ○○(이름), 동생, ○○ 아버지(아빠) 올케, ○○ 어머니(엄마)
지칭어 부모에게 ○○(이름), ○○ 아범, ○○ 아비 올케, ○○ 어머니(엄마)
동기에게 ○○(이름), 동생, ○○ 아버지(아빠) 올케, ○○ 어머니(엄마)
시댁 쪽 사람에게 친정 동생, ○○ 외삼촌 올케, ○○ 외숙모
자식에게 외삼촌, 외숙 외숙모
타인에게 ○○(이름), ○○ 외삼촌, (친정) 동생 올케, ○○ 어머니(엄마), ○○ 외숙모

관계
상황
언니 언니의 남편
호칭어 언니 형부
지칭어 친정 쪽 사람에게 언니 형부
시댁 쪽 사람 및 타인에게 언니, ○○ 이모 형부, ○○ 이모부
자식에게 이모(님) 이모부(님)

관계
상황
여동생 여동생의 아내
호칭어 ○○ (이름), 동생, ○○ 어머니(엄마) ○ 서방(님), ○○ 아버지(아빠)
지칭어 당사자에게 ○○(이름), 동생, ○○ 어머니(엄마) ○ 서방(님), ○○ 아버지(아빠)
부모에게 ○○ (이름), ○○ 어멈, ○○ 어미 ○ 서방, ○○ 아버지(아빠)
동기에게 ○○ (이름), 동생, ○○ 어머니(엄마) ○ 서방, ○○ 아버지(아빠)
시댁 쪽 사람에게 친정 여동생, ○○ 이모 ○○ 이모부, 동생의 남편
자식에게 이모(님) 이모부(님)

9. 숙질(叔姪) 간의 호칭·지칭어

관계
상황
호칭어 지칭어
말하는 사람의 자식에게 당사자의 자식에게 타인에게
아버지의 형 큰아버지 (지역 이름) 큰할아버지, 종조할아버지,
종조부,
(지역 이름) 할아버지
큰아버지, 아버지 큰아버지, 백부(맏형만), 중부
아버지 형의 아내 큰어머니 (지역 이름) 큰할머니,
종조할머니,
종조모,
(지역 이름)할머니
큰어머니,
어머니(엄마)
큰어머니,
백모
아버지의 남동생 미혼―삼촌, 아저씨 기혼―작은아버지 (지역 이름) 작은할아버지,
(작은)종조할아버지,
(작은)종조부,
(지역 이름) 할아버지
작은아버지, 아버지
미혼―삼촌, 아저씨
기혼―작은아버지, 숙부
아버지의 동생의 아내 작은어머니 (지역 이름) 작은할머니,
(작은)종조할머니,
(작은)종조모,
(지역 이름)할머니
작은어머니,
어머니(엄마)
작은어머니,
숙모
아버지의 누이 고모, 아주머니 대고모, 왕고모,
(고모할머니),
((지역 이름) 할머니)
고모, 어머니 고모
아버지 누이의 배우자 고모부, 아저씨 대고모부, 왕고모부, (고모할아버지),
(지역 이름) 할아버지
고모부, 아버지 고모부,
고숙
어머니의 남자 형제 외삼촌, 아저씨 진외할아버지,
진외종조부,
(지역 이름) 할아버지
외삼촌, 외숙, 아버지 외삼촌, 외숙
어머니 남자
형제의 배우자
외숙모, 아주머니 진외할머니,
(지역 이름) 할머니
외숙모, 어머니(엄마) 외숙모
어머니의 자매 이모, 아주머니 이모할머니,
(지역 이름) 할머니
이모(님), 어머니(엄마) 이모(님)
어머니
자매의
배우자
이모부, 아저씨 이모할아버지,
(지역 이름) 할아버지
이모부(님), 아버지 이모부, 외숙

관계
상황
남자 조카 조카의 아내 여자 조카 조카의 남편
호칭어 미성년-이름
성년-조카, ○○ 아범, ○○아비
아가, 새아가, ○○ 어멈, ○○ 어미, 질부(姪婦), 생질부(甥姪婦) 미성년-이름
성년-조카,
○○ 어멈, ○○ 어미
○ 서방, ○○ 아비, ○○ 아범
지칭어 타인
에게
친조카 조카 조카며느리, 질부(姪婦) 조카딸 질녀 (姪女) 조카사위, 질서(姪婿)
누이의
자식
생질(甥姪) 생질부(甥姪婦) 생질녀(甥姪女) 생질서(甥姪婿)

10. 사돈 간의 호칭·지칭어

◇ 같은 항렬
관계
상황
자식 배우자(며느리, 사위)의 부모 및 삼촌 항렬
남 : 남 남 : 여 여 : 여 여 : 남
호칭어 및
당사자에게
지칭
사돈어른, 사돈 사부인 사부인, 사돈 사돈어른 (밭사돈)
자기 쪽 사람에게 부모 : 사돈,
○○ (외)할아버지
사부인,
○○ (외)할머니
사부인,
○○ (외)할머니
사돈어른,
○○ (외)할아버지, (밭사돈)
삼촌 : 사돈어른,
사돈, [관계 말]
사부인,
[관계 말]
사부인,
[관계 말]
사돈어른,
[관계 말]
사돈 쪽 사람에게 부모 : 사돈어른,
사돈, ○○ (외)할아버지
사부인,
○○ (외)할머니
사부인,
○○ (외)할머니
사돈어른,
○○ (외)할아버지
삼촌 : 사돈어른, 사돈, [관계 말] 사부인,
[관계 말]
사부인,
[관계 말]
사돈어른,
[관계 말]

관계
상황
동기 배우자(형수, 올케 등)의 동기 및 그 배우자
호칭어 및 당사
자에게 지칭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사돈, 사돈처녀, 사돈아가씨
당사자 이외의
사람에게 지칭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관계 말]
사돈, 사돈처녀, 사돈아가씨
[관계 말]
 
◇ 위 항렬
관계
상황
자식 배우자(며느리, 사위)의 조부모,
동기 배우자(형수, 올케 등)의 부모
호칭어 및 당사자에게 지칭 사장 어른
당사자 이외의 사람에게 지칭 사장 어른, [관계 말]
 
◇ 아래 항렬
관계
상황
자식 배우자(며느리, 사위)의 동기 및 조카,
동기 배우자(형수, 올케 등)의 조카
호칭어 및 당사자에게 지칭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사돈, 사돈처녀, 사돈아가씨
당사자 이외의 사람에게 지칭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관계 말]
사돈, 사돈처녀, 사돈아가씨
[관계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