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증을 풀어 드립니다

질 문

‘쇠똥구리’와 ‘소똥구리’ 중에서 어느 것이 맞는 것입니까?












‘쇠고기’의 ‘쇠-’는 ‘소(牛)+의’로 해석되는 말로, ‘쇠고기’는 ‘소의 고기’를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지금의 ‘표준어 규정’ 이전에는 ‘쇠고기’만을 표준어로 인정하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의 ‘표준어 규정’에서는 명사 ‘소’에 ‘고기’가 결합한 형태인 ‘소고기’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고기’라는 형태도 널리 쓰인다는 점을 인정한 것입니다. 즉, ‘쇠­’의 형태를 원칙으로 하고 ‘소­’의 형태도 허용함으로써 둘 다 표준어로 인정하였습니다.
<‘표준어 규정’ 제18항 참조>
    이 규정에 따라 복수 표준어로 인정되는 것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쇠가죽, 쇠간, 쇠갈비, 쇠고기, 쇠고깃국, 쇠골, 쇠고집, 쇠귀, 쇠귀신, 쇠기름, 쇠꼬리, 쇠꼬리채, 쇠꼴, 쇠다리, 쇠두엄, 쇠등에, 쇠똥, 쇠똥찜, 쇠머리, 쇠머리 편육, 쇠머릿살, 쇠먹이, 쇠바구미, 쇠백장, 쇠불알, 쇠뼈, 쇠뿔, 쇠뿔고추, 쇠뿔참외, 쇠살쭈, 쇠심, 쇠심떠개, 쇠심회, 쇠여물, 쇠옹두리, 쇠장, 쇠전, 쇠젖, 쇠족, 쇠죽, 쇠죽가마, 쇠죽물, 쇠죽바가지, 쇠지랑물, 쇠지랑탕, 쇠짚신, 쇠침, 쇠코, 쇠코뚜레, 쇠털, 쇠풍경
(2) 소가죽, 소간, 소갈비, 소고기, 소고깃국, 소고집, 소골, 소귀, 소귀신, 소기름, 소꼬리, 소꼬리채, 소꼴, 소다리, 소두엄, 소등에, 소똥, 소똥찜, 소머리, 소머리 편육, 소머릿살, 소먹이, 소바구미, 소백장, 소불알, 소뼈, 소뿔, 소뿔고추, 소뿔참외, 소살쭈, 소심, 소심떠개, 소심회, 소여물, 소옹두리, 소장, 소전, 소젖, 소족, 소죽, 소죽가마, 소죽물, 소죽바가지, 소지랑물, 소지랑탕, 소짚신, 소침, 소코, 소코뚜레, 소털, 소풍경

      대부분의 경우에는 ‘쇠­’나‘소­’가 결합한 말을 혼용해서 써도 별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그러한 것은 아닙니다. 즉, 어떤 경우에는 (3)의 예처럼 ‘쇠­’만을, 어떤 경우에는 (4)의 예처럼 ‘소-’만을 써야 맞기 때문입니다.

(3) 쇠똥구리, 쇠똥굼벵이, 쇠똥벌레, 쇠발개발, 쇠목, 쇠뼈다귀, 쇠뿔하늘가재, 쇠서 저냐, 쇠족 지짐이, 쇠좆매, 쇠죽불, 쇠죽솥, 쇠파리
(4) 소갈이, 소겨리, 소놀음굿, 소놀이굿, 소달깃날, 소도둑, 소도둑놈, 소띠, 소먹이놀이, 소목(─目), 소몰이, 소몰이꾼, 소바리, 소바리꾼, 소바리짐, 소싸움놀이, 소씨, 소우변(─牛邊)

      결국 ‘표준어 규정’ 제18항은 ‘쇠-’나 ‘소-’가 결합한 말 모두를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것이 아니라 두 형태가 다 널리 쓰이는 경우에 국한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쇠똥구리’는 (3)의 예에 속하는 말로 ‘소똥구리’라는 형태로 쓰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표준어 규정’ 제18항의 적용 대상이 아니라 할 수 있습니다. ‘쇠똥구리’만이 맞습니다.





 「새국어소식」 원고 및 의견을 받습니다

    ▶ 국어 선생님들의 ‘새국어소식’ 원고를 접수합니다. 이 밖에 국어생활 중에 겪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나 국어생활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알려 주십시오.

     기간:1999년 8월 20일까지
     전화 :(02)779-4816.
     팩스 (02)779-4820
     컴퓨터 통신 kacademy(천리안).  nakl(하이텔)

          kacademy@chollian.net   

 

  21세기 세종 계획, 국립국어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 홈페이지 http://www.sejong.or.kr
    문화관광부에서 추진하는 국어 정보화 사업인 21세기 세종 계획에 대한 홈페이지와 국립국어연구원의 홈페이지가 새롭게 개설되어 3월부터 시험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새롭게 꾸며진 홈페이지에는 21세기 세종 계획과 국립국어연구원의 각종 연구 사업 내용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21세기 세종 계획 부분에는 세종 계획의 전반적인 내용과 1998년도 사업 결과물이 소개되어 있는데 특히 각종 문헌을 입력한 말뭉치 자료들과 관련 프로그램의 일부가 자료실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국립국어연구원 부분에는 국립국어연구원의 각종 연구 사업의 내용과 ‘새국어소식’과 같은 발간물의 내용이 제공되어 있습니다.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앞으로 홈페이지를 통하여 정기 간행물이나 연구 보고서의 내용을 파일로 제공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게 국립국어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보다 좋은 홈페이지가 되도록 많은 조언을 해 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국어문화학교 개강

    ▶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바르고 품위 있는 언어 생활을 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매년 국어문화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올해의 네 번째 강좌인 국어반(8.9.~8.13. 09:00~17:00)에서는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표준어, 외래어 표기법, 언어 예절, 바른 문장 쓰기 등의 내용을 강의합니다. 관심 있는 분은 (02)779-4816으로 연락해 주십시오.
    팩스 (02)779-4820


  가나다 전화

    ▶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외래어 표기, 언어 예절 등 국어 생활 전반에 걸쳐 궁금한 점을 전화로 물으시면 바로 답변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문의 전화 (02)771-9909     <‘9909’는 ‘국어 연구’의 발음을 본뜬 것임>

 

  주위 사람들과 돌려 보세요. 여기에 실린 내용은 저작권과 상관없이 다른곳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책자는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문예진흥기금으로 발간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