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원
어휘 이야기
한글 맞춤법의 이해
외래어 표기
국어 순화
발음 이야기
학교문법과 국어 생활
현대시 감상
현장에서
표준 화법
국어 생활 새 소식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알려드립니다
 어휘 이야기
  나성에 가면 편지를 띄우세요
조남호(趙南浩) 국립국어원
  우리와 서구의 만남은 중국과 일본을 통한 간접적인 만남으로 시작되었다. 자연히 서구 근대 문물 수입 초창기에는 서구의 사물을 가리키는 말도 중국이나 일본에서 사용하던 말을 받아들이는 일이 잦았다. 그중에는 뜻은 무시하고 음이 비슷한 것만을 취하여 한자를 이용하여 번역한, 즉 음역한 말도 적지 않았다. 이 당시에는 우리나라에서도 한자를 많이 쓰고 있어서 음역한 말을 받아들이는 데 별로 어려움이 없었다. 같은 한자를 그대로 쓰기만 하는 것으로 충분하였다. 그런데 한자로 받아들이기는 했지만 읽는 법까지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다. 우리는 우리 음으로 읽었다. 그 결과 원래의 소리와는 꽤 차이가 나기도 했다. ‘米突, 虎列刺, 俱樂部’가 음역한 한자어를 받아들인 예이다. 이것은 ‘미터, 콜레라, 클럽’을 음역한 말인데 우리 음으로 읽어 ‘미돌, 호열자, 구락부’라고 하게 된 것이다. 더구나 ‘호열자’에서는 ‘랄(剌)’로 적어야 할 것을 ‘자(刺)’로 적게 되어 소리가 더 많이 달라졌다.
  음역한 한자어는 비단 서구 문물을 가리키는 말뿐만이 아니었다. 중국, 일본에서 외국의 국명, 인명, 지명도 한자를 이용하여 음역했는데 이것도 그대로 받아들이기도 하였다.

  인명 나파륜(拿破崙), 피택고(皮宅高)
  국명 묵서가(墨西哥), 백이의(白耳義), 보로사(普魯斯), 분란(芬蘭), 불란서(佛蘭西), 비율빈(比律賓), 서반아(西班牙),
         서전(瑞典), 애급(埃及), 이태리(伊太利), 인니(印尼)
  지명 나성(羅城), 막사과(莫斯科), 백림(伯林), 서공(西貢), 서백리아(西伯利亞), 선가파(先嘉陂), 수부(壽府), 해아(海牙)


  위의 예들은 모두 음역한 한자어의 예들로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는 것들이다. 과거에 쓰였던 것들이다. 이것을 지금 쓰는 말들로 바꾸어 보면 아래와 같다.

  인명 나폴레옹, 피타고라스
  국명 멕시코, 벨기에, 프로이센, 핀란드, 프랑스, 필리핀, 에스파냐, 스웨덴, 이집트, 이탈리아, 인도네시아
  지명 로스앤젤레스, 모스크바, 베를린, 사이공, 시베리아, 싱가포르, 제네바, 헤이그


  지금이야 많이 사라졌지만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우리말에 들어온 이들 한자어의 생명은 꽤 오래 이어졌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심심찮게 보거나 들을 수 있었다. 1967년에 중앙정보부에서 발표한 간첩단 사건으로 최근에 다시 논란이 되고 있는 사건을 부르는 말이 ‘동백림 사건’이다. 여기서 말하는 ‘동백림’은 ‘동베를린’이다. 1970년대에 큰 인기를 끌었던 노래 중에 ‘나성에 가면’이라는 제목의 노래가 있었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나성’은 무슨 성의 하나인 것처럼 보이지만 ‘로스앤젤레스’를 가리키는 말이다. 1870년에 프로이센과 프랑스가 벌인 전쟁을 지금은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이라고 하지만 예전 세계사 교과서에서는 ‘보불전쟁’이라고 했었다. ‘보로사(普魯斯)’와 ‘불란서(佛蘭西)’가 벌인 전쟁이라고 하여 그렇게 줄여 말한 것이다.
  이제는 우리말로 읽어 한글로 표기하는 관습이 정착되어 한자 음역어가 사용되는 예를 찾기가 쉽지 않다. 인명의 경우에는 지금은 거의 쓰이는 사례를 보기 어렵다. ‘섭씨, 화씨’ 정도에서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섭씨’는 고안자인 스웨덴의 셀시우스(Celsius)의 음역어인 ‘섭이사(攝爾思)’에서 첫 글자를 따고 거기에 ‘씨(氏)’를 붙여 만든 말이다. 마찬가지로 ‘화씨’는 고안자인 독일의 파렌하이트의 음역어 ‘화륜해(華倫海)’에서 유래한다.
  국명은 조금 더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영국, 미국’의 경우에는 첫 글자만 음역한 글자에서 따고 뒤에 ‘국’을 붙인 말을 사용한다. ‘덕국, 법국’처럼 비슷한 사례들이 더 있었는데 ‘독일, 프랑스’에 밀려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이에 비해 ‘이태리, 이탈리아’, ‘불란서, 프랑스’, ‘서반아, 스페인(에스파냐)’은 여전히 경쟁을 하고 있다. 다만, 한자어 음역어가 우리말 음역어에 많이 밀린 상태이다. 그러면서도 일부 관습적으로 한자어 음역어가 계속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때를 미는 데 사용하는 ‘이태리타월’은 ‘이태리타월’일 뿐이다. 그리고 한국어와 프랑스어의 대역사전은 ‘한불사전, 불한사전’이라고만 한다.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