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보도 자료 상세보기

플라스틱 어택? ‘과대 포장 거부 운동’!

작성자 국립국어원 등록일 2019. 7. 15. 조회수 26603

 

보도자료

 

플라스틱 어택? ‘과대 포장 거부 운동’!

- 국립국어원 2분기 다듬은 말 발표 -

 

   

 최근 코에 들어간 빨대로 괴로워하는 바다거북의 영상이 빠르게 퍼지면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나아가 환경을 생각하자는 운동에 힘이 실리고 있다. 물건을 구입하고 과도하게 포장된 상품의 포장지를 버리고 오는 운동인 ‘플라스틱 어택’. 환경을 보호하고자 하는 마음에 우리말을 아끼는 마음을 더해 ‘과대 포장 거부 운동’으로 부르는 것은 어떨까?

 국립국어원은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는 외국어를 알기 쉽게 다듬어 2019년 제2차 다듬은 말을 발표했다. 

보도자료

대상어(원어)

다듬은 말

의미

그로서란트

(grocerant)

식재료 식당

고객이 식재료 구입과 식사를 한곳에서 할 수 있는 복합 공간.

래핑 광고

(wrapping 廣告)

도배 광고

실사 출력한 광고 디자인이나 광고 내용을 건물, 교통수단 등에 부착하여 홍보하는 전략.

클린 이팅

(clean eating)

자연식

자연에서 채취한 식재료를 사용하면서 가공식품이나 정제된 곡물·첨가제 등의 활용을 제한하는 식문화.

플라스틱 어택

(plastic attack)

과대 포장 거부 운동

불필요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물건을 구입하고 나서 과도하게 포장된 상품의 포장지를 버리고 오는 운동.

플랜테리어

(planterior)

식물 인테리어

친환경 인테리어의 일종으로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를 아름답게 꾸미는 일. 식물이 천연 공기 청정 기능을 하며 거주자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줌.

 

 

 지난 2019년 4월 15일부터 2019년 5월 17일까지 ‘그로서란트’, ‘래핑 광고’, ‘클린 이팅’, ‘플라스틱 어택’, ‘플랜테리어’를 갈음할 우리말을 공모하였다.

 국민이 제안한 다듬을 말을 바탕으로 말다듬기위원회에서 의미의 적합성, 조어 방식, 간결성 등을 고려하여 지난 6월 19일 다듬은 말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5개의 다듬은 말은 2주 동안 국민 선호도 조사를 거쳐 최종 결정되었다.

 이번에 다듬은 말들은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다.

- 매장에서 장보기를 마치고 바로 옆에서 식사를 할 수 있는 식재료 식당(←그로서란트)이 인기를 끄는 공간이 되고 있다.

- ○○구가 청사 내 엘리베이터 및 지하 주차장 출입구 등에 도배 광고 (←래핑 광고)를 이용한 재난 안전 홍보에 나섰다.

- 최근 과일·채소와 통곡물·견과류 등 모든 음식을 자연 상태 그대로 건강하게 즐기는 ‘자연식(←클린 이팅’)이 유행이다.

- 장을 보고 나면 수북이 쌓이는 플라스틱 포장 쓰레기에 화난 시민들이 ‘과대 포장 거부 운동(←플라스틱 어택)’을 하며 ‘쓰레기는 사고 싶지 않다!’고 외쳤다.

- 공기를 정화하고 집안 분위기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 식물 인테리어(←플랜테리어)’가 인기다.

 

 한편, 국립국어원은 앞으로 ‘뉴트로(newtro)’, ‘마이크로 미디어(micro media)’, ‘미스터리 쇼퍼(mystery shopper)’, ‘에어 커튼(air curtain)’, ‘에이에스엠아르(asmr)’,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커뮤니티 케어(community care)’, ‘팩트 체크(fact check)’, ‘칠링/칠러(chilling/chiller)’, ‘제네릭(generic)’, ‘코스터(coaster)’ 의 다듬은 말을 공모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다듬은 말은 ‘국립국어원 누리집-다듬은 말’(http://www.korean.go.kr/sunhwa)과 ‘이렇게 다듬었어요’ 블로그(http://blog.naver.com/areumkor)에서 찾아볼 수 있다. 또한 ‘공공언어 통합 지원 누리집-우리말 다듬기’(https://publang.korean.go.kr)에 제안한 다듬은 말이 최종 선정되면 제안한 사람에게 상품권을 지급한다.

 

붙임. 다듬은 말 관련 그림(2019년 2분기 다듬은 말)

보도자료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국어원 공공언어과 학예연구사 박주화(☎ 02-2669-9722)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 기준(공공누리, KOGL) 제1 유형 조건에 따라 저작물의 출처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후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