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1 |
 |
야코뷔스 헨드리퀴스 반트 호프 |
 |
Jacobus Hendricus van't Hoff (네덜란드 1852∼1911) |
 |
물리화학자. 삼투압 원리 발견 |
|
1902 |
 |
에밀 (헤르만) 피셔 |
 |
Emil (Hermann) Fischer (독일 1852∼1919) |
 |
유기화학자. 생화학 분야 개척 |
|
1903 |
 |
스반테 (아우구스트) 아레니우스 |
 |
Svante (August) Arrhenius (스웨덴 1859∼1927) |
 |
물리화학자. 전리(電離)의 이론 연구 |
|
1904 |
 |
윌리엄 램지 |
 |
Sir William Ramsay (영국 1852∼1916) |
 |
화학자. 희유 가스 원소와 아르곤 등 발견 |
|
1905 |
 |
요한 (프리드리히 빌헬름 아돌프) 폰 베이어 |
 |
Johann (Friedrich Wilhelm Adolf) von Baeyer (독일 1835∼1917) |
 |
유기화학자. 인디고의 합성과 그 구조 연구 |
|
1906 |
 |
(페르디낭 프레데리크) 앙리 무아상 |
 |
(Ferdinand Frédéric) Henri Moissan (프랑스 1852∼1907) |
 |
화학자, 약학자. 불소 단리(單離)와 전기로 개발 |
|
1907 |
 |
에두아르트 부흐너 |
 |
Eduard Buchner (독일 1860∼1917) |
 |
화학자. 무세포 발효 발견 |
|
1908 |
 |
어니스트 러더퍼드 |
 |
Ernest Rutherford 칭호 넬슨 러더퍼드 (초대 남작) 1st Baron Rutherford of Nelson (영국 1871∼1937) |
 |
물리화학자. 원자핵 발견과 방사능에 관한 공헌. 원자 물리학의 선구자 |
|
1909 |
 |
(프리드리히) 빌헬름 오스트발트 |
 |
(Friedrich) Wilhelm Ostwald (독일 1853∼1932) |
 |
물리화학자. 촉매 작용, 화학 평형, 반응 속도 등의 연구. 오스트발트의 희석률 발견 |
|
1910 |
 |
오토 발라흐 |
 |
Otto Wallach (독일 1847∼1931) |
 |
화학자. 테르펜(terpene), 장뇌(樟腦, camphor)등의 연구 |
|
1911 |
 |
마리 퀴리 |
 |
Marie Curie 구명 마니아 스크워도프스카 Manya Sklodowska (프랑스, 폴란드 바르샤바 태생 1867∼1934) |
 |
여류 물리화학자. 라듐과 폴로늄의 분리에 성공. 1903년 남편 피에르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 수상 |
|
1912 |
 |
(프랑수아 오귀스트) 빅토르 그리냐르 |
 |
(Francois Auguste) Victor Grignard (프랑스 1871∼1935) |
 |
화학자. 그리냐르 시약 발견. 유기화합물 명명법 고안 |
|
폴 사바티에 |
 |
Paul Sabatier (프랑스 1854∼1941) |
 |
화학자. 유기 촉매 반응에 관한 공헌 |
|
1913 |
 |
알프레트 베르너 |
 |
Alfred Werner (스위스 1866∼1919) |
 |
화학자. 무기화합물 구조에 관한 연구와 원자가의 배위설(配位說)제창 |
|
1914 |
 |
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 |
 |
Theodore (William) Richards (미국 1868∼1928) |
 |
화학자. 원자량의 정밀 측정, 납의 동위체 발견 |
|
1915 |
 |
리하르트 빌슈테터 |
 |
Richard Willstätter (독일 1872∼1942) |
 |
화학자. 식물 색소, 특히 클로로필에 관한 연구 |
|
1916 |
 |
수상자 없음 |
|
1917 |
 |
수상자 없음 |
|
1918 |
 |
프리츠 하버 |
 |
Fritz Haber (독일 1868∼1934) |
 |
화학자. 암모니아의 합성법 발명 |
|
1919 |
 |
수상자 없음 |
|
1920 |
 |
발터 헤르만 네른스트 |
 |
Walther Hermann Nernst (독일 1864∼1941) |
 |
물리화학자. 열역학에서의 연구 업적 |
|
1921 |
 |
프레더릭 소디 |
 |
Frederick Soddy (영국 1877∼1956) |
 |
화학자. 동위원소 연구. 프로탁티늄 발견 |
|
1922 |
 |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
 |
Francis William Aston (영국 1877∼1945) |
 |
물리화학자. 동위원소 연구 및 질량 분석기 고안 |
|
1923 |
 |
프리츠 프레글 |
 |
Fritz Pregl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태생 1869∼1930) |
 |
화학자. 미량 분석법의 개발 |
|
1924 |
 |
수상자 없음 |
|
1925 |
 |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
 |
Richard (Adolf) Zsigmondy (오스트리아 1865∼1929) |
 |
화학자. 콜로이드 화학의 기초 확립. 한외 현미경 발명 |
|
1926 |
 |
테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
 |
The (Theodor) Svedberg (스웨덴 1884∼1971) |
 |
화학자. 초원심 분리에 의한 고분자 분자량 측정 |
|
1927 |
 |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
 |
Heinrich (Otto) Wielant (독일 1877∼1957) |
 |
유기화학자. 담즙산 연구 |
|
1928 |
 |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 |
 |
Adolf (Otto Reinhold) Windaus (독일 1876∼1959) |
 |
화학자. 스테롤류와 비타민류와의 관계 구명. 디기탈리스(강심제) 배당체 등도 연구 |
|
1929 |
 |
아서 하든 |
 |
Sir Arthur Harden (영국 1865∼1940) |
 |
화학자 |
|
한스 칼 아우구스트 시몬 폰 오일러켈핀 |
 |
Hans Karl August Simon von Euler-Chelpin (스웨덴, 독일 태생 1873∼1964) |
 |
화학자. 효소와 발효에 관한 연구 |
|
1930 |
 |
한스 피셔 |
 |
Hans Fischer (독일 1881∼1945) |
 |
화학자. 혈색소 합성, 포르피린 구조 구명 |
|
1931 |
 |
카를 보슈 |
 |
Carl Bosch (독일 1874∼1940) |
 |
공업화학자. 암모니아 합성 연구로 공업화에 성공 |
|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
 |
Friedrich Bergius (독일 1884∼1949) |
 |
유기화학자. 석탄의 액화, 목재의 당화법 연구 |
|
1932 |
 |
어빙 랭뮤어 |
 |
Irving Langmuir (미국 1881∼1957) |
 |
물리화학자. 계면 화학에 관한 여러 발견과 연구 |
|
1933 |
 |
수상자 없음 |
|
1934 |
 |
해럴드 클레이턴 유리 |
 |
Harold Clayton Urey (미국 1893∼1981) |
 |
화학자. 중수소 발견, 분리. 우라늄 235의 제조법 개발 |
|
1935 |
 |
(장) 프레데리크 졸리오퀴리 |
 |
(Jean) Frédéric Joliot-Curie 구칭 장 프레데리크 졸리오 Jean Frédéric Joliot (프랑스 1900∼58) |
 |
물리화학자. 이렌은 그의 아내 |
|
이렌 졸리오퀴리 |
 |
Irene Joliot-Curie 구성 퀴리 Curie (프랑스 1897∼1956) |
 |
물리화학자. 인공방사능 발견. 피에르와 마리 퀴리의 장녀 |
|
1936 |
 |
피터 (조지프 윌리엄) 디바이 |
 |
Peter (Joseph William) Debye 페트뤼스 요세퓌스 빌헬뮈스
데베이에 orig. Petrus Josephus Wilhelmus Debije, 페터 요제프 빌헬름 데바이 Peter Joseph Wilhelm Debye
(독일어명) (미국 네덜란드 태생 1884∼1966) |
 |
물리학자. 분자 구조에 관한 연구. 유극 분자론, 고체 비열 이론 등도 연구 |
|
1937 |
 |
(월터) 노먼 하스 |
 |
Sir (Walter) Norman Haworth (영국 1883∼1950) |
 |
화학자. 탄수화물과 비타민 C의 연구 |
|
1938 |
 |
파울 카러 |
 |
Paul Karrer (스위스, 러시아 모스크바 태생 1889∼1971) |
 |
화학자. 당류 및 카로티노이드의 구조, 비타민 A, B2 등 연구 |
|
라하르트 (요한) 쿤 |
 |
Richard (Johann) Kuhn (독일 1900∼67) |
 |
생화학자. 비타민 B2의 결정 단리와 비타민 A의 합성. 수상 사퇴 (2차대전 후 받음) |
|
1939 |
 |
아돌프 (프리드리히 요한) 부테난트 |
 |
Adolf (Friedrich Johann) Butenandt (독일 1903∼95) |
 |
생화학자. 나치스의 압력으로 수상 사퇴 |
|
레오폴트 (라보슬라브) 슈테펜 루지치카 |
 |
Leopold (orig. Lavoslav) Stephen Ružička (스위스 크로아티아 태생 1887∼1976) |
 |
화학자. 성 호르몬에 관한 연구 |
|
1940 |
 |
수상자 없음 |
|
1941 |
 |
수상자 없음 |
|
1942 |
 |
수상자 없음 |
|
1943 |
 |
게오르크 카를 폰 헤베시 |
 |
Georg Karl von Hevesy 죄르지 orig. György (헝가리 1885∼1966) |
 |
물리화학자. 동위체 트레이서(추적 원소)기술에 관한 연구. 하프늄 발견 |
|
1944 |
 |
오토 한 |
 |
Otto Hahn (독일 1879∼1968) |
 |
물리화학자. 우라늄 핵분열 발견 |
|
1945 |
 |
아르투리 일마리 비르타넨 |
 |
Artturi Ilmari Virtanen (핀란드 1895∼1973) |
 |
생화학자. 영양과 식료 자원의 개발에 관한 연구 |
|
1946 |
 |
제임스 (배철러) 섬너 |
 |
James (Batcheller) Sumner (미국 1887∼1955) |
 |
생화학자. 우레아제 (요분해 효소)의 순수 결정 |
|
존 하워드 노스럽 |
 |
John Howard Northrop (미국 1891∼1987) |
 |
생화학자. 펩신 등 소화 효소의 추출 |
|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 |
 |
Wendell (Meredith) Stanley (미국 1904∼71) |
 |
생화학자. TMV (담배 모자이크病 바이러스)의 결정, 분리 |
|
1947 |
 |
로버트 로빈슨 |
 |
Sir Robert Robinson (영국 1886∼1975) |
 |
화학자. 알칼로이드의 연구 |
|
1948 |
 |
아르네 (빌헬름 카우린) 티셀리우스 |
 |
Arne (Wilhelm Kaurin) Tiselius (스웨덴 1902 ∼71) |
 |
생화학자. 단백질의 연구 |
|
1949 |
 |
윌리엄 (프랜시스) 지오크 |
 |
William (Francis) Giauque (미국, 캐나다 태생 1895∼1982) |
 |
물리화학자. 화학 열역학에 공헌, 특히 극저온에서 물질의 여러 성질을 연구 |
|
1950 |
 |
오토 (파울 헤르만) 딜스 |
 |
Otto (Paul Hermann) Diels (독일 1876∼1954) |
 |
유기화학자 |
|
쿠르트 알더 |
 |
Kurt Alder (독일 1902∼58) |
 |
유기화학자. 디엔(diene)합성법(딜스-알더 반응)발견 |
|
1951 |
 |
에드윈 (매티슨) 맥밀런 |
 |
Edwin (Mattison) McMillan (미국 1907∼91) |
 |
물리화학자 |
|
글렌 시어도어 시보그 |
 |
Glenn Theodore Seaborg (미국 1912∼99) |
 |
핵화학자. 초우라늄 원소의 발견 |
|
1952 |
 |
아처 (존 포터) 마틴 |
 |
Archer (John Porter) Martin (영국 1910∼ ) |
 |
생화학자 |
|
리처드 (로런스 밀링턴) 싱 |
 |
Richard (Laurence Millington) Synge (영국 1914∼94) |
 |
화학자. 분배 크로마토그래피를 발견, 단백질 분석에 응용 |
|
1953 |
 |
헤르만 슈타우딩거 |
 |
Hermann Staudinger (독일 1881∼1965) |
 |
화학자. 고분자 화학의 연구 |
|
1954 |
 |
라이너스 (칼) 폴링 |
 |
Linus (Carl) Pauling (미국 1901∼94) |
 |
화학자. 양자론을 화학에 응용, 원자가 이론에 공헌. 노벨 평화상(1962) |
|
1955 |
 |
빈센트 뒤비뇨 |
 |
Vincent du Vigneaud (미국 프랑스계 1901∼78) |
 |
생화학자. 뇌하수체 호르몬인 옥시토신, 바소프레신의 구조 결정, 합성에 성공 |
|
1956 |
 |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세묘노프 |
 |
Nikolai Nikolaevich Semyonov (러시아 1896∼1986) |
 |
물리화학자 |
|
시릴 노먼 힌셜우드 |
 |
Sir Cyril Norman Hinshelwood (영국 1897∼1967) |
 |
화학자, 언어학자, 고전학자. 화학 반응의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
1957 |
 |
알렉산더 로버터스 토드 |
 |
Alexander Robertus Todd 남작 토드 (트럼핑턴) Baron Todd (of Trumpington)
(영국 1907∼97) |
 |
화학자. 비타민 B1, E의 연구와 뉴클레오티드의 유기화학적 연구 |
|
1958 |
 |
프레더릭 생어 |
 |
Frederick Sanger (영국 1918∼ ) |
 |
생화학자. 인슐린의 구조 결정 |
|
1959 |
 |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 |
 |
Jaroslav Heyrovsky′ (체코 1890∼1967) |
 |
물리화학자. 폴라로그래피(polarography) 이론과 폴라로그래프 (polarograph)의 발명 |
|
1960 |
 |
윌러드 (프랭크) 리비 |
 |
Willard (Frank) Libby (미국 1908∼80) |
 |
화학자. 방사성 탄소에 의한 연대 측정법 발견 |
|
1961 |
 |
멜빈 캘빈 |
 |
Melvin Calvin (미국 1911∼97) |
 |
화학자. 광합성 연구 |
|
1962 |
 |
존 (카우더리) 켄드루 |
 |
Sir John (Cowdery) Kendrew (영국 1917∼97) |
 |
분자생물학자 |
|
맥스 (퍼디낸드) 퍼루츠 |
 |
Max (Ferdinand) Perutz (영국 오스트리아 빈 태생 1914∼ ) |
 |
생화학자. X선 해석에 의한 헤모글로빈, 미오글로빈 분자 구조 해명 |
|
1963 |
 |
줄리오 나타 |
 |
Giulio Natta (이탈리아 1903∼79) |
 |
화학자 |
|
카를 치글러 |
 |
Karl Ziegler (독일 1898∼1973) |
 |
화학자. 입체 규칙성 중합의 발견, 그 제어에 관한 연구 |
|
1964 |
 |
도러시 (메리) 크로풋 호지킨 |
 |
Dorothy (Mary) Crowfoot Hodgkin (영국 이집트 카이로 태생 1910∼94) |
 |
여류 화학자, 결정학자. 결정 단백질의 분자 구조 연구 |
|
1965 |
 |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 |
 |
Robert Burns Woodward (미국 1917∼79) |
 |
유기화학자. 클로로필의 합성 등 유기물 합성에 관한 탁월한 연구 |
|
1966 |
 |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 |
 |
Robert (Sanderson) Mulliken (미국 1896∼1986) |
 |
물리화학자. 분자 궤도법에 의한 화학 결합과 분자의 전자 구조에 관한 연구 |
|
1967 |
 |
만프레트 아이겐 |
 |
Manfred Eigen (독일 1927∼ ) |
 |
물리화학자 |
|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
 |
Ronald (George Wreyford) Norrish (영국 1897∼1978) |
 |
화학자 |
|
조지 포터 |
 |
Sir George Porter (영국 1920∼ ) |
 |
화학자. 초고속 화학 반응에 관한 연구 |
|
1968 |
 |
라스 온사거 라르스 온사게르 (노르웨이어) |
 |
Lars Onsager (미국, 노르웨이 오슬로(옛 크리스티아니아) 태생 1903∼76) |
 |
화학물리학자. 화학 열역학 연구, '온사거 상반 정리'이론 발견 |
|
1969 |
 |
데릭 (해럴드 리처드) 바턴 |
 |
Sir Derek (Harold Richard) Barton (영국 1918∼ ) |
 |
유기화학자 |
|
오드 하셀 |
 |
Odd Hassel (노르웨이 1897∼1981) |
 |
화학자. 분자의 입체 배좌(配座)개념 도입과 해석에 업적을 남김 |
|
1970 |
 |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
 |
Luis Federico Leloir (아르헨티나 프랑스 파리 태생 1906∼87) |
 |
생화학자. 탄수화물의 생합성에서 당(糖)뉴클레오티드를 발견하고 그 역할 구명 |
|
1971 |
 |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
 |
Gerhard Herzberg (캐나다, 독일 태생 1904∼ ) |
 |
물리화학자. 분자의 전자적 구조 측정과 해명, 특히 유리기(遊離基)의 구조 해명에 공헌 |
|
1972 |
 |
스탠퍼드 무어 |
 |
Stanford Moore (미국 1913∼82) |
 |
생화학자 |
|
윌리엄 하워드 스타인 |
 |
William Howard Stein (미국 1911∼80) |
 |
생화학자 |
|
크리스천 베이머 안핀슨 |
 |
Christian Boehmer Anfinsen (미국 1916∼95) |
 |
생화학자. 리보뉴클레아제(RNA 분해효소)분자의 아미노산 배열 결정 |
|
1973 |
 |
에른스트 오토 피셔 |
 |
Ernst Otto Fischer (독일 1918∼ ) |
 |
무기화학자. 탄화수소 분야에서 과도기 유기 금속 화학에 공헌 |
|
제프리 윌킨슨 |
 |
Sir Geoffrey Wilkinson (영국 1921∼96) |
 |
무기화학자. 샌드위치 화합물의 화학적 연구에서 선구적 역할 |
|
1974 |
 |
폴 존 플로리 |
 |
Paul John Flory (미국 1910∼85) |
 |
화학자. 고분자의 물리 화학면에서 이론 및 실험에 관한 업적 |
|
1975 |
 |
존 워컵 콘포스 |
 |
Sir John Warcup Cornforth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태생 1917∼ ) |
 |
화학자. 효소 촉매 반응의 입체화학적 연구 |
|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
 |
Vladimir Prelog (스위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사라예보 태생 1906∼98) |
 |
유기화학자. 유기화학, 특히 입체화학에 있어서 탁월한 연구 |
|
1976 |
 |
윌리엄 넌 립스컴 |
 |
William Nunn Lipscomb Jr. (미국 1919∼ ) |
 |
물리화학자. 화학 결합 문제를 해명하는 붕화수소 (borane)구조 연구 |
|
1977 |
 |
일리야 프리고진 |
 |
Ilya Prigogine (벨기에, 러시아 모스크바 태생 1917∼ ) |
 |
물리화학자. 비평형 열역학에의 공헌 |
|
1978 |
 |
피터 (데니스) 미첼 |
 |
Peter (Dennis) Mitchell (영국 1920∼92) |
 |
생화학자. 미토콘드리아에서 ATP(아데노신 三燐酸)의 생성 기구로서 화학 삼투설 연구, 제창 |
|
1979 |
 |
허버트 (찰스) 브라운 |
 |
Herbert (Charles) Brown 본명 허버트 브로바닉 Herbert Brovarnik (미국, 런던 태생 우크라이나계 1912∼ ) |
 |
유기화학자 |
|
게오르크 비티히 |
 |
Georg Wittig (독일 1897∼1987) |
 |
유기화학자. 붕소의 유기화합물 연구 |
|
1980 |
 |
폴 버그 |
 |
Paul Berg (미국 1926∼ ) |
 |
분자생물학자. 유전자 공학의 기초 구축 |
|
월터 길버트 |
 |
Walter Gilbert (미국 1932∼ ) |
 |
분자생물학자 |
|
프레더릭 생어 |
 |
Frederick Sanger (영국 1918∼ ) |
 |
생화학자. 염기 배열 결정 방법의 생화학적 연구 |
|
1981 |
 |
후쿠이 겐이치 |
 |
福井謙一 (일본 1918∼98) |
 |
화학자. 화학 반응을 이론적으로 해명한 '프런터어 전자 이론'창출 |
|
로알드 호프만 |
 |
Roald Hoffmann (미국 1937∼ ) |
 |
화학자. 분자 궤도의 대칭 이론 '우드워드-호프만 규칙' 발견 |
|
1982 |
 |
에런 클루그 |
 |
Sir Aaron Klug (영국, 리투아니아 태생, 南阿 이주 (1926∼ ) |
 |
분자생물학자. 바이러스나 염색체의 구조 해석에 공헌 |
|
1983 |
 |
헨리 타우버 |
 |
Henry Taube (미국, 캐나다 서스캐처원 태생 1915∼ ) |
 |
무기화학자. 무기화학 분야에서 전자 이동 반응 연구를 위한 새 방법 발명 |
|
1984 |
 |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 |
 |
(Robert) Bruce Merrifield (미국 1921∼ ) |
 |
유기화학자. 아미노산으로부터 펩티드나 단백질을 합성하는 '고체상 합성'법 개발 |
|
1985 |
 |
허버트 (에런) 하우프트먼 |
 |
Herbert (Aaron) Hauptman (미국 1917∼ ) |
 |
물리학자 |
|
제럼 칼 |
 |
Jerome Karle (미국 1918∼ ) |
 |
물리학자. X선의 회절 강도를 통계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개발 |
|
1986 |
 |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 |
 |
Dudley Robert Herschbach (미국 1932∼ ) |
 |
화학자 |
|
리 위안 저 |
 |
李遠哲 Yuan Zhe Li (미국, 대만 태생 1937∼ ) |
 |
화학자 |
|
존 폴라니 |
 |
John C. Polanyi (캐나다 1929∼ ) |
 |
물리학자. 화학 반응의 상태와 방출 에너지 등의 관찰·해석 방법 개발 |
|
1987 |
 |
찰스 피더슨 |
 |
Charles J. Pedersen (미국, 부산 태생 1904∼89) |
 |
화학자 |
|
도널드 제임스 크램 |
 |
Donald James Cram (미국 1919∼ ) |
 |
화학자 |
|
장마리 렌 |
 |
Jean-Marie Lehn (프랑스 1939∼ ) |
 |
화학자, 효소와 같은 반응의 선택성이 높은 분자의 합성 |
|
1988 |
 |
요한 다이젠호퍼 |
 |
Johann Deisenhofer (독일 1943∼ ) |
 |
생화학자 |
|
로베르트 후버 |
 |
Robert Huber (독일 1937∼ ) |
 |
생화학자 |
|
하르트무트 미헬 |
 |
Hartmut Michel (독일 1946∼ ) |
 |
생물물리학자, 세균에 의한 광합성의 연구, 광합성 반응의 3차원 구조 결정 |
|
1989 |
 |
시드니 올트먼 |
 |
Sidney Altman (캐나다 1939∼ ) |
 |
생화학자 |
|
토머스 체크 |
 |
Thomas R. Cech (미국 1947∼ ) |
 |
생화학자. 리보 핵산(RNA)이 화학 반응을 돕는 촉매 기능이 있음을 구명 |
|
1990 |
 |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 |
 |
Elias James Corey (미국 1928∼ ) |
 |
분자화학자. '역합성(逆合 成)해석'법 개발, 의약품화의 길을 닦음 |
|
1991 |
 |
리하르트 에른스트 |
 |
Richard R. Ernst (스위스 1932∼ ) |
 |
화학자. '핵자기 공명 장치'의 발전과 기초 이론에 공헌 |
|
1992 |
 |
루돌프 마커스 |
 |
Rudolph Marcus (미국, 캐나다 태생 1923∼ ) |
 |
화학자. 광합성에서 광인산화 반응 등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현상을 이론적으로 해명 |
|
1993 |
 |
캐리 멀리스 |
 |
Kary Mullis (미국 1944∼ ) |
 |
화학자. DNA를 대량 카피할 수 있는 폴리메라제(합성 효소) 연쇄 반응(PCR)법 개발 |
|
마이클 스미스 |
 |
Michael Smith (캐나다 1931∼ ) |
 |
화학자. 유전자의 염기를 바꾸어 인공 단백질을 만들어 내는 방법 개발 |
|
1994 |
 |
조지 올라 |
 |
George A. Olah (미국, 헝가리 태생 1926∼ ) |
 |
화학자. 유기 합성 반응의 활성 중간체인 카르보카티온(탄소 양이온)의 존재를 실험으로 증명 |
|
1995 |
 |
셔우드 롤런드 |
 |
F. Sherwood Rowland (미국 1927∼ ) |
 |
과학자 |
|
마리오 몰리나 |
 |
Mario Molina (미국 멕시코계 1943∼ ) |
 |
과학자 |
|
파울 크뤼첸 |
 |
Paul Crutzen (네덜란드 1933∼ ) |
 |
화학자. 대기 화학, 특히 오존 형성과 파괴 구조 해명 |
|
1996 |
 |
로버트 컬 |
 |
Robert F. Curl Jr. (미국 1932∼ ) |
 |
미국 화학자 |
|
리처드 스몰리 |
 |
Richard E. Smalley (미국 1942∼ ) |
 |
화학자 |
|
해럴드 크로토 |
 |
Harold W. Kroto (영국 1938∼ ) |
 |
화학자.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카본 60을 합성, 초전도·재료 과학의 신분야 개척 |
|
1997 |
 |
폴 보이어 |
 |
Paul D. Boyer (미국 1918∼ ) |
 |
화학자 |
|
옌스 스코우 |
 |
Jens C. Skou (덴마크 1918∼ ) |
 |
화학자 |
|
존 워커 |
 |
John E. Walker (영국 1941∼ ) |
 |
분자생물학자. 생체내 에너지원인 ATP(아데노신 삼인산)관련 효소의 작용 기구 해명 |
|
1998 |
 |
월터 콘 |
 |
Walter Kohn (미국 1923∼ ) |
 |
화학자. 양자 화학에서 밀도 범함수(汎函數)의 새 이론 개발 |
|
존 포플 |
 |
John A. Pople (영국 1925∼ ) |
 |
화학자. 양자 화학의 계산법인 'CNDO법'등 개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