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 《한국 문화 기초 용어》는 한국 문화의 기초 용어 235단어를 뜻풀이한 것으로서 외국인을 비롯한 한국 문화의 입문자들이 이 자료를 통하여 한국의 기초적인 문화 용어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습니다.
- 《한국 문화 기초 용어》의 문화 기초 용어들은 음식·의복·주거·명절·신앙·놀이·음악·미술·문학·무용·문화재·제도·특산물·상징 등 14분야에 걸쳐 있습니다. 이 용어들은 한국 고유의 문화로서 한국인들이 익히 알고 있고 문화적 의미가 크며 용어의 고유성이 있어서 그대로 한국어의 형태로 보급할 수 있는 어휘들을 중심으로 수록한 것입니다. 잘 알려진 것일지라도 자연물과 인명은 문화 기초 용어의 성격에 맞지 않아 제외하였는데 다만 자연물 가운데 '무궁화'처럼 문화적 의의가 큰 것은 수록하였습니다. 시간적인 기준으로는 과거와 현대를 구분하지 않았으나 가능하면 시간적인 지속성을 지녀 문화적 안정성을 확보한 것을 우선하여 수록하였습니다. 따라서 '노래방'과 같이 현재 널리 알려진 용어일지라도 아직 한국 문화로서 안정성을 지니지 못한 것은 배제하였습니다.
- 각 표제어 항의 구성은 표제어-로마자 표기법-뜻풀이-관련 속담-부표제어-관련 속담으로 배열하였습니다. 표제어들은 게시판의 검색 창 왼쪽 옆에 '날짜순'으로 되어 있는 메뉴를 '가나다순'으로 선택하고 '찾기' 단추를 누르면 가나다순으로 보실 수 있으며 부표제어도 둘 이상일 경우 역시 관련 표제어 항 안에서 가나다순으로 배열하였습니다.
- 표제어는 한국 문화의 기초 용어들이며 부표제어는 표제어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하위 개념의 단어로서 기초 용어로 제시될 만하나 표제어만큼 대표성은 없는 단어들입니다.
- 표제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2000년 7월 7일 고시)에 따랐습니다.
- 표제어의 뜻풀이는 정의항으로서 기본적인 뜻풀이를 제시하고 관련되는 부가적인 뜻풀이를 제시하였습니다. 전체적인 뜻풀이는 기초 용어가 갖는 문화적 의의를 중심으로 기술하되 기본적인 의미와 함께 역사·어원·설화·민속학적 의의 등도 함께 제시하였습니다.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언어사전의 짧고 간결한 뜻풀이를 넘어 백과사전의 뜻풀이에 가깝게 충분히 기술하되 과도하게 전문적이며 구체적인 기술은 지양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뜻풀이에 쓰이는 단어가 지나치게 전문적이어서 한국 문화의 입문자가 이해하는 데 장애가 될 경우 가능하면 그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풀어서 기술하였습니다.
- 속담은 관련 표제어 또는 부표제어가 핵심어로 포함된 것으로서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속담에 한정하여 제시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한국인들이 익히 알고 있고 그 표제어 또는 부표제어의 의미를 잘 드러내는 것이어서 한국인의 지혜와 한국 문화의 특성을 잘 보여 주는 속담들을 중심으로 수록하였습니다.
- 《한국 문화 기초 용어》는 외국인들을 위하여 2001년에 영문 번역을 하여 활용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