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원
어휘 이야기
한글 맞춤법의 이해
외래어 표기
국어 순화
국어의 발음
학교문법과 국어 생활
현대시 감상
현장에서
표준 화법
국어 생활 새 소식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알려드립니다
 국어의 발음
   미국인의 혀는 한국인의 혀보다 길다?
최혜원(崔惠媛) / 국립국어원
   몇 년 전 엘에이 타임스에서는 한국인을 비롯하여‘r’과‘l’발음을 어려워하는 동아시아인들 사이에서 혀를 길게 하면 영어 발음이 좋아진다고 어린이의 혓바닥 아랫부분(설소대)을 절개해 혀를 길게 하는 수술이 유행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우리말에‘혀짤배기’라는 말이 있다. 혀가 짧아서‘ㄹ’소리를 잘 내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이러한 혀 짧은 소리는 말을 배우는 어린아이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할아버지’를 ‘하다버지’, ‘노래’를‘노애’).
   아직 말을 완전히 터득하지 않은 어린아이가 혀 짧은 소리로 조잘거리는 모습은 듣는 사람의 귀를 행복하게 하지만 말을 충분히 떼고도 남을 만한 연령의 사람이 알아듣지 못할 소리로 말을 하는 것은 듣는 사람을 안타깝고 답답하게 한다.
   갓 태어난 신생아의 성도는 성인들의 성도보다 작을 뿐 아니라 모양도 다르다. 혀가 입 전체에 가득해서 혀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없다. 얼굴뼈가 자라 더 큰 공간이 생기면서 목 울리기(cooing), 옹알이(babbling) 등 어린 아기들은 다양한 소리를 실험하면서 구강 근육의 유연성을 높여 모국어의 소리를 하나하나 터득해 나갈 준비를 한다.
   일반적인 말소리의 발달을 보면 만 두 살에는 ㅍ, ㅁ, ㅇ을, 세 살에는 ㅂ, ㅃ , ㄸ, ㅌ을, 네 살에는 ㄲ , ㄴ , ㄷ을, 다섯 살에는 ㄱ, ㅋ, ㄹ, ㅈ, ㅉ을, 여섯 살에는 ㅅ, ㅆ을 발음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파찰음, 유음, 마찰음은 아주 늦은 나이에도 발음이 온전치 못한 아이들도 많다.
   어린아이가 내는 발음은 주변 언어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언어 습득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어린아이들의 음운 습득 순서는 언어 보편적 유사성을 보인다. 비음, 양순 파열음, 치조 파열음은 초기에 습득되고, 연구개음은 나중에 습득된다. 또한 유성 마찰음과 파찰음은 순서상 가장 나중에 습득하게 된다.
   학자들은 이러한 음운 습득상의 순서를 음소의 난이도로 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말소리 가운데에는 배우기 쉬운 소리가 있는가 하면 배우기 어려운 소리가 있다는 것이다. 지각적인 면에서 양순음은 발음하는 모양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기 때문에 연구개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식하기 쉽다. 발성 면에서도 마찰음이나 파찰음은 파열음보다 조음하기 어렵다. 마찰음과 파찰음을 발음할 때 좁히는 동작은 파열음이나 비음보다 조음의 정확성이 더 많이 요구된다.
   파열음은 조음 기관을 폐쇄할 때 하나의 조음 기관이 다른 쪽에 붙어 있으면 꽉 붙어 있든 느슨하게 붙어 있든 별 다른 차이 없이 파열음을 만들어 내지만 마찰음과 파찰음은 목표점에 정확히 근접해야 하고 그 좁힘을 일정 시간 지속해야 하는 발음의 정교화를 요구한다. 충분한 연습 없이는 파열음과의 변별성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발음 기관에 문제가 없는 어린아이들이‘모자’를‘모다’,‘자동차’를‘다동타’, ‘했어요’를 ‘해떠요’, ‘사과’를 ‘다가’로 발음하는 것은 혀가 짧다기보다 파열음과 마찰음, 파찰음 소리의 차이를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고 발음 기관 근육의 유연성이 아직 길러지지 않았다는 뜻이다.
   어린아이들이 ‘ㄹ’발음으 상대적으로 늦게 배우는 이유도 이와 비슷하다. 파열음보다 배우기 어려운 ‘ㄹ’발음은 꾸준한 관찰과 충분한 연습을 통해 완성되어 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단순히 혀 길이를 늘리는 수술을 받는다고 해서 갑자기 영어 발음이 좋아지지는 것은 결코 아닐 것이다. 한국어의 자음 체계에서 어두의 [l]과 [r]을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를 발음할 때나 들을 때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지 수술을 통해 혀를 고작 1~2 밀리 길게 한다고 해서 두 발음을 정확히 구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