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語 呼稱의 實狀과 對策
Ⅰ. 序論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다. 인간의 사회생활은 언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종래의 우리 사회는 오늘날과 같이 大集團 사회요, 개방 사회가 아니었다. 小集團 사회요, 폐쇄 사회였다. 그러기에 言語生活의 장면이 넓고 다양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대인 교섭의 단서가 되는 呼稱이 잘 발달되지 못하였고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우리의 가정도 大家族 制度에서 核家族 制度로 바뀌었다. 이로 말미암아 종래 자연스럽게 쓰이던 많은 呼稱이 잘 쓰이지 않게 되어 言衆들의 의식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갑자기 이 呼稱을 사용하여야 할 장면에 부딪히게 되면 무엇이라 불러야 할지 몰라 당황하게 되는 것이 오늘의 언어 현실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과도기적 언어 현실로 말미암아 나타나는 우리말 呼稱의 실상은 어떠하며 문제가 무엇이고, 그 해결책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呼稱을 살펴보기로 한다.
呼稱이라면 흔히 親姻戚 呼稱을 떠올리게 되나 본고에서는 일반인에 대한 呼稱도 심도 있게 다루기로 한다. 이 對人 호칭이야말로 대집단 사회, 개방 사회가 됨으로 말미암아 많은 문제를 제기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呼稱'이란 용어의 사용에도 제한을 두기로 한다. 종래에는 '呼稱'이란 말로, '稱號', 指稱', '呼稱'을 구별없이 사용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은 혼동될 성질의 말이 아니다. '呼稱'은 부름말이요, '指稱'은 가림킴말이며, '稱號'란 名號를 이르는 말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부름말'이란 의미로 '呼稱'을 제한 사용하기로 한다.
Ⅱ. 一般 呼稱
필자는 이런 글을 쓴 적이 있다. (朴甲洙, 1980)
이 글은 말할 것도 없이 우리 사회에서 상대방을 이르는 일반 호칭에 外來語밖에 없음을 개탄한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언어 현실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먼저 呼稱의 類型과 實狀을 살피고 그 問題點과 對策을 모색해 보기로 한다.
1. 呼稱의 類型과 實狀
일반 사회에서 쓰이고 있는 呼稱은 참으로 각양 각색이다. 그러나 이것을 類型化해 보면 다음과 같이 8,9種으로 分類할 수 있을 것이다.
1.1 感歎詞型
의지적 감탄사의 일종으로 呼稱에 쓰이는 것이 있다. 이러한 예로는 '여보'系의 '여보, 여보게, 여보세요, 여보시게, 여보시오, 여보십시오, 여봅시오, 여봐라, 엽쇼'와, '이애'系의 '이애, 얘'가 있다. 이 가운데 '여보세요'는 사전에서 俗語로 다루고 있으나 바람직한 標準語로 승격시켜야 하겠고, '여보셔요'는 국정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으면서도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데 역시 표준어로 수용해야 할 것이다. '엽쇼'는 '여보시오'의 준말로 보는 말이나 오늘날은 거의 들을 수 없는 死語다. '여보'는 흔히 자기 아내와 남편을 부르는 감탄사로 쓰인다. '여보'系의 '여봐, 여봐요' 및 '여기봐, 여기봐요'는 표준어로 인정을 받고 있지 못한 듯, 사전에 등재조차 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이들 낱말들은 우리의 言語 現實에서 자주 접하는 말들이다. 이밖에 '이보, 이봐, 이보게, 이보시오, 이보우다'같은 '이보'系의 말이 있다. 이들도 모두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보우다'는 함경 방언으로 알려진다. '이애'系의 '이애'는 '이아이야'의 준말로 아이를 부르는 말이다. '얘'는 '이애'의 준말이다.
1.2 姓名-接辭型
姓이나 이름 아래 광의의 接辭가 붙는 것이 이 유형에 속하는 것이다. 존칭 접사로는 '-님, -씨, -양' 등이 있고, 경칭으로 '여사, 부인, 선생' 등이 있다. 이 밖에 비칭이라 할 '-군, -서방' 등이 있다. 姓名 아닌 地名에 接辭가 붙어 女人을 呼稱하는 '-댁'도 이 유형과 비슷한 형의 呼稱이다.
1) '-님'型
'님'이란 가장 일반적인 존칭 접사 가운데 하나이다. 이는 '주시경-님, 국장-님, 선생-님, 달-님, 해-님'과 같이 사람의 이름 아래뿐만이 아니라 관직명, 사물명 아래에도 두루 붙어 쓰이는 말이다. 사람에게 쓰일 때는 姓名 아래 붙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고, 그 다음이 이름이나 호 아래 쓰이는 경우이며, 姓氏 아래 쓰일 때는 어색하다는 느낌을 준다. 그러나 일부 기관에서는 '김-님, 이-님, 박-님'과 같이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접사 '-님'은 본래 '임금, 주인'을 뜻하는 말로, 이것은 일찍부터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訓蒙字會나 新增類合에 '님 쥬(主)'로 '主'의 새김이 '님'으로 나타나는데, 이 '主'자가 신라의 薯童謠 및 開仙寺 石燈記 등에 보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이 '님'은 남용되고 있다. '社長, 局長, 校長, 將軍 등'이 다 존칭의 직함인데 여기에 다시 존칭 접사 '님'을 붙이고 있는 따위가 그것이다. 우리의 言語 습관이라고 하나 문제로 제기된다.
2) '-씨'
'-씨'는 '-님'과 더불어 가장 대표적인 존칭 접사이다. '-님'과 다른 점은 이 접사는 고유어가 아닌 漢字語라는 것이다. '-씨'는 姓名 아래뿐만이 아니라, 성씨 아래, 이름 아래에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김영란-씨, 김-씨, 영란-씨'의 용례가 그것이다. '-씨'의 연원도 '-님'과 같이 오래된 것으로 三國遺事 王歷第一에 다음과 같은 용례가 보인다.
이 '-씨'는 男女에 두루 쓰일 수 있다.
3) '-孃'型
'-양'은 여자의 성명 아래 붙어 처녀임을 나타내는 접사이다. '고은아-양, 고-양, 은아-양'과 같이 성명, 성, 이름 아래 두루 붙어 자유롭게 쓰이는 접사이다. 이는 '미스(miss)'에 대응된다.
그런데 이 '孃'자는 '어미(母)'와 '아가씨(娘)'의 뜻을 지니며 '미혼의 여자 이름에 붙이는 경칭'으로 쓰이는 말이다. 그러기에 鄭允容의 字類註&釋에만 보아도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이렇게 '孃'자가 '어미'의 뜻을 지니는가 하면, 미혼의 여자 이름에 붙여 경칭으로 쓰이는 것이 일본식이라 하여(1) 일부에선 이를 존칭 접사로 사용하는 것을 꺼리기도 한다. 그러나, '孃'이 '娘'과 同義의 글자요(辭源), 일반화한 것이므로 써서 무난할 것으로 생각된다.
4) '-君'
'君'은 芝峰類說의 '俗釋君字日尼音今 此語本出新羅'에 보이는 바와 같이 '임금'을 뜻하는 말로, 이 말은 新羅 시대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君'이 존칭 접사로 쓰인 것을 葛項寺 造塔記에서 볼 수 있다.
이때의 '君'은 '님금'이라기보다 '님'으로 새겨질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새김으로 쓰이던 존칭 접사 '-君'이 한자음 그대로 쓰이고 있는 것이 '이철수-군, 이-군, 철수-군'과 같이 쓰이는 것이다. '군(君)'은 오늘날 그 의미가 下落해 친구 사이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 성명 아래 붙여 부르고 있다. 이 밖에 신문 잡지의 가십 기사 같은 데서 국회의원이나 장관, 저명 인사의 이름이나 별명 밑에 농조로 붙이어 쓰기도 한다. '-군'은 '미스터(Mr.)'와 아주 용법이 비슷한 대중적 호칭이라 하겠다.
5) '公'
'公'이란 父祖를 의미하기도 하며 해야 존칭, 相呼之稱으로도 쓰이는 말이다. 이 말은 또한 접사로서 姓이나 시호 관작 밑에 붙어 존대의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李-公', '忠武公'과 같은 것이 그 예이다. 물론 公爵位를 받은 사람에게도 '원저公'과 같이 쓰인다.
6) '-女史'
'여사(女史)'란 본래 고대 중국에서 記錄을 관장하던 女官을 이르던 말이며, 이는 나아가 학식 있는 女性 및 유명한 부인의 경칭으로 쓰이는 말&이다.
이 말은 의미가 확대되어 우리나라에서는 시집간 여자의 존칭으로 쓰이기도 한다. '신 사임당 여사, 신 여사'에 대해 동네 부인에 대한 '김 여사, 박 여사'의 호칭이 그것이다. 따라서 '女史'란 존칭은 '미세스(Mrs)'에 대응되는 말이라 할 것이다.
7) 先生
'선생'이란 부형, 교사를 이르는 말이며, 나아가 학덕이 뛰어난 사람에 대한 경칭이요, 상대방을 부르는 존칭이기도 하다. '선생'이 남을 부르는 경칭으로 쓰이는 것을 韓.日이 다 마찬가지다. 다만 中共에서는 해방 이후 국민들이 '同志的 關係'로 결속되어 '先生'은 공식적인 자리에서 '非同志' '非共産黨員' '非마르크스主義者'를 의미하게 되고, 일반 호칭으로는 '同志'라는 말이 쓰이게 된 것(芝田 稔, 1987:134)이 다를 뿐이다. '先生'이 일반 경칭으로 쓰이는 것은 의미가 下落 擴大된 것으로, 이는 姓氏 또는 姓名 아래 붙여 쓰게 된다.
8) 夫人
우리 사전에 의하면 '부인(夫人)'은 '남의 아내의 높일말. 내상(內相)'(李熙昇, 국어 대사전)이라고 간단히 풀이되어 있다. 이 말은 본래 제후나 貴人의 正妻, 天子의 妃와 같이 존귀한 사람을 이르던 말로, 婦人이나 아내의 존칭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辭源에 의하면 '夫人'이 婦人의 존칭으로 쓰이게 된 것은 漢魏 이래의 일로, 이때 '非列候之妻'도 '夫人'이라는 존칭을 쓰게 되었고, 唐宋 더욱 '普通之尊稱'이 되었다고 한다. 이'夫人'이란 존칭은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고, 姓氏 아래 받혀 '魏夫人'과 같이 쓰거나, '謝氏夫人'과 같이 '각시 씨(氏)'자를 사이에 넣어 쓰기도 한다. 근자에는 姓名 아래 붙여 쓰이는 것도 볼 수 있다.
9) 서방(書房)
'서방'이란 남편의 속어이며, 벼슬 없는 사람의 姓 아래 붙여 이름 대신 부르는 말이다. '이-서방' '김-서방'과 같이 일러지는 것이 그 예이다. 이 '서방'은 중국이나 일본에는 보이지 않는 우리만의 呼稱이다. 다만 이는 舊時代 호칭의 냄새가 난다.
10) 總角, 道令
'총각'은 결혼하지 않은 男子를, '도령'은 총각을 대접하여 일컫는 말이다. 이들 명사는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나, 姓名 아래 붙어 쓰이기도 한다. '정 총각' '몽룡 도령'과 같은 것이 그 예이다. 이 호칭도 구시대의 냄새가 난다.
11) 小姐, 娘子
'小姐'는 여자의 통칭이나 특히 미혼의 女子를 이르는 말이다. 중국에서는 역사적으로 姬妾을 이르는 말을 거쳐 귀한 집안의 여자를 이르는 말이 되었다. 이 말은 중국에서 'miss'에 대등한 말로 쓰인다. 우리나라에서도 아가씨, 처녀의 존칭으로 쓰이며, '김 소저' '정 소저'와 같이 성 아래 붙어 존대의 호칭으로 쓰인다.
'娘子'는 본래 '처녀, 소녀', '어머니', '아내', '부녀자' 등을 지칭하는 말이나 이 말은 단독으로 呼稱으로 쓰이기도 하고, '김 낭자' '성 낭자'와 같이 姓氏 아래 붙여 존대의 呼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들은 老年層에서 쓰이는 점잖은 호칭이다.
12) 處女, 處子
'처녀'나 '처자'는 다 같이 성숙한 미혼의 女性을 이르는 말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呼稱으로 쓰이기도 하고, 姓 아래 붙어 呼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姓 아래 쓰이는 경우는 '김 처녀'보다는 '김 처자'와 같이 '처자'쪽을 취하는 것이 좀더 자연스러운 용법이다.
1.3 身分名(-님)型
身分名에 의한 呼稱도 대표적인 呼稱 가운데 하나이다. 이러한 예로는 우선 官職名을 들 수 있다. 이는 흔히 姓氏와 함께 쓰이거나, 姓名과 함께 쓰인다.
金 判事, 李 判書, 朴 參判, 崔 僉知, 權 參奉, 宋 生員, 鄭 進士, 權慄 將軍
이들은 朝鮮朝의 관직명과 관계가 있는 것이어니와, 오늘날도 '姜 總理, 鄭 長官, 閔 局長, 沈 課長, 尹 係長' 및 '金 議長, 文 議員, 閔 大法院長, 鄭 檢事, 朴 敎授, 韓 郡守, 都 面長'과 같이 일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동류거나, 上司의 호칭이요, 여기에'-님'자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인 呼稱이다.
관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는 이 밖에 '마마, 大監, 令監, 나으리'와 같이 존칭과 '閣下, 低下, 殿下, 聖下, 陛下'와 같은 공대말이 있다.
이 밖에 사회적인 직책과 관계가 있는 呼稱이 있다.
社長, 會長, 理事, 部長, 代理, 技士, 記者, 主幹, 委員
따위가 그것이다. 이들도 대인 관계에 따라 존칭 접사 '-님'이 붙게 되며 성명이나 성을 받쳐 부르기도 한다.
1.4 親族語 代用型
일반인에 대한 呼稱으로 親族語가 대용되는 것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것은 첫째 자기를 기준으로 상대방을 직접 호칭하는 것이다. 이때의 기준은 물론 연령이 된다. 이러한 친족어 대용 호칭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할아버지, 할머니, 아저씨, 아주머니' 같은 말이 있다. 이 밖의 것으로는 '兄'에 '氏'자를 붙여 '兄氏'라 하는 말이 있다. 그러나, 놀랍게 이 말은 사전에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 밖에 근자에 젊은 층에 의해 많이 쓰이는 것으로 '형, 언니, 오빠' 같은 말이 있다.
둘째는 불려지는 사람 기준으로 그 身分에 어울리게 間接 呼稱하는 것이다.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언니, 오빠, 형'과 같이 부르는 것이다. 이 경우 '할아버지,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의 경우 흔히'-님'자를 붙여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친족어 대용형의 호칭은 호칭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고, 여기에 성명이나, 신분명 및 사람을 나타내는 말을 얹어서 부르기도 한다.
이 밖에 친족어는 존칭 접사 아래 쓰이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존칭 접사만으로 존대의 정도가 약하다고 보아 다시 여기에 친족 호칭을 추가한 것으로 바람직한 것이 못 된다.
1.5 姓名(-助詞)型
동배나 아랫사람을 부를 때 흔히 쓰이는 형이다. 이는 '홍길동', '길동'과 같이 성명이나 이름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고, 여기에 呼稱 助詞 '-아', '-야, -여, -시여' 등을 붙여 부르기도 한다.
呼格 助詞는 身分名, 親族名 등의 아래에도 쓰인다.
1.6 代名詞型
代名詞가 呼稱으로 쓰이는 경우는 많지 않다. '어르신네, 여러분, 임자, 이애(2)'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 밖에 '너, 당신, 그대, 자네, 자기, 君, 公, 貴公, 尊公, 저분, 유(you)' 따위가 들려지기도 하나, 이들은 呼稱이라기보다 오히려 指稱의 성격이 강한 말이라 하겠다. '형씨'는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말이나 호칭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1.7 名詞型
상대방을 높이거나, 완곡하게 표현하기 위해 呼稱으로 名詞들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마나님, 마님, 사모님, 부인, 주부님'은 婦人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마나님'은 '抹樓下님'에서 변한 말로 尊貴稱이었던 말이다. '마님'은 '마나님'의 준말이다. '師母님'은 스승의 부인을 가리키던 말이 婦人에 대한 존칭으로 意味가 하락한 말이다. 魏叔子의 '稱謂錄'에 보면 이러한 사정을 알 수 있다.
이 말을 부인의 호칭으로 쓰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 못 된다.
'夫人'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랜 옛날부터 婦人의 존칭으로 쓰이던 말이다. 그럼에도 이 말은 그 의미가 하락해 존대의 의미가 희박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다. '主婦님'은 한 집안의 주인인 여성을 높이 부른 말인데 呼稱의 부족에서 생긴 어색한 존대 호칭이라 하겠다.
'아기씨, 아가씨, 아씨, 색시, 處女, 處子' 등은 젊은 여인을 높여 부른 말이다. '아가씨, 아기씨'는 젊은 여인을 대접해 이르는 말로, 이러한 뜻의 말로는 또 '작은 아씨, 작은 아가씨, 小姐'와 같은 말이 있다. 이에 대해 '아씨'란 며느리 보기 전의 젊은 부인을 아래 계급 사람이 부르는 말이며 '處女, 處子'는 小姐, 娘子와 같이 미혼 여성의 호칭으로 쓰이는 말이다. 오늘날 '아가씨'란 말은 흔히 접객업소에 근무하는 女性에게 쓰이기 때문에 일반 여성은 이전 呼稱으로 불리는 것을 꺼리는 경향을 보인다.
'先生(님), 社長님'은 오늘날 남자의 존칭 호칭으로 쓰이고 있는 말이다. '先生'은 오래전부터 상대방을 부르던 경칭으로 해방 후 많이 쓰이게 된 말이요, '社長님'은 근자에 경제 우위의 사회가 되며 새로 세력을 얻게 된 말이다. '선비'는 史劇에나 나오는 말이다.
'어른, 어르신, 어르신네', '늙은이, 늙으신네' 및 '젊은이, 젊으신네'도 호칭으로 쓰이는 명사이다.
'學生, 總角'도 많이 쓰이는 말이다. 이들은 흔히 나이 어린 男子을 완곡하게 부르는 말로 쓰인다. '도령(님)'도 존칭으로 쓰인다.
1.8 宅號型
한 남자가 장가를 들면 그는 妻家의 지명에 따라 '××宅'이란 택호를 얻게 되고, 또 벼슬을 하면 그 벼슬에 따라 '××宅'이란 택호를 얻게 된다. 그리고, 그 안 主人은 이 宅號에 의해 불려진다. 예를 들면 '淸州宅, 開城宅, 밤실댁'이라 일러지거나 '敎理宅, 判書宅, 參判宅, 長官宅, 面長宅, 社長宅'과 같이 일러지는 것이 그것이다.
1.9 外來語型
일반적인 呼稱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外來語型이다. 이것은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절대적인 세력을 지니고 있다. 英語의 '미스터(mr), 미스(miss), 미세스(mrs)'가 일반적인 것이다. 이 밖에 '무슈르(monsieur), 마드모아젤(mademoiselle), 마담(madame)'과 같은 불어가 쓰이며 '헤르(Herr), 후로이라인(Fräulein), 후라우(Fuau)'는 호사가에 의해 쓰이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또 '유(you)'가 쓰인다. 이러한 外來語型은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순화해야 할 호칭이다.
2. 呼稱의 問題點과 對策
우리말 對人 呼稱의 문제점은 크게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다. 그것은 첫째 男女 長幼를 구분 호칭할 수 있는 말이 발달되지 않았다는 것이고, 둘째 보편화한 外來語를 순화해야 한다는 것이며, 셋째 意味의 下落에 의해 변화에 대책을 강구해야 하며, 넷째 앞에서 살펴 본 類型에 따른 자잘한 問題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이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 보기로 한다.
2.1 男女 長幼의 呼稱
婦人은 '夫人'이라 호칭할 수 있고, 미혼의 여성은 '아가씨, 아기씨' 또는 '처녀, 처자, 낭자, 소저'라고 호칭할 수 있다. 남자의 경우는 미혼의 젊은이의 경우 '총각, 도령'이라 호칭할 수 있다. 그러나 성인 남자를 호칭하는 말로는 적당한 것이 없다. 그리하여 'Thank you, sir!'를 고작 번역한다는 것이 '감사합니다, 선생님'이다. 성인 남자 일반을 호칭할 말이 없는 것이다. 'Bonjour, Monsieur!'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때도 '안녕하세요, 선생님!'밖에는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아저씨'이다. 한 나라 말이 딴 나라 말에 대응되지 못한대서 문제가 아니라, 필요한 말인데 없는 것이다. 이 말은 '열다섯 살 이상의 장정이 된 남자'를 이르는 '男丁'으로 하면 좋을 것 같다. '감사합니다, 남정(님)!' 또는 '남정(님). 이리 오시오!' 이렇게 쓸 수 있는 것이다. '男丁' 대신 옛말 '남진(男人)'을 살려 써도 좋을 것이다. 그렇게 되면 男女 長幼는 '남정(남진)', '부인', '총각(도령)', '처녀(처자, 낭자, 소저)'로 짝지어질 수 있을 것이다.
2.2 外來語 呼稱의 순화
다른 것도 아닌 보편적인 호격 접사가 外來語로 되어 있다는 것은 文化 民族으로서 수치가 아닐 수 없다. 우선 미스터(Mr.), 미스(miss), 미세스(Mrs.)는 우리말로 순화되어야 하겠다. 이들은 각각 '군(씨), 양, 여사(부인)'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미스터는 '君'과 '氏'로 호칭할 수 있다. 동배나 수하의 사람에게는 '-君'을 쓰고, 동배나 수상의 사람에게 존칭으로 쓸 때는 '-氏'로 쓰면 될 것이다. 앞 章에서 보았듯 '-님'이나 '-公'으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님'의 경우는 한자 姓과 고유어 접사라 어색하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公'이 존칭 또는 상호 지칭으로 쓸 수 있는 말로서 무난하며, '-君'처럼 하대한다는 느낌이 없어 좋다. '-公'을 쓰면 長幼의 구별 없이 하나로 통일해 쓸 수 있어 좋을 것 같다. 또 '선(仙)'의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선'은 仙敎徒를 가리키던 말이다. 고구려의 관명 '皂衣先人'에 유래하는 것으로 신라의 '國仙道'의 '仙'도 이것으로 보인다(金鐘塤, 1984:16).이 '-선'을 '이-선, 김-선'과 같이 호칭 접사로 활용하고 있는 것도 볼 수 있다. '-산'의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訓蒙字會의 '뎡'(丁)의 '산'을 남자 존칭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君',중국에서는 '先生'으로 흔히 이르고 있다.
미스는 '-孃'이 제일 무난할 것 같다. '孃'은 '娘'과 동의어로 日本 中國에서 다 쓰였으나, 호칭 접사로 쓰이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뿐인 것 같다. 따라서 남을 쫓는다는 느낌도 없어 좋다. '-孃'을 '-小姐'로 바꾸어도 좋겠다. 이 미스에 해당한 말을 중국에서는 '-小姐', 일본에서는 '-상(樣)'으로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씨'라고 이르는 기관도 있는 듯하나 '아씨'가 '젊은 부인'을 아래 계급 사람들이 이르는 말이고 보면 어울리는 말이 아니라고 하겠다. '-아가씨, -아기씨'라 이르게 되면 音節數가 길어 적당치 않다. 물론 이름 아래 쓰는 것은 괜찮다. '-氏'를 이름 아래 쓰는 방법도 있다. 이때는 이름을 안다는 것이 전제돼야 한다.
미세스는 '女史'또는 '夫人'이라 하면 좋을 것이다. '女史'는 지식층 여성의 경칭이며, '夫人'이란 天子 등 존귀한 사람의 아내로, 婦人의 존칭으로 쓰이는 말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언어 현실은 '女史'라면 직업 여성, '夫人'이라면 가정 부인이란 느낌을 준다. 미세스에 해당한 중국어는 '太太', 일본어는 '상(樣)'이다. '太太'란 仕宦之妻를 통칭하는 말이나, 우리는 쓰지 않는 말이다.
2.3 意味 下落의 呼稱
의미 하락의 대표적인 용례로는 '님'의 남용을 들 수 있다. 그것은 존칭의 직함에 '-님'자를 붙이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붙일 수 없는 직분의 '교사님, 수위님, 주부님'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 밖에 '先生님, 師母님. 社長님' 및 '아버님, 어머님, 아저씨, 아주머니'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앞에서 논의한 男女 長幼의 호칭이 마땅치 않음으로 의미가 하락하여 이들이 쓰이고 있는 것이다. '先生'이란 敎師, 師匠을 이르는 말로 文廟에 배향될 인물에게나 붙일 정도의 극존칭이었다. 이러한 先生이 필부필부에까지 쓰일 정도로 의미가 하락된 것이다. '師母님'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師父님'의 대가 되는 말이다. 上司 부인이나 동네 아주머니에게까지 쓰일 말이 아닌 것이다. '社長님'도 의미가 하락해 회사는커녕 집 한 칸도 갖지 못한 사람에게까지 일반화되고 있다는 것은 역설이 아닐 수 없다. 방송에서 친근감을 나타내고, 장사꾼이 상술로 '아버님, 어머님'하는 것도 의미의 下落으로 문제이다. 연배의 고려도 없이 덮어놓고, 男子는 아저씨, 女子는 아주머니라고 하는 것도 문제이다. '남정, 부인, 총각, 처녀' 등 적절한 단어를 쓰도록 할 일이다. 특별히 '아버님, 어머님, 언니, 오빠, 형' 등의 호칭은 'おどろちやん, おかあちやん, おねえやん, おにいちやん' 등 일본 호칭을 흉내낸 것으로 보인다.
2.4 其他 呼稱의 여러 問題
이 밖에 呼稱에는 많은 문제가 있다.
첫째, 感歎詞型 呼稱에서는 '여보세요, 여보셔요'가 표준어로 승격되어야 하겠다. '여봐, 여봐요, 여봐라, 여기봐, 여기봐요'도 아직 사전에 수록조차 되어 있지 않은데 표준어 비표준어의 심의가 있어야 겠다. '이보, 이보오, 이봐, 이보게, 이보시오'도 마찬가지다. '이보'系의 말은 다음과 같이 古時調에도 쓰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쓰이고 있고 오늘날도 실용되고 있고 보면 표준어로 수용할 일이다.
둘째, 親族語 代用型에 있어서 '김 씨 아저씨', '이 양 언니' '미스 박 누나' '미스터 최 오빠', '미세스 김 아줌마' 같은 것은 姓氏에 존칭 접사가 붙고, 여기에 다시 親族語가 붙은 呼稱으로 바람직한 것이 못 된다. '김 씨, 이 양, 이미스 박'이거나, '김 아저씨, 이 언니, 박 누나'라고 부르도록 할 일이다. 물론 '미스 박', '미스터 최', '미세스 김'은 '박 양', '최군(-공, -씨)', '김 여사(부인)'이라 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代名詞型에 있어 '형씨'는 '그대'의 뜻으로 수용, 呼稱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名詞型 呼稱에 있어 '아가씨'가 경원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우리는 남북 분단으로 '동무'라는 좋은 단어 하나를 잃었거니와 '아가씨'의 의미 하락으로 젊은 여자를 대접해 이르는 말을 잃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적극 활용토록 할 일이다.
다섯째, 外來語型 呼稱에서 '유(you)'는 場面에 어울리게 '너, 당신, 그대, 자네, 公, 君, 貴公' 등 어울리게 순화하여 쓰도록 할 일이다. '마담'도 마찬가지다.
Ⅲ.親族 呼稱
一般人에 대한 呼稱이 폐쇄 사회에서 개방 사회로 넘어오며 呼稱에 문제가 생긴 것이라면 親戚에 대한 호칭은 대가족 제도에서 핵가족 제도로 바뀌고 폐쇄 사회에서 개방 사회로 바뀌며 문제가 생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대가족 제도 아래에서는 자연스럽게 익히던 것을 핵가족화하며, 접할 기회를 잃었고, 개방 사회가 되며 지역적 문화적으로 차이가 있던 呼稱이 사회가 개방되며 문제점으로 부각되게 된 것이다.
親戚이란 親族과 姻族, 말을 바꾸면 姻戚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姻族이란 外族과 妻族을 가리키는 말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친척 호칭의 실상과 문제점을 親族, 外族, 妻族으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1. 親族 呼稱의 實狀
1.1 直系 尊屬의 呼稱
父母나 祖父母의 호칭은 '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할머니'라고 한다. 시가의 직계 존속에게는 '-님'을 붙여 부른다. 이는 존경의 뜻을 더 드러내기 위함이다.
그런데 요사이는 이 직계 존속의 호칭에 '-님' 접사를 많이 붙여 부르는 것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바람직한 것이 못 된다. 그것은 親黨 존속에게는 '-님'을 붙여 부르지 않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이다. 가장 잘 쓰는 호칭을 조사한 한 설문 조사(서정수, 1984:183)에 의하면 이 존칭 호칭이 다음과 같이 쓰이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할아버님 | 17.6% | 할머님 | 14.2% |
조부님 | 2.8% | 조모님 | 2.5% |
아버님 | 17.2% | 어머님 | 13.2% |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오늘날 더 强化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格式을 갖추어 말하려는 경향과 존경의 뜻을 더 나타내겠다는 생각에 연유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 밖에 무분별한 TV의 대화에도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네, 아버님;네, 어머님'과 같이 대답하는 말 아래 '아버님, 어머님'이 쓰여 이러한 경향을 부채질하고 있다. '네, 아버님' '네, 어머님'하는 呼稱은 言語習慣으로도 용납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Yes, madam'式의 서양 말 흉내로 우리의 언어 습관은 '네' 또는 '예'라는 대답하는 말로 말을 맺는 것이기 때문이다.
'할아버지' 및 '아버지' 系列에 대한 '할베', '아베' 系列의 말이 咸鏡慶尙 方言에 쓰이는데 이것은 바람직한 표준어라고 볼 수 없다. (姜信沆,1967, 呂增東, 1985:13, 107)
또 父母의 呼稱으로 '아빠, 엄마'가 쓰이는 것을 들을 수 있다. 이것은 어린애들이 쓰는 小兒語이다. 어린애들은 자라면서 '아빠, 엄마' 대신 '아버지, 어머니'라는 점잖은 말로 바꾸어 쓰게 된다. 그런데 언어 현실은 성장하여서도 이 말을 쓰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이것은 친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라고도 하겠으나 바람직한 것이 못 된다.
1.2 傍系 尊屬의 呼稱
숙부와 숙모는 각각 '큰아버지, 큰어머니, 작은아버지, 작은어머니, 몇째 아버지, 몇째 어머니'라고 부른다. 5촌 이상의 기혼 부부는 '아저씨, 아주머니'라 호칭하는 것이 일반적인 '백부, 백모'와 같이 지칭으로 호칭할 수도 있다. 나이 어린 叔行도 '아저씨, 어주머니'라 부른다. '아재, 아줌마'라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시숙부, 시숙모의 경우는 '큰아버님, 큰어머님', 또는 '작은아버님, 작은어머님'과 같이 '-님'을 받쳐 부른다. 시종숙이나 시재종숙과 같이 5촌 이상의 방계 존속인 경우는 '종숙(당숙)님, 종숙모(당숙모)님' 또는 '재종숙(재당숙)님, 재종숙모(재당숙모)님'이라 부른다. 시종숙이나 재종숙을 '아주버님'으로 부를 경우는 표준어권에서 '아주버니'가 媤叔을 의미하며 '아주버님'이 '아주버니'의 敬稱으로 쓰이는 말이기 때문에 媤叔과 혼란이 일어난다. '아주버님'으로 호칭할 경우는 지명에 따른 宅號를 받쳐 부른다.
'아저씨'를 '아제'로 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呂增東, 1985:108) 그러나, '아제'는 '할베' 系列의 말이요, '아저씨'의 卑語 내지 俗語로 보는 말이다. '아제'는 全羅 方言에 쓰이는 말이며 이와 유사한 '아재'는 慶尙 方言에 쓰이는 말이다. 따라서 '아제' 내지 '아재'는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아저씨'의 卑語로 보아 결혼하지 아니한 叔行에 쓸 수 있을 것이다.
'삼촌'이라 부르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三寸'이란 촌수이지 호칭이 아니다. 그럼에도 이 三寸'은 아주 일반화하여 江原道를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쓰이는 것 같다.(姜信沆, 1967) 이들 방계 존속은 또 관직명이나 처가의 지명에 따라 '參判 아저씨' '진주 아저씨'와 같이 부를 수 있다. 숙모의 경우는 '아주머니' 앞에 宅號를 얹어 부른다. '參判宅 아주머니' '진주 아머니'가 그것이다. 시숙부, 시숙모의 경우는 '큰 아버님, 큰어머님'과 같이 존칭 접사 '-님'을 붙여 부른다.
숙부와 숙모의 차례를 이르는 말은 지역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다. 그것은 伯父 伯母를 '큰아버지, 큰어머니'라고 하느냐, '맏아버지, 맏어머니'라고 하느냐 하는 것이다. 이는 물론 옛말 '아자비<訓學字會>, 아자비<老乞大諺解>'나, '맏 백(伯)'자를 놓고 볼 때는 '맏아버지, 맏어머니'가 어울리는 말이다.그러나 우리 言語 現實이 '큰애, 작은애'라 이르고 있고, '큰아버지, 큰어머니'가 全國的으로 분포되어 큰 세력을 지니고 있으며, '맏아버지, 맏어머니'가 一部 地域에 한정되어 쓰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역시 '큰아버지, 큰어머니'를 표준으로 삼음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것은 祖父母나 그 윗대의 呼稱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姑母의 경우는 '고모' 또는 '아주머니'라 하거나 이에 살고 있는 마을 이름을 받쳐 부른다. '고모부'는 그대로 '고모부'라 하거나, 宅號를 받쳐 '아저씨'라고 부른다. 지방에 따라 '새아제'라 하기도 하나 '아저씨'가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고종 사촌에게는 '고종' 아래 친당의 형제 자매와 같은 呼稱語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달리 '내종형, 내종제'와 같은 지칭어로 부를 수도 있다.
1.3 夫婦間의 呼稱
우리말은 男便과 夫人을 호칭하는 말이 발달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夫婦 상호간의 호칭도 일정한 것이 없고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로 다른 것이 쓰인다.
한 설문 조사는 男便에 대한 호칭 사용 경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 주고 있다.(서정수, 1984:196)
도표에 보이듯 남편을 호칭하는 말로는 '여보, 아빠'가 많이 쓰인다. 부부끼리 있을 때는 '여보'가, 윗사람 앞에서는 '아빠'가 압도적으로 많이
여보 | 65.5% | 아빠 | 22.1% |
자기 | 10.3% | 영감 | 1.2% |
임자 | 0.9% |
쓰이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 밖에 상호 호칭으로, '자기'가 많이 쓰이며, 시부모 앞에서 '아범'이 쓰인다. '여보'는 '여기 보오'가 축약된 말로 부부간의 호칭으로 정착된 感歎詞이다. 이에 대해 '아빠'는 바람직한 말이 못 된다. 아이를 앞세운 간접 호칭이나, 이 말 자체가 小兒語일 뿐 아니라 話者의 아버지로 오해받을 위험성도 안고 있기 때문이다. '누구 어버지'로 부르는 것이 좋다. '자기'는 애인이나 부부간에 상대방을 부르는 俗語로 보고 있으나, 어떤 사람을 도로 가리키는 代名詞이기도 하니 표준어로 수용해도 좋을 것이다.
전통적인 호칭으로는 '서방님'이 많이 쓰였고, 벼슬의 품계에 따라 '대감, 영감, 나으리' 같은 말이 쓰였다. 아이를 낳은 뒤에는 '아비, 아범'이라 부르기도 했다.
'아내'에 대한 위 조사의 呼稱 사용 경향을 보면 다음과 같다.(서정수,1984:196)
여보 | 83.2% | 애엄마 | 6.6% |
자기 | 4.8% | 임자 | 3.7% |
마누라 | 1.7% |
도표에 보듯이 아내를 호칭하는 말로는 '여보'가 압도적인 빈도를 보이고 있다. '애엄마'는 '아빠'와 비교할 때 미미한 비율을 보인다. '마누라'는 '영감'과 함께 老年層이 쓰는 말이다. 이 밖에 '夫人, 누구 엄마, 어멈'이 쓰인다. '夫人'은 본래 남의 아내의 존칭이나 자기 아내를 점잖게 이르는 말로도 쓰이고 있다. '애엄마'나 '누구 엄마'는 小兒語 아닌 '어머니'로 바꾸어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멈'은 어른 앞에서 아내를 낮추어 부르는 말이다. 아이의 이름을 앞세워 '누구 어멈, 누구 어미'라 부를 수 있다.
동요에 '우리 아빠 이름은 여보이고요, 우리 엄마 이름은 당신이래요'라는 뜻의 노래가 있다. 여기서 '여보'는 呼稱이요, '당신'은 指稱이라 할 말이다. 부부간의 호칭으로는 역시 '여보'가 가장 낫고, 사용자의 연&령이나 장면에 따라 '임자', '영감, 마누라'를 쓸 수 있으며, 간접 呼稱으로 '누구 아범, 누구 어멈' 및 '누구 아버지, 누구 어머니'가 쓰일 수 있다고 하겠다. 이 밖에 '저 좀 보세요, 나 좀 보세요, 나 좀 봐요, 여기좀 봐요'와 같이 간접적으로 부를 수 있다.
1.4 兄弟姉妹間의 呼稱
첫째, 兄弟間의 호칭에서 兄은 '형, 언니, 큰형, 작은형, 큰언니, 작은언니'라 불리고, 弟는 '아우' 또는 '동생'이라 일러진다. 4촌 이상의 兄弟에게는 '公州 아우', '全州 兄'과 같이 택호나 주거지명을 얹어 부른다. '동생(同生)'의 경우 異性만이 아닌 同性에까지 확대 적용해도 무난할 것으로 생각된다. 弟의 경우는 물론 이름이 呼稱語가 될 수 있다.
둘째, 姉妹間의 호칭에서 姉는 '언니, 큰언니, 작은언니'라 하고, 妹는 이름을 부르거나 '아우'라 한다. 결혼한 경우는 男便의 姓氏를 따라 '이-실(室)이, 김-실이'와 같이 일러진다. 4촌 이상의 누이의 경우는 '-실이'앞에 '대전 이-실이'와 같이 주거지 지명을 얹어 부른다. 누나인 경우는 주거지명 아래 '언니'를 붙인다. '언니'는 지역에 따라 '형(兄)'으로 바꿔 불리기도 한다.
셋째, 男妹間에 오라버니가 누이를 부를 때는 이름을 부르거나 '某-실이'라 부른다. 4촌 이상의 경우는 여기에 주거지 지명을 얹어 부른다. 누이가 오라버니를 부를 때는 '오라버니, 오빠' 또는 여기에 宅號를 얹어 부른다. 누나가 남동생을 부를 때는 이름을 부르거나 '동생' 또는 여기에 宅號를 얹어 부른다. 남동생이 누나를 부를 때는 '누나' 또는 주거지 지명 아래에 누나를 붙여 부른다.
참고로 兄 또는 누나를 부르는 빈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서정수, 1984:183-4).
형 | 68.9% | 형님 | 31.1% |
누나 | 69.1% | 누님 | 29.4% |
매씨 | 1.5% |
呼稱, '형님'은 바람직한 것이 못 된다. '-님'의 남용이며, 친족 호칭의 원칙에 벗어난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姉妹의 남편에 대한 호칭을 덧붙이면 姉兄은 '자형(매형)'이라 하며, 주거지 지명에 '-형'을 받쳐 부른다. '妹夫'는 姓에 따라 '이 서방, 김 서방'이라 하거나 '매부'라 한다. 兄夫나 弟夫의 경우는 각각 '형부' 또는 姓氏를 받쳐'-서방'이라 부른다. 시누나나 시누이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1.5 嫂叔間의 呼稱
첫째 형수와 시동생 간에는 '아주버니' '아주머니, 형수씨'라 부른다. 4촌 이상의 경우는 각각 宅號를 붙여 '상주 아주버니, 전주 아주머니'라 부른다.
둘째 시숙이 제수를 부를 때는 '제수씨' 또는 '계수씨'라 하고, 제수씨가 시숙을 부를 때는 '아주버니' 또는 '서방님'이라 한다. 나이 어린 시동생인 경우는 '도련님'이라 한다. 아이를 기준으로 '삼촌'이라 간접 표현하는 것은 망발이다. 4촌 이상의 경우는 각각 宅號를 붙여 '영동 종수씨, 무주 아주버니'와 같이 부른다.
1.6 올케와 시누이 사이의 呼稱
올케가 시누이를 부를 때는 男便의 姓에 따라 '박 서방댁, 허 서방댁'이라 한다. 4촌 이상의 경우는 주거지 지명을 받쳐 부른다. '옥천 이 서방댁'과 같이 부르는 것이 그것이다. 시누이가 올케를 부를 때는 '형님'이라 한다. 4촌 이상의 경우는 택호에 따라 '양주 형님'과 같이 부른다. 시누이가 未婚일 때는 '아가씨' 또는 이름에 '-氏'을 붙여 부른다. 아이를 앞세워 '고모'라 부르는 것은 잘못이다.
1.7 시누나와 동생댁 사이의 呼稱
시누나는 동생댁을 '새댁'이라 하며, 동생댁은 시누나를 '형님'이라 부른다. 4촌 이상의 경우는 각각 宅號를 부르거나, 주거지 지명에 '형님'을 붙여 부른다.
1.8 同壻間의 呼稱
큰며느리가 작은며느리를 부를 때는 宅號로 부른다. '괴산댁'과 같은 것이 그것이다. 이에 대해 작은며느리는 큰며느리를 형님이라 부른다. 4촌 이상의 경우는 택호에 따라 '상주 형님'과 같이 부른다. 동서간에는 또한 지칭어인 '동서'로 호칭하기도 한다. 특히 작은동서를 '동서'라 한다. '큰동서, 작은동서'라 구분해 부르기도 한다.
男子 동서간에는 윗동서는 '형님', 아랫동서는 姓氏에 '-서방'을 붙여 부르거나, '몇째 동서'라고 부른다. 요사이 '-서방'은 시대 감각에 뒤져 잘 쓰이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姓氏에 직함을 부쳐 흔히 부른다.
1.9 直系 卑屬의 呼稱
손자 손녀, 아들 딸을 부를 때는 '얘야!'하거나, 이름을 부른다. 손녀나 딸이 출가한 경우는 그 남편의 성씨에 따라 '-실(室)이'를 붙여 부른다. 孫婦나 며느리를 부를 때는 '아가'하거나 종손자나 손자의 이름 아래 '어미'를 붙여 부른다. '아기, 며느리, 자부' 등의 칭호를 활용 '아기 게 있느냐, 큰자부 안에 있느냐?'와 같이 간접적으로 부를 수도 있다. 지방에 따라서는 자부를 '젊은이'라 부르기도 하나 표준어권에서는 들을 수 없는 호칭이다. 孫婦도 '손부, 손자며느리'를 활용 간접적으로 부른다.
1.10 傍系 卑屬의 呼稱
조카나, 조카딸은 '얘야'하거나 이름을 부른다. 종질이나 종질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질녀나 종질녀가 결혼한 경우는 남편의 성에 따라 '-실이'를 붙여 부른다. 질부의 경우는 '얘야'하거나, '질부, 종질부' 또는 아이의 이름을 얹어 '-어미'라 부른다.
'조카'란 同文類解나 倭語類解 警民篇諺解에 보이는 '족하'가 변한 말이다. 문헌에 따라서는 '族下'라는 표기까지 보여 준다(李崇寧, 1968). 조카는 이와 같은 달리 '아아 아이란 옛말이 있었으나 오늘날은 보이지 않는다. '姪婦'는 '조카며느리' 또는 '姪婦'라 부른다.
'조카며느리'는 문제성이 있는 呼稱으로 일러진다. 이것은 '姪婦'아닌 조카의 子婦로 오인케 하기 때문이다. 孫婦를 '손자며느리'라고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렇게 論理的으로 따져 어색한 말에는 또 媤家에서의 兄弟姉妹에 대한 말이 있다. 그것은 '싀오라비'에 해당한 칭호가 '싀아자비', '싀아'에 해당한 지칭이 '싀누이'로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현대어에서 '시아주버니, 시누이'로 쓰이고 있는 말이다.
2. 外族 呼稱의 實狀
外祖婦나 外祖母의 호칭은 '외할아버지, 외할머니'라고 한다. '외'를 떼고 그냥 '할아버지, 할머니'라고 하면 실례가 된다. 外叔과 外叔母에게는 흔히 '외삼촌, 외숙모(님)'라고 일러진다. 그러나 '외삼촌'은 바람직한 호칭이 못 된다. '외숙, 외숙부'라 호칭한다. '외아저씨, 외아주머니'라 불러도 좋다. 이러한 예로는 譯語類解에 '외아자비'가 보인다. 남편의 外叔은 '외숙님, 외숙부님', 外叔母는 '외숙모님, 외아주버님'이라 한다.
外從兄은 '외종형, 외사촌형' 또는 주거지명에 '-형'을 붙여 부른다. 이에 대해 外從弟는 이름을 부르거나 주거지 지명에 '-아우'를 붙여 부른다. 姉妹의 경우는 언니를 부를 때 주거지 지명에 '형'또는 '언니'를 붙이고 아우를 부를 때 주거지 지명에 남편의 성을 붙이고 여기에 다시 '-실이'를 붙인다.
외사촌 누나 남편은 '자형' 또는 '매형'이라 하고, 누이 남편은 姓氏에 따라 '-서방'이라 부른다. 언니의 남편은 '형부', 아우의 남편은 姓氏 아래'-서방'을 붙여 부른다. 시외사촌 누나의 남편은 주거지 지명에 '아주버니'를 붙여 부르고, 시외사촌 누이의 남편은 姓氏 아래'-서방'을 붙여 부른다. 이때 '외가 자형'과 같이 '외가'를 얹어 부를 수도 있다.
이모부는 呼稱이 따로 없어'이모부'라 부른다. 이종 형제는 '이종형' 또는 주거지 지명에 '-형'을 붙여 부르거나, 宅號 아래'-아우'를 붙여 부른다. 자매의 경우는 주거지 지명에 '-형'을 붙이거나, 주거지 지명에 다시 남편의 姓氏를 붙이고 '-실이'를 붙여 부른다. 남매간에는 女同生(누이)은 姓氏 아래'-실이'를, 男동생은 주거지 지명에 '-동생'을 붙여 부르고, 오빠는 주거지 지명에 '-오라버니'를, 누나는 주거지 지명에 '누나, 누님'을 붙여 부른다.
이 밖에 外家에서 外孫이나 생질을 呼稱하는 말은 親黨에 준한다.
3. 妻族 呼稱의 實狀
媤黨에 '-님'을 붙이는 것처럼, 妻黨 男子에게는 '-어른'을, 女人에게는 '-님'을 붙이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기에 장인, 처삼촌은 '장인어른(빙장어른), 처삼촌어른'이라 부르며, 장모나 처숙모는 '장모님(빙모님), 처숙모님'이라 부른다. 妻男은 '처남', 妻男宅은 宅號 아래'-처남댁'을 붙여 부른다. 妻兄, 妻弟, 妻四寸 등은 그냥 '처형, 처제, 처사촌'이라 부른다. 처남의 아들 딸들은 이름을 부른다. 출가한 경우는 남편의 姓氏에 따라 '-실이'를 붙인다. 丈人 丈母를 '가시애비, 가시아버지', '가시에미, 가시오마니'라고 하는 것은 '가싀엄의'<念佛善權文>와 같은 옛말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方言이다. 장인 장모를 다정하게 이르느라'아버지, 어머니'라 呼稱하는 것은 원칙에 벗어난 것이나, 점점 세력을 얻어 갈 것&으로 보인다.
장인 장모나, 妻叔父母는 사위를 부를 때 그 姓氏에 따라 '-서방'이라 한다.
그리고 여기 덧붙일 것은 査家間의 呼稱이다. 査丈은 '사장어른'이라 呼稱하고, 사돈 사이에는 서로 '사돈'이라 호칭한다. 사돈댁은 높여서 '査夫人'이라 한다. '사돈 영감', '사돈 마님'과 같이 경칭을 붙여 부르는 수도 있다.
Ⅳ. 結語
인간은 社會的 動物이다. 이러한 社會生活은 言語에 의해 형성되고, 그것은 呼稱에 의해 비롯된다. 그런데 이 호칭이 폐쇄 사회에서 개방 사회, 대가족 제도에서 핵가족 제도로 넘어오며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우리는 人間 生活을 바로 하기 위하여 言語의 정비가 필요하고, 言語의 정비에는 무엇보다 呼稱의 정비.통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우리 국어의 呼稱의 문제는 크게 너덧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을 것 같다.
첫째는 文化的, 지역적 격차가 드러난다는 것이다. 그 단적인 예를 한 두가지 들면 '미스, 미스터, 미세스' 系列의 말과 '孃, 君, 女史'의 차이, '할아버지' 系列의 말과 '할베' 系列의 말의 차이가 그것이다. 媤叔을 '서방님, 아주버님'이라 호칭하는 것과 '某-氏'로 호칭하는 것도 文化的.時代的 격차를 드러내는 것이다.
둘째, 缺損 呼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男女 長幼를 이르는 말 가운데 女人은 '夫人, 아가씨' 등 그런대로 불릴 호칭이 있다. 그러나, 男子의 호칭으로는 적당한 것이 없는 빈칸의 결손 상태를 보여 준다. 그러기에 '아저씨, 先生님, 사장님' 및 '총각, 학생'이 쓰이고 있다. 親戚의 呼稱에 있어서도 이런 현상은 마찬가지다. 夫婦間의 호칭으로는 '여보'가 정착돼 가고 있는 실정이나 夫婦의 구별이 없다. 이 밖에 '처남, 이모부' 등은 칭호 및 지칭만 있지 呼稱이 없다.
셋째, 呼稱이 統一되지 못하였다.
이것은 呼稱이 하나여야 한다는 意味가 아니다. 무엇은 무엇이라 呼稱한다는 국민적 合意가 된 代表的 呼稱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各自 자기 나름대로 呼稱하는 듯한 呼稱語가 많다는 것이다. 이것은 지역적 文&化的 時代的 특성과도 관계가 있는 것이다.
넷째, 잘못 쓰이는 호칭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예로는 '삼촌, 고모, 이모, 아빠' 및 '아버님, 형님' 따위를 들 수 있다. '삼촌, 고모, 이모, 아빠'는 子女를 앞세운 間接 呼稱의 경우인데 이것은 올바른 用例가 못된다. '아버님, 형님'은 親黨 존속에 '-님' 접사를 붙여 잘못 쓰인 것이다. 이러한 呼稱의 오용의 경향은 심각하다.
다섯째, 造語上 問題가 있는 呼稱이 있다.
姪婦를 '조카며느리', 孫婦를 '손자며느리', 媤妺를 '시누이'. 媤叔을 '(시)아주버니'라 하는 것이 그것이다. '조카며느리, 손자며느리'는 조카나 손자의 '子婦' 아니다. 그리고 '시누이'는 男妹 아닌 姉妹를 이르며 '아주버니'는 叔行 아닌 男便의 兄弟로 同行에 속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아주버님'의 아내는 '형님'이 되는 모순을 낳는다.
呼稱의 문제점에 대한 對策은 관련이 있는 곳에서 불충분하나마 제시하였기에 여기서 따로 정리하는 것은 피하기로 한다.
이상 우리말의 呼稱의 실상과 약간의 對策을 모색에 보았거니와, 하루빨리 우리 국어의 呼稱의 問題點이 해소되어 원만한 국민 언어생활이 영위하도록 해야 하겠다.
Ⅴ. 參考 文獻
姜信沆, 現代 國語의 家族 名稱에 대하여, 大東 文化 硏究 4, 1967
___, 無形의 證人, 正和 出版 文化社, 1979
金鍾塤 編著, 國語 敬語法 硏究, 集文堂, 1984
金亨奎, 韓國 方言 硏究, 서울大 出版部, 1974
朴甲洙, 살아진 말 살아남는 말, 瑞來軒, 1980
___, 시부모 앞에서 남편 낮춰 부르고 나이 위 조카는 공손하게(바른 생활 바른 예절), 여성中央 12月 號(가계부), 1985
___, 호칭 관계의 심각성, 예술계, 1986년 12월
___, 바른 호칭으로 바른 언어생활을, 한샘 울타리, 1989
서정수, 존대법의 연구, 한신 문화사, 1984
呂增東, 韓國 家庭 言語, 時事 文化社, 1985
李崇寧, 中世 國語의 家族 呼稱에 대하여, 東洋 文化 6.7, 1968
芝田 稔, 日本 中國ことぱの往來, 白帝社, 1987
(1989.12.7. 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