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어원]
'여편네'의 어원

홍윤표(洪允杓) / 연세대학교

국어사전에 '여편네'는 '결혼한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되어 있다. 그런데 '여편네'를 남편의 '옆'에 있어서 '여편네'가 된 것이 아니냐고 묻는 사람이 있었다. 즉 '옆편네'가 '여편네'가 된 것이 아니냐는 것이었다. '여편네'를 한자어가 아닌 고유어로 인식할 정도로 '여편네'는 우리에게 아주 친숙한 단어가 되어 있다. '여편네'의 '여편'은 한자어이다. 남편(男便)에 대해 여편(女便)이 있었던 것이다. 『가례언해』(1632년)에 '녀편은 남편의 長幼로 례고'란 문장이 나오는데, 여기에 '남편'에 대립되는 '녀편'이 보이고 있어서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지금은 '여편네'에서 '네'를 뺀 '여편'이 쓰이지 않아, 사전에도 실려 있지 않지만, 옛 문헌에는 '여편'의 옛날 표기인 '녀편'이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俱夷 녀펴니라 논 디니 <월인석보(1459년)> 일홈으로 어딘 녀편이라 일고 <여훈언해(17세기)>

이 문장에서 보듯이 '녀편'은 단지 '남편'에 대립되어 사용하는 단어였지, 오늘날처럼 낮추어 보는 의미는 없었다. 그런데 옛날부터 '여편'과 '남편'에 대한 어원 의식 속에 '여'와 '남'의 대립은 있었지만, '편'이 '便'이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잘 인식하지 못하였던 것 같다. 일찍부터 '녀편'과 '남편'의 '녀'와 '남'은 '女'와 '男'으로 표기하였으되, '편'은 '便'으로 표기하지 않는 현상까지도 등장한다. 다음 예문에서 '녀편'의 '녀'는 한자와 한자음을 다 달았지만, '편'에는 한자를 쓰지 않고 있는 것이 그러한 의식을 말해 준다.

오직 願원호 모어디신 女녀편아 므스글 求구뇨 (惟願諸賢女아 有何所須오) / 女녀편니 닐오 (女ᅵ 云호)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 1567년)>

'女녀便편아/女녀便편니'로 표기하지 않고 '女녀편아/女녀편니'로 표기한 것은 '편'의 한자를 의식하지 못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것은 '남편'도 마찬가지였다. '남편'을 한자 '男便'으로 표기한 예가 그리 흔하지 않았고 또 그러한 표기는 19세기에나 가서야 발견되기 때문이다.

오직 婦人의 남편 셤교 삼가디 아니호미 몯리며 <내훈언해(1475년)> 아모 姓 아의 남편이며 아모 姓 넛할믜 남편이라 고 <소학언해(1586년)> 남편(男便) <한불자전(1880년)> <국한회어(1895년)> 閣氏네 妾이 되옵거나  閣氏네 後ㄷ 男便이 되옵거나 <가곡원류(19세기)> 自己 男便이 期米를 하여 가지고 <빈처(1921년)>

그래서 후대의 많은 사전, 예컨대 조선총독부의 『조선어사전』, 문세영의 『조선어사전』, 조선어학회의 『우리말큰사전』에는 '녀편네'나 '여편네'에 한자를 표기하지 않고 있다. 북한의 『조선말대사전』에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남편'에 대해서는 모두 '男便'이란 한자를 달아 놓아 그 어원이 한자어임을 알리고 있다. '남편'은 한자로도 표기되지만 '녀편네'의 '녀편'이 한자로 표기된 예가 없어서 그러한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남편 대 여편의 대립은 분명하고 그 뜻도 '남자 편, 여자 편'을 뜻하기 때문에 '녀편'의 어원이 한자 '女便'임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립국어연구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여편네'의 '여편'에 한자 '女便'을 달아 놓은 것이 한자어가 아닌데 한자를 달아 놓았다는 비판을 받을까 걱정이다.
    이처럼 '녀편'이나 '남편'은 '네'나 ''를 붙이지 않고 사용되다가 '녀편네/녀편내/녀편'나 '남편네/남편내/남편'처럼 복수의 접미사 '네'나 ''가 붙게 되었다. 주로 16세기부터 이러한 예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러나 17세기 이후에 '남편네'는 보이지 않는다.

녀편네 잠도 사괴여 놀옴이 업서 <소학언해(1586년)> 뎡시 거챵현 사이니 유 니경일의 안해라 녀편네 덕이 잇더니 <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년)> 녀편내(女人) <국한회어(1895년)> 예 오라 여 남편내 겨시다 니 <병자일기(1636년)> 남편네 누른 댱삼  거 닙고 <위의책>

이때의 '녀편네'와 '남편네'는 낮추는 뜻이 아니었다. 그러던 것이 '녀편네'가 오늘날처럼 낮추어 말하는 뜻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근대국어 시기인 17세기 이후의 일이다. 원래 '-네'나 '내'가 존칭 표시의 체언에 붙는 복수 접미사였는데, 근대국어에 와서 '쇼인네'나 '우리네 살림살이'에서처럼 평칭이나 자기 겸양을 나타내는 말에 쓰이게 되면서 복수의 의미보다는 낮추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그래서 '여편네'가 낮추는 말로 된 것이다. 남자를 낮출 때에 지금도 '남정'(男丁)에 '네'를 붙여 '남정네'라고 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