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호에서는 東亞日報 1986.9.1~1986.9.30 사이의 광고란에서 잘못된 예들을 찾아보았다. 廣告文案은 廣告主의 의견대로 활자화되는 것이어서 인지 어떤 곳에서는 올바로 표기되었는가 하면 다른 곳에서는 잘못 표기되기도 하였다. 여기서는 잘못된 예만을 골라 그 바른 형을 제시하기로 한다. 출처는 날짜와 면수만을 밝히고 이들을 표기, 어휘(문법) 그리고 구문으로 나누어 소개한다.(띄어쓰기는 고쳐서 인용함)
1. 표 기
현행 정서법은 제2음절 이하의 '률(率), 렬(裂)' 등을 '모음'과 'ㄴ'다음에서는 '율, 열'로, 그 외에는 '률, 렬'로 적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은 '이용률'로 적어야 할 것이다. 이같은 것으로 '합격율'(24.8), '불량율'(2.12), '취득율'(13.3) 등을 더 들 수 있는데, 모두 '률'로 적어야 할 것이다.
② ㄱ)의 예는 두음 법칙에 위배되는 것으로 '래사'는 '내사'로 써야 하며, ②ㄴ)은 두음 법칙의 지배를 받지 않으므로 '선능'을 '선릉'으로 적어야 할 것이다. 이 외에 '태능'(13.3)도 '태릉'으로 적어야 할 것이다.
이들은 실제로 발음되는 것과 표기 규정이 다르므로 종종 잘못 사용되는 예이다. 前者는 명령형 어미 '오'를 밝혀 적어 '하시오'가 되어야 하겠고, 後者는 '사오'의 형태를 밝혀 적어 '되었사오니'가 되어야 할 것이다.
④의 ㄱ)은 'ㅂ'불규칙 용언에 '-아/어'가 연결될 경우 모음 조화에 따라 '아름다와라'로 되어야 할 예이다. ④ㄴ)은 모음 사이에서 'ㄴ'이 'ㄹ'로만 나는 것은 'ㄹ'로 적는 규정에 의해 '희로애락'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 외에 '이에
보답코자(1.9)'는 원칙상 '보답ㅎ고자'가 되어야 할 예이지만
관습상 많은 사람들이 '보답코자'로 쓰고 있다. 이러한 예로 '성실하고 능력 있는 일꾼을... (2.11)'에서 '일꾼'을 들 수 있다. 이는 현행 교과서(국민학교) 표기에서 '일군'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리 적어야 하겠으나, 대부분 '일꾼'으로 쓰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표기들은 모두 '보답코자, 일꾼' 등을 맞는 표기로 하려는 움직임이 있기는 하나, 새 정서법이 확정되기까지는 현행 표기가 기준이 되어야 할 것이다.
⑤의 例들은 외래어 표기에 잘못이 있는 것들이다. 1986.1.7 새 표기법이 확정된 이후 인명과 지명에 대한 표기 용례는 일부 심의되었으나, 일반 용어에 대한 심의가 안 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로선 올바른 표기를 제시하기 힘든 상황이다. 여기서는 분명히 원칙에 위반되는 실례들만 몇 들었다. '싸우나, 써비스, 뻐스, 쎄미나, 씨리즈, 도시 까스'는 된소리를 적지 않도록 한 규정에 위반되므로, 각기 '사우나, 서비스, 버스, 세미나, 시리즈, 도시 가스'로 적어야 할 것이다. 또한 '써어비스'는 위의 규정과 함께 장음을 표시하지 않도록 한 규정에도 어긋나므로 '서비스'로 적어야 할 것이다. 이 외에 '카나다'는 '캐나다'가 맞는 표기로 되어 있으니 그대로 따라야 할 것이다.
2. 어휘(문법)
⑥은 한 문에서 '수단'이나 '방법'을 뜻하는 조사 '-으로 '가 쓰여야 할 것이나 '이유',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므로'가 사용되어 잘못된 예이다. 또한 ⑥은 '-므로'를 '-으로'로 바꾼다 해도 '-서'를 '-써'로 바꾸어야 할 것이다. '-으로서'는 '자격'이나 '신분'을, '-으로써'는 '수단'과 '방법'을 뜻하는 다른 말이기 때문이다. '-므로' 다음에는 '서'나 '써'가 결합되어 쓰이지 않는다. 이 같은 '서/써'의 잘못된 사용은 도처에서 발견된다. '판매 회사로써 회사와 함께 일할... (8.3)'도 그러한 例로 '-로서'로 바꾸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개선하므로서'는 '개선함으로써'로 바꾸어야 할 것이다.
'졸리움'은 '졸립다'의 명사형이라고 하겠는데, 이는 방언형이고 표준형은 '졸리다'에서 온 '졸림'이 있다. '바닥까래'의 '까래'도 아직 사전에 표제어로 올라 있지 않은 말이며 이에 해당하는 말로 '깔개'가 있다. '-세요' 역시 표준어에 들지 못하는 예이다. 많은 사람이 실제로 쓰고는 있지만 아직 표준어는 '-셔요'이다. '-셔요'에 대한 평칭도 보통 '-에요, -예요'를 많이 쓰나('정말 최고예요'(15.12)), 표준어는 '-여요'이다. '끝머리'란 말도 아직 사전에 올라 있지 않으며 '끝되는 부분의 맨끝'이란 뜻으로 쓰이는 '끄트머리'가 있다. '의도'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는 '-고자'가 표준이며 '-고저(고져)'는 古語形이므로 잘못된 예라 하겠다.
'셋째'는 '세 개째'를 뜻하는 것이고, '세째'는 '순서'를 나타내는 말이므로 이 경우에는 '세째'로 고쳐야 할 것이다. '읍니다/습니다'는 약간의 의미 차를 갖고 있어 둘 다 상황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현행 교과서(국민학교)에서는 어간 말음이 'ㅆ ,ᄡ'으로 끝나는 말 다음에서만 '읍니다'로 쓰고 그만 나머지는 '습니다'로 통일해서 쓰고 있으므로 그에 맞게 '찾습니다'로 고쳐야 할 것이다. '놀래다'는 타동사로 '사람을 놀래 주었다'처럼 쓰이는 말이므로, 이 경우에는 '놀라다'라는 말이 쓰여야 할 것이다.
3. 구 문
우선⑨ㄱ)은 主·述 呼應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구문의 例이다. '음식이'를 '음식을'로 바꾸거나, '밀어내리지'를 '밀리어 내리지'(혹은, 내려가지)로 바꾸어야 할 것이다. ⑨ㄴ)은 같은 뜻을 갖는 말을 반복해서 잘못된 예이다. '그 원인'을 살리려면 '...충치 등이다'로 끝내야 하며, '발생할 수 있으며'를 살리려면 '원인'을 없애야 할 것이다. 이 외에 광고문의 특성으로 어색해진 구문도 있다. "다양한 커리큘럼에 의한... 기초 교육으로 당신의 숨은 재능을 개발시켜 개성 있고 유능한 전문인으로 성장"(20.7)이 그 例인데, '성장됨' 혹은 '성장시킴'으로 되거나, '! '정도를 넣어야 할 것이지만, 이는 오용이라고 규정짓기보다는 광고문의 한 특성으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편집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