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원
어휘 이야기
한글 맞춤법의 이해
외래어 표기
국어 순화
발음 이야기
학교문법과 국어 생활
현대시 감상
현장에서
표준 화법
국어 생활 새 소식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알려드립니다
 국어 순화
  교례회(交禮會)
박용찬(朴龍燦) 국립국어원
  우리가 쓰고 있는 한자어에는 적지 않은 일본 한자어가 포함돼 있다. ‘구좌(口座, 계좌)’, ‘노견(路肩, 갓길)’, ‘대금(代金, 값/돈)’, ‘망년회(忘年會, 송년 모임/송년회)’, ‘사양(仕樣, 설명(서)/품목)’, ‘선불(先拂, 선지급)’, ‘수순(手順, 차례/순서)’, ‘수입(手入, 손질)’, ‘지입(持込, 가지고 들기)’, ‘지참(持參, 지니고 옴)’ 등이 바로 그러한 일본 한자어이다.
  그런데 일본 한자어는 대개 우리의 한자어와 의미 · 쓰임새가 달라 우리에게 아주 낯설어 보인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선 ‘수입’이라 하면 ‘收入’이나 ‘輸入’을 떠올리지 ‘손을 대어 잘 매만지는 일’을 뜻하는 ‘수입(手入)’을 떠올리게 되진 않는다. 일본 한자어 ‘수입(手入)’은 우리로선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의미와 쓰임새를 갖고 있다.
  광복 60주년이 되는 2005년, 국립국어원은 지난 8월 대표적인 일본 한자어 ‘교례회(交禮會)’를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www.malteo.net)’ 사이트를 통하여 우리말로 다듬어 쓰기로 했다. ‘교례회’는 ‘어떤 단체 · 조직이 특정한 날이나 일을 계기로 구성원들이 서로 만나서 인사를 나누고 덕담을 주고받는 모임이나 행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한자 한 글자씩 풀어 보면 ‘예를 서로 주고받는 모임’을 뜻하는 말로 볼 수 있을 듯하다.
  그렇지만 이런 의미의 한자어는 우리에겐 아주 낯설기만 할 뿐이다. ‘교례회’는 주로 새해를 맞아 ‘신년 교례회’[줄여서 ‘신년회(新年會)’라 하기도 함]처럼 ‘망년회(忘年會)’에 상대하여 쓰인다. 드물지만 ‘교례회’ 홀로 또는 ‘신춘 교례회’처럼 ‘신춘’과 어울려 쓰이기도 한다.
  ‘수입(手入)’과 마찬가지로 ‘교례회’도 일본 한자어로서 우리말의 쓰임새와 크게 다르다. 이런 일본 한자어는 일반적으로 우리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로막는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라도 이런 일본 한자어는 자연스러우면서 쉬운 우리말로 바꿔 쓸 필요가 있다.
  ‘교례회’는 ‘어울모임’이라는 우리말로 다듬어 쓰기로 결정되었다. ‘교례회’는 단순한 모임이 아니라 어떤 단체나 조직의 구성원들이 특정한 날이나 일을 계기로 함께 어울리는 모임을 가리킨다. 이런 쓰임새를 고려하면 ‘교례회’를 ‘어울모임’으로 바꿔 쓰더라도 큰 무리는 없을 듯하다.
  ‘어울모임’의 앞말로 쓰인 ‘어울’은 동사 ‘어울다’의 관형형이다. ‘어울다’는 ‘어우르다’의 옛말이다. 옛말이긴 하지만 ‘어울무덤(두 사람 이상의 주검을 한데 묻은 무덤)’처럼 합성어의 앞말로 쓰이기도 하여 아직까지 그리 낯선 말은 아니다. ‘교례회’를 ‘어울모임’을 바꿔 쓸 수 있다면 ‘신년 교례회’, ‘신춘 교례회’는 각각 ‘신년 어울모임’, ‘신춘 어울모임’으로 바꿔 쓸 수 있다.
  그러나 ‘교례회’가 ‘서로 인사를 나누기 위한 모임’을 가리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어울모임’이 아닌 ‘인사모임’이나 ‘하례회’로 다듬어 써도 괜찮을 듯하다. 실제로 일부에서는 ‘신년 교례회’를 ‘신년 인사모임’이나 ‘신년 하례회’로 바꿔 써 오기도 하였다. 특히, ‘신년 하례회’란 말은, 우리나라에서 예부터 새해를 맞아 서로 축하하여 예를 차리는 일을 ‘신년 하례(新年賀禮)’라 해 온 터라 아주 쉽게 이해하여 쓸 수 있는 말이다.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