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원
북한 문화어의 이해
한글 맞춤법의 이해
외래어의 이해
사전의 이해
표준 발음법의 이해
관용 표현의 이해
현대시 감상
현장에서
표준 화법
국어 생활 새 소식
당신의 우리말 실력은?
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알려드립니다
 표준 발음법의 이해
  같은 위치에서 발음하기
최혜원(崔惠媛) / 국립국어원
  우리말에는 자음이 자음에 영향을 주어 동화를 일으키는 음운 현상들이 있다.
(1) 국물[궁물], 읍내[음내], 앞문[암문], 겉모양[건모양]
(2) 설날[설:랄], 논리[놀리], 신라[실라], 혼란[홀:란]
(3) 전국[정국], 인간[잉간], 신문[심문], 문법[뭄뻡]
  (1)은 앞 음절의 끝소리에 ‘ㅂ, ㄷ, ㄱ’가 오고 뒤 음절 첫소리에 비음(ㅁ, ㄴ,ㅇ)이 올 때 앞의 끝소리가 뒤에 오는 소리에 동화되어 비음으로 소리 나는 경우이다. (2)는 ‘ㄴ’가 앞이나 뒤에 오는 ‘ㄹ’ 소리에 동화되어 [ㄹ]로 바뀌게 되는 현상으로 우리말에서 ‘ㄴ’와 ‘ㄹ’가 연결될 수 없다는 연결 제약에 기인한 음운 현상이다. (3)은 앞 음절의 끝소리와 뒤 음절의 첫소리가 발음되는 위치가 다를 때 앞 음절의 끝소리가 뒤 음절의 끝소리와 같은 위치에서 발음되는 소리로 바뀌는 현상으로, 이를 ‘조음 위치 동화’라고 한다.
  (3)의 ‘전국’과 ‘인간’에서 ‘ㄴ’는 뒤에 오는 ‘ㄱ’와 같은 조음 위치(연구개)에서 발음되는 [ㅇ]으로 바뀌고, ‘신문’에서는 뒤에 오는 ‘ㅁ’(입술 위치)와 동화되어 [ㅁ]로, ‘문법’에서는 뒤에 오는 ‘ㅂ’(입술 위치)의 영향을 받아 [ㅁ]로 바뀌었다. ‘ㄴ’에서 [ㅇ]으로, ‘ㄴ’에서 [ㅁ]로 조음 방식이 같은 비음이지만 발음 위치는 달라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조음 위치 동화는 앞 음절의 끝소리가 ‘ㅂ, ㅁ’((4)-(5))일 때보다 ‘ㄷ, ㄴ’((6)-(7))일 때 훨씬 잘 일어난다.
(4) 잡고→[작꼬], 입구→[익꾸]
(5) 남고→[낭꼬], 감기→[강기]
(6) 듣고→[득꼬], 믿기→[믹끼]
(7) 돈과→[동과], 신문→[심문]
  비음화(1)와 유음화(2)는 우리말의 음절 연결에서는 항상 일어나는 필수적인 현상이다. 다시 말해 (1)과 (2)의 예와 같은 환경에서는 언제나 비음화와 유음화가 일어난다고 보면 된다. 비음화와 유음화는 다음과 같은 외래어에서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8) 백넘버[뱅넘버], 슬롯머신[슬론머신], 톱모델[톰모델]
(9) 먼로[멀로], 헨리[헬리], 핀란드[필란드]
  이러한 우리말의 자음 동화 현상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국어로 말할 때에도 자음 동화 현상을 적용하여 발음할 때가 많다.
  이와 반면에 (3)의 위치 동화는 (1), (2)의 음운 현상과 달리 같은 분절음 환경이지만 자음 동화가 일어날 수도 있고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박또박 발음할 때는 일어나지 않고 속도를 빨리 하거나 편하게 발음할 때에는 일어난다. 다시 말해 ‘전국’을 천천히 또박또박 발음할 때에는 [전국]으로 발음하지만 발화 속도가 빨라지게 되면 [정국]으로 발음되는 것이다. <표준 발음법>에서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소리 나는 발음을 모두 표준으로 인정하지 않고, 위치 동화를 시키지 않은 발음만을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고 있다. ‘전국’, ‘인간’, ‘신문’, ‘문법’의 발음 중 [전국], [인간], [신문], [문뻡]만이 현재 <표준 발음법>에서 인정하고 있는 발음인 것이다.
월간 · 비매품   발행_국립국어원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3동 827   ☎ (02) 2669-9721
제자(題字): 송은 심우식(松隱 沈禹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