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원]

'맙소사'의 어원

홍윤표(洪允杓) / 연세대학교

  요즈음 젊은이들에게서 ‘오 마이 갓 !(Oh, My God!)’ 하는 말을 듣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어쩌다 감탄사까지도 수입해서 쓰게 되었나 하고 씁쓸해 하면서도, 이 말을 우리말로는 무엇이라고 할까를 생각해 보게 되었다. ‘어머나’ 나 ‘어머’ 로 번역하면 여성들만이 쓰는 감탄사로, ‘어라’로 번역하면 충청도 방언의 감탄사로 해석할 것 같은데, 외국 영화 자막에서는 ‘아이구, 저런!(또는 ‘이런’)’을 쓰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아이구 저런’ 은 어처구니없는 남의 일을 보았을 때, 그리고 ‘아이구 이런’은 그런 일을 내가 당했을 때 내는 감탄사 같아서 아무래도 그 번역이 마땅치 않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아이구, 맙소사!’또는 ‘하느님, 맙소사!’였다.
  ‘맙소사’는 분명히 감탄사다. 그런데 감탄사는 그 단어를 더 이상 분석하기 힘든 것들이 대부분인데, ‘맙소사’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분석할 수 있는 단어이다. 그렇다면 ‘맙소사’ 는 어떻게 분석되는 것일까 ? ‘맙-+-소사’나 ‘마 -+-ㅂ소사’중에 하나일 텐데, ‘-소사’ 와 같은 어미는 없고, ‘-ㅂ소사’ 는 ‘줍소사, 오십소사’ 등에서처럼 쓰이어 결국 ‘마-+-ㅂ소사’로 분석될 것 같다. 그렇다면 ‘마 -’ 는 무엇일까 ? ‘마-’는 ‘-ㅂ소사’ 와 통합되는 것이니까 동사임이 틀림없다. 그러나 ‘마다’ 라는 동사로 우리에게 익숙한 단어가 없다. 그도 그럴 것이 ‘마다’는 원래 ‘마다’가 아니라 ‘말다’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기 때문이다.
  ‘말다’는 매우 특이한 동사이다. ‘않다’와 함께 ‘부정’ 또는 ‘그만두다’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이 두 동사는 그 사용 환경이 서로 상보적이다. 즉 ‘않다’가 쓰이는 곳에는 ‘말다’가 쓰이지 아니하고 ‘말다’가 쓰이는 곳에는 ‘않다’가 쓰이지 않는다. 서술형, 의문형, 감탄형 등에는 ‘않다, 않느냐?, 않는구나!’가, 그리고 명령형, 청유형에는 ‘않아라, 않자’가 쓰이지 않고 오히려 ‘말라, 말자’가 쓰인다. 그 역으로도 마찬가지여서 ‘말다 , 마느냐? 마는구나’등은 쓰이지 않는다. 우리 선조들은 명령이나 청유에 부정적인 표현을 할 때에는 어휘 선택에 신중하였던 것일까?

  먹지 않는다(*말다). 먹지 않느냐(*마느냐)? 먹지 않는구나(*마는구나). 먹지 말아라(*않아라). 먹지 말자(*않자)
  그런데 이 ‘말다’의 명령형에는 높임법의 여러 단계가 있는데,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합쇼체, 하소서체에 따라 ‘말라, 말게, 마오, 맙소서’등이 쓰이었다. 특히 하오체 이상을 보면 ‘마르쇼셔(마르쇼서, 마르소서)/말으쇼셔, 마로쇼셔, 마라쇼셔/말아쇼셔, 마시오, 맙시오, 맙소, 마소, 마오’ 등이 쓰이었다. 그런데 ‘말라, 말게’등은 동사의 뒤에 통합되어 ‘하지 말라, 하지 말게’등으로 쓰이는데 비하여 존칭에서는 ‘하지 마오, 하지 맙소서’처럼 동사의 뒤에 붙어 쓰일 뿐만 아니라, ‘마오, 맙소서’처럼 동사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쓰이게 되었다. 이것이 동사의 명령형인 ‘마오, 맙소서’ 등이 감탄사로 변화하게 된 동기가 된다.
  ‘마오’를 감탄사로 독립된 올림말로 등재시킨 사전은 없다. 그러나 실제로 옛 문헌에서는 ‘마오’ 가 감탄사로 쓰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춘향전에서 향단이가 거지가 되어 온 이몽룡을 보고 박대하는 월매에게 “앗씨 앗씨 큰 앗씨 마오 마오 그리 마오 멀고 먼 쳘이질의 뉘 보랴고 와겨관 이 괄셰가 웬 이리요”라고 하소연하는 장면이 있는데 , 이때의 ‘마오 마오 그리 마오’는 ‘마오’가 독립적으로 쓰이고 또한 ‘그만두다’의 뜻을 가지면서도 감탄사의 기능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원래 ‘않다’와 ‘말다’는 ‘~하지 않다, ~하지 말라’등으로 쓰이지만, ‘-하다’ 를 가진 동사들은 대부분이 ‘하지’를 빼고도 어근만을 사용하여 문맥이 이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염려 (원망, 말씀, 재촉 등)하지 않는다(말아라)’는 모두 ‘염려 (원망, 말씀, 재촉 등) 않는다(말아라)’로도 쓰이는 것이다. 그런데 그 중에 몇몇은 관용어처럼 쓰이어서 뜻을 변화시키고 있다. ‘말씀 마세요’는 ‘말씀을 하지 마세요’란 뜻 이외에 ‘놀라움’의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하여튼 ‘말다’는 극존칭의 명령형에 ‘맙소서’를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원래 ‘말 -+ -(-옵-) +쇼셔’로 분석되는 형태가 통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은 공손법의 선어말어미이고, ‘-쇼셔’ 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행동할 것을 요구하는 명령법 어미이다. 그래서 ‘말 + 쇼셔’는 ‘말 -’ 의 ‘ㄹ’ 이 탈락하여 ‘마 쇼셔’로 나타나고, 이들의 다른 표기들로서, ‘마 쇼셔 , 마옵쇼셔, 마옵소서, 마옵쇼서, 마옵쇼서’등이 나타난다. “ 말-+--(-옵-)-+-쇼셔>마(옵)쇼셔>맙쇼셔>맙소서>맙소사”등으로 변화한 것이다.
  자 어려올 쟉시면 아모리 지라도 됴토록 올 거시니 념녀 마쇼셔 <개수첩해신어(1748년)> 비록 졔가   교만 말을 지라도 부 노호여 마쇼셔 <인어대방(1790년)> 회시리니 너무 과도히 슬허 마옵쇼셔 <당죵젼 (19세기)> 드여 예수 밋 업 구렁으로 드러가라 시지마쇼셔 더니 <신약전서(1900년)>

  이러한 ‘마쇼셔’가 감탄사처럼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세기에 와서의 일이다.

  고 이 엇지나 마쇼셔 마쇼셔 하님도 이다지도 무심신가 고, 엇지면 됴탄말가? <약산동(19세기)>

  그리고 ‘맙시사’나 ‘맙시사’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에 와서의 일이다.

  가뜩이나 엄살을 부리는데다 더흉측을 떨며 ‘어이쿠! 어이쿠! 하나님 맙시사!’ <김유정, 따라지>
  바늘도 몸퉁도 엄청나게 커 보이는 주사기였다. 세상에 맙소사. 아직도 콩꼬투리만밖에 안할 연약한 생명을 저렇게 무지막지한 걸로 공격을 하 다니.<박완서, 꿈꾸는 인큐베이터>
  그렇다면 ‘마쇼셔’가 단독으로 사용되어 감탄사처럼 쓰이면서 동시에 윗사람에게 ‘그만둘 것’을 명령하는 의미를 가진 것이라면 그 윗사람은 누구일까? 아마도 그것은 ‘신’일 것이다. 따라서 ‘맙소사’ 는 ‘신이여!그렇게 하지 마십시오!’란 뜻이다. 그러니 ‘오 마이 갓’ 보다는 더 구체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오 마이 갓’보다는 ‘하느님 맙소사!’가 더맞을 것 같은데, 젊은이들에게 ‘오 마이갓’ 대신에 ‘하느님, 맙소사’를 쓰자고 제안하면 또 한번 젊은이들 입에서 ‘오 마이 갓’하는 소리가 들릴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