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

'된바람'(2)의 다의 관계 및 어원론에 대하여

작성자 211 등록일 2025. 9. 29. 조회수 131

수고가 많으십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된바람'(2)(뱃사람들의 말로, ‘북풍’을 이르는 말)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① '된바람'은 현재 (1)(매섭게 부는 바람) 등과 다의어 관계로 등재되어 있으며, 등재 순서는 (2)보다 (1)이 선행합니다.

이 경우 표준국어대사전의 체계상 '된바람'의 '된'은 姜吉云(전 수원대학교 교수)(1975), 「三韓語·新羅語는 土耳其語族에 屬한다 -數詞·季節語·方位語의 體系的 比較-」, 『국어국문학』 68·69 합집, 1975, 30~31쪽의 견해와 같이 '혹독(酷毒)'을 뜻하는 것으로 (2)가 (1)에서 기원한 관계로 판단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의미상의 유사성이 있다고 판단은 하되 (1)과 (2) 가운데 어느 쪽이 어느 쪽에서 파생되었다고 판단하지는 않은 것인지 문의드립니다.


②  '된바람'의 어원에 대하여 최태호 당시 중부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겸 한국어문학회장은 '된바람'은 '북방'의 순 우리말인 '되'에서 기원하였을 것으로 보는 견해를  2020~2023년 3차례에 걸쳐 언론을 통해 밝힌 바 있습니다(2020년 4월 24일·9월 18일 프레시안 기사, 2023년 7월 18일 스카이데일리 기사). 이러한 견해는 곧 전후(前後) 방위어가 남북 방위어와 상통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로서 '된바람'이 '뒤바람'(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과 동어원일 것으로 보는 판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같이 '된바람'의 기원을 '뒤(後)'에서 찾는 주장에 대해 국립국어원 측에서 별도로 판단하고 있으신 바가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된바람[2차 답변]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5. 10. 21.

안녕하십니까?

보다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위하여, 문의하신 내용을 사전 부서에 문의해 두었습니다. 답변이 오는 대로 이어서 적고 제목에 '2차 답변'이라고 적어 두겠습니다. 2차 답변에는 시일이 다소 오래 걸릴 수 있음을 널리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2차 답변]
'된바람'의 어원과 관련하여 다양한 의견이나 설이 있으므로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국립 국어원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견해에 대해 존중하는 입장이라는 점 정도로 답변을 드립니다.

비밀번호 확인

닫기

질문 작성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