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 타
<단행본>
고영근, 『한국의 언어 연구』, 역락.
곽재용·송희복, 『우리 어문학의 이해』, 월인.
김기혁·최상진·김진해·홍윤기, 『언어의 이해』, 경진문화사.
김동섭, 『언어를 통해본 문화이야기』, 만남.
김언종, 『한자의 뿌리 1~2』, 문학동네.
김종수, 『페미니즘 언어학의 이해­이론과 적용­』, 부산대 출판부.
김진호, 『언어와 문화』, 역락.
김형엽, 『인간과 언어』, 한울아카데미.
김형주·김병홍, 『디지털 시대의 언어 문화』, 동아대 출판부.
문순덕 외, 『제주여성문화』, 제주도.
박명용, 『상상의 언어와 질서』, 푸른사상.
박재연·정규복, 『제일기언』, 국학자료원.
박종철·오충연, 『언어와 문화, 그리고 삶』, 월인.
반재원, 『한글과 천문』, 한배달.
배희임·박영준·시정곤, 『국어학개론』, 한국학술진흥재단.
서하석, 『문화권간의 의사소통­한·미간의 언어적·비언어적 의식구조 중심으로­』, 형설출판사.
이미림, 『아름다운 우리말글』, 학문사.
이병기·박우극, 『대학인을 위한 한국의 언어와 문학』, 양서원.
이정진, 『언어와 문학』, 학문사.
최성철, 『한국은 일본의 언어식민지다!』, 문무사.

<잡지>
강범모, "영화 속의 언어 정보", 한국언어정보학회 2001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언어정보학회.
강연임, "잡지광고의 텍스트성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47, 한국언어문학회.
김덕호, "인상적 등어선에 대한 연구", 어문학 73, 한국어문학회.
김상배, "발간사 :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인문학총서 발간에 즈음하여­",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김상태, "한국어와 한국문학", 시학과 언어학 1, 시학과 언어학회.
김석득, "외솔 최현배 선생의 학문과 정신세계", 인문과학 83,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김영욱, "한국어와 민족주의", 『국어교육이란 무엇인가』, 혜안.
김영진, "언어 접촉", 용운언어 7, 대전대 국어연구회.
김정우, "번역과 국어학의 위상", 『국어연구의 이론과 실제』(이광호 교수 회갑기념논총), 태학사.
김택호, "언어에 대한 신뢰와 회의, 그 어긋남의 의미", 인문과학연구논총 23, 명지대 인문과학연구소.
김희숙, "현대영어 과연 제국주의적인가?", 2001년 여름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한국언어학회.
박청죽, "방송에서 인터뷰를 잘하기 위한 몇가지 방도", 중국조선어문 114,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심재기, "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성심어문논집 23, 성심어문학회.
유애리, "아나운서와 MC론", 『방송언어 교수법 교재 교안』,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
윤영미, "TV뉴스의 이론과 실제", 『방송언어 교수법 교재 교안』,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
이춘자, "'우리'와 한국의 집단문화", 중국조선어문 116, 동북3성조선어문사업협의소조.
이향천, "언어학의 몇 가지 도그마들", 어문연구 37, 어문연구학회.
이헌홍, "민족문화로서의 국어국문학 연구", 국어국문학 129, 국어국문학회.
장병기, "사고와 언어", 동서문화연구 8, 홍익대 인문과학연구소.
조재영, "번역에서의 바꿔쓰기", 언어와 언어학 26, 한국외대 언어연구소.
지영서, "현장 리포트론", 『방송언어 교수법 교재 교안』,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
최유찬, "디지털문화로서의 국어국문학 연구", 국어국문학 129, 국어국문학회.

<기타>
곽재용, "국어의 미래", 경남일보 6월 1일.
이봉원, "안양 지역구 국회의원에게 보내는 편지", 나라사랑 101, 외솔회.
최익현, "표절 유감", 어문생활 49, 한국어문회.
최호철, "언어의 통일에서 문화의 통일로", 고대신문 3월 19일.
한상범, "국회의원 여러분에게 드리는 글", 나라사랑 101, 외솔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