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맛보기]
독 (본문 200∼203쪽)
독은 간장·된장·고추장 따위의 장이나 곡물·술·김치 따위를 저장해 두는 오지그릇이다. 항아리보다 키가 크고 입구는 주발 모양으로 넓은 편이며 배가 부른 형태이다.오지그릇은 붉은 진흙으로 형태를 만들어 볕에 말리거나 약간 구운 다음 거기에 잿물을 입혀 다시 굽는 제작 과정을 거친 도기로서 한국의 전통 그릇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독은 ‘숨을 쉰다’고 하는데 이는 플라스틱 제품이 도저히 흉내 낼 수 없는 기능이다. 그래서 오랫동안 저장해서 발효시켜 먹는 음식이 많은 한국에서는 이런 독이 일찍부터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독은 일정한 치수나 생김새가 없지만 지역에 따라 모양이나 형태가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 서울·경기에서는 비교적 홀쭉한 모양이 많고, 전라도 독은 배가 불룩한 편이며, 충청도 독은 목 부분이 높고 밖으로 약간 벌어진 형태가 많고, 경상도 독은 입 부분이 좁은 편이다. 이렇게 다양한 독의 형태는 모든 것을 포용하는 듯한 너그러움을 가지고 있어 주위의 어떤 환경과도 잘 어울린다. 서로 다른 모양과 크기의 독을 모아 두어도 어느 것 하나 튀지 않고 어머니와 같은 편안한 느낌을 준다. 한국의 독은 크기가 다양한 만큼 용도도 다양하다. 큰 독은 보통 우물에서 길어 온 물이나 집에서 담근 간장·술·쌀 등을 저장할 때 쓴다. 이처럼 담는 내용물에 따라 명칭도 달라서 물독, 간장독, 쌀독 등으로 불린다. 술을 담는 술독의 경우는 몇 섬을 담을 수 있을 정도로 큰데 다른 나라에서는 이렇게 큰 독을 보기가 쉽지 않다. 중간 크기의 독은 주로 된장이나 막장을 담는 데 사용되며 작은 크기의 독은 고추장이나 장아찌, 젓갈류 등을 담아 두는 데 이용하였다. 독에는 음식만이 아니라 옷가지나 쓰지 않는 물건도 넣어 보관하는데 물건이 눅눅해지거나 곰팡이가 피는 일이 거의 없다. 무엇을 담느냐에 따라 독의 뚜껑도 달라지며 보관하는 장소도 달라진다. 곡물을 담은 독은 짚으로 짠 방석이나 판자로 만든 뚜껑을 덮어 곳간이나 헛간에 두고, 장을 담은 독은 오지나 질그릇으로 만든 뚜껑을 덮어 장독대에 둔다. 독 중에서도 장을 담아 두는 용기를 장독이라 하는데 한국의 어머니들은 이 장독을 다른 어떤 독보다 중요하게 다루었다. 왜냐하면 집집마다 음식 맛을 좌우하는 것이 바로 장이었고, 따라서 장을 담아 두는 장독을 잘못 관리하면 음식 맛에 이상이 생기고, 이것이 곧바로 집안 식구들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주부들은 독을 고르는 일에서부터 장을 담그고 보관하는 일에까지 많은 신경을 썼다. 주부들 사이에서는 겨울에 구운 독을 이른 봄에 사야 좋다는 말이 있다. 장마철이 낀 오뉴월에 구운 독은 아무리 높은 온도로 구워도 그 독 안에 있는 습기가 완전히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음식이 쉬거나 곰팡이가 생긴다는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저장 용기들이 나타나면서 독을 보기가 많이 어려워졌다. 하지만 전통적인 방법으로 장이나 김치를 담글 때에는 여전히 독을 이용하고 있고, 독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다시금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
[저자 및 역자 소개]
|
[차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