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국어 연구원 소식

이번 호에는 금년 4, 5, 6월에 있었던 일뿐만 아니라 1/4분기에 있었던 일들 가운데서 지난 제1권 제1호에 미처 싣지 못했던 내용도 아울러 싣기로 한다. 독자 여러분의 양해를 바란다. -편집자 주-

1. 인명용 한자의 범위에 대한 국어 심의회의 심의 결과 정리
    인명용 한자 제한에 대한 국어 연구소/국립 국어 연구원의 의견을 묻는 데 법원 요청(1990년 10월 11일, 1991년 1월 7일)에 대하여 국어 연구소/국립 국어 연구원은 대법원의 한자 제한에 원칙적으로 찬성한다는 의사를 표시하였다(1990년 10월18일, 1991년 1월 14일).
    그 후 대법원의 인명용 한자 2,731자에 대한 문화부 검토 요청에 따라 문화부의 국어 심의회 한자 분과 위원회가 열리고(1991년 2월 12일, 2월 20일) 그 결과를 우리 연구원이 정리하게 되었으며, 이 정리 결과는 다시 문화부를 거쳐 대법원에 보내졌다(3월 8일).
    이에 따라 대법원은 호적법 시행 규칙 중 인명용 한자의 범위를 2,854자로 최종 확정하여 4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인명용 한자 2,854자는 교육부가 정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연수 자료 Ⅱ-3, 11-24면 참조)와 다음의 한자로 되어 있다. [참고 1]은 인명용 추가 한자이고, [참고 2]는 인명용 한자 허용 자체이다.

[참고 1] 인명용 추가 한자표
[가] 嘉 嫁 稼 賈 駕 [각] 珏 恪 殼 [간] 艮 侃 杆 玕 竿 揀 諫 墾 [갈] 葛 [감] 勘 堪 瞰 [갑] 鉀 [강] 杠 堈 岡 崗 姜 橿 疆 慷 [개] 价 凱 愷 漑 [갱] 坑 [거] 渠 遽 [건] 巾 虔 楗 鍵 [걸] 杰 [게] 揭 [격] 隔 檄 [견] 牽 鵑 [결] 訣 [겸] 鎌 [경] 倞 鯨 坰 耿 炅 更 梗 憬 暻 璟 瓊 擎 儆 俓 涇 莖 勁 逕 熲 [계] 烓 誡 [고] 叩 敲 皐 [곤] 昆 崑 琨 錕 [공] 珙 控 [과] 菓 [곽] 廓 [관] 款 琯 錧 灌 瓘 梡 [괄] 括 [광] 侊 洸 珖 桄 匡 曠 [굉] 宏 [교] 僑 喬 嬌 膠 [구] 坵 玖 矩 邱 銶 溝 購 鳩 軀 [국] 鞠 [굴] 窟 [궁] 躬 [권] 圈 眷 [궐] 闕 [궤] 軌 [귀] 龜 [규] 圭 奎 珪 揆 逵 窺 [균] 畇 鈞 [귤] 橘 [극] 剋 隙 [근] 墐 漌 槿 瑾 嫨 筋 [금] 衾 襟 [급] 汲 [긍] 亘 兢 矜 [기] 淇 琪 璂 棋 祺 錤 騏 麒 玘 杞 埼 崎 琦 綺 錡 箕 岐 汽 沂 圻 耆 璣 磯 譏 冀 驥 嗜 暣 [길] 佶 桔 姞
[나] 奈 柰 娜 [난] 煖 [날] 捺 [남] 楠 湳 [내] 柰 [뉴] 紐
[단] 緞 鍛 [담] 譚 膽 [당] 塘 鐺 [대] 垈 玳 袋 戴 擡 [도] 堵 塗 棹 濤 燾 禱 鍍 蹈 [돈] 墩 惇 暾 燉 頓 [돌] 乭 [동] 棟 董 潼 [두] 杜 枓 [둔] 屯 遁 [등] 藤 謄 騰 鄧
[락] 珞 酪 [란] 瀾 瓓 [랑] 琅 瑯 [래] 崍 萊 [량] 亮 倆 樑 [려] 呂 侶 閭 黎 [련] 煉 璉 [렬] 洌 [렴] 濂 簾 斂 [렵] 獵 [령] 伶 玲 姈 昤 鈴 齡 [로] 魯 盧 鷺 [록] 彔 [롱] 瀧 瓏 籠 [료] 僚 [류] 琉 劉 [륜] 侖 崙 綸 [름] 凜 [릉] 綾 菱 [리] 俚 莉 离 璃 [린] 潾 璘 麟 [림]琳 霖 [립] 笠 粒
[마] 瑪 [만] 万 曼 蔓 鏋 [망] 網 [맹] 萌 [면] 冕 棉 [명] 溟 [모] 冒 摸 牟 謨 [목] 穆 [묘] 描 錨 [무] 拇 珷 畝 撫 [문] 汶 炆 紋 [미] 渼 薇 彌 [민] 玟 旻 旼 閔 珉 岷
[박] 珀 撲 璞 [반] 伴 畔 頒 潘 磐 [발] 潑 鉢 渤 [방] 坊 彷 昉 [배] 陪 裵 湃 [백] 佰 帛 [벌] 閥 [범] 帆 杋 氾 范 [벽]璧 闢 [변] 卞 [병] 幷 倂 甁 輧 鉼 炳 柄 昞 秉 棅 [보] 堡 甫 輔 [복] 馥 [봉] 俸 捧 琫 烽 棒 蓬 鋒 [부] 孚 芙 傅 溥 敷 復 [분] 汾 芬 盆 [붕] 鵬 [비] 庇 枇 琵 扉 譬 [빈] 彬 斌 濱 嬪 [빙] 憑
[사] 泗 砂 糸 紗 娑 徙 奢 [산] 珊 傘 [살] 薩 [삼] 參 蔘 杉 [삽] 揷 [상] 庠 湘 箱 翔 爽 [색] 嗇 [서] 抒 舒 瑞 棲 曙 誓 壻 [석] 碩 奭 汐 淅 晳 䄷 鉐 錫 [선] 扇 渲 瑄 愃 墡 膳 繕 琁 璿 璇 羨 嬋 銑 [설] 卨 [섬] 纖 暹 蟾 [섭] 燮 攝 [성] 晟 珹 娍 瑆 惺 醒 [소] 沼 炤 紹 邵 韶 巢 疏 遡 [손] 遜 巽 [솔] 率 [송] 宋 [쇠] 釗 [수] 洙 琇 銖 垂 粹 穗 繡 隋 [숙] 塾 琡 璹 [순] 洵 珣 荀 筍 舜 淳 焞 諄 錞 醇 [슬] 瑟 膝 [승] 丞 陞 繩 [시] 柴 [식] 栻 埴 殖 湜 軾 寔 [신] 紳 莘 薪 迅 訊 [실] 悉 [심] 沁 [십] 什
[아] 娥 峨 衙 [악] 樂 堊 嶽 [안] 晏 按 [암] 庵 菴 [압] 押 鴨 [앙] 昻 鴦 [애] 厓 崖 [액] 液 [앵] 鶯 [야] 冶 [약] 躍 [양] 襄 孃 漾 [억] 檍 [언] 諺 彦 [엄] 奄 俺 掩 [업] 嶪 [역] 晹 [연] 衍 淵 姸 娟 涓 沇 筵 [열] 說 閱 [염] 琰 艶 [엽] 燁 曄 [영] 渶 煐 瑛 映 塋 瀯 盈 楹 鍈 嬰 [예] 叡 預 芮 [오] 伍 吳 旿 珸 晤 奧 [옥] 沃 鈺 [온] 瑥 媼 穩 [옹] 雍 壅 擁 [완] 玩 垸 浣 莞 琓 琬 婠 婉 [왕] 旺 汪 枉 [요] 夭 堯 饒 曜 耀 瑤 樂 [용] 溶 鎔 瑢 榕 蓉 湧 涌 埇 踊 鏞 茸 [우] 佑 祐 禹 瑀 㝢 堣 隅 玗 釪 迂 [욱] 旭 昱 煜 郁 頊 彧 [운] 沄 澐 [울] 蔚 [웅] 熊 [원] 袁 垣 洹 沅 瑗 媛 嫄 愿 苑 轅 [위]尉 韋 瑋 暐 渭 魏 [유] 侑 洧 宥 庾 兪 喩 楡 瑜 猷 [육] 堉 [윤] 尹 允 玧 鈗 胤 [융] 融 [은] 垠 殷 誾 [응] 膺 鷹 Ꞧ [의] 倚 誼 毅 擬 [이] 珥 伊 易 弛 怡 爾 彝 [익] 翊 瀷 謚 [일] 溢 鎰 馹 [임] 妊 姙 稔 [잉] 剩
[자] 仔 滋 磁 藉 瓷 [작] 灼 芍 雀 鵲 [잠] 箴 [장] 匠 庄 杖 奘 漳 樟 璋 暲 薔 [재] 宰 梓 縡 齋 渽 [쟁] 錚 [저] 苧 邸 [적] 迪 [전] 佺 栓 詮 銓 琠 甸 塡 殿 [정] 汀 玎 町 呈 桯 珵 姃 偵 湞 幀 楨 禎 珽 挺 綎 鼎 晶 晸 柾 鉦 淀 錠 鋌 鄭 靖 靚 [제] 悌 梯 瑅 [조] 彫 措 晁 窕 祚 趙 肇 詔 釣 曹 遭 [종] 倧 琮 淙 棕 悰 綜 瑽 鍾 [주] 冑 奏 湊 炷 註 珠 鑄 疇 週 遒 駐 [준] 峻 浚 晙 埈 焌 竣 畯 駿 准 濬 雋 儁 埻 [줄] 茁 [즐] 櫛 [즙] 汁 [증] 烝 甑 [지] 旨 沚 址 祉 趾 祗 芝 摯 [직] 稙 稷 [진] 晉 瑨 瑱 津 璡 秦 軫 震 塵 [질] 瓆 [집] 什 潗 楫 輯 [징] 澄
[차] 車 叉 [찬] 撰 纂 粲 澯 燦 璨 瓚 纘 鑽 [창] 菖 昶 彰 敞 廠 [채] 采 埰 寀 蔡 [척] 陟 坧 [천] 仟 阡 [철] 喆 澈 撤 轍 綴 [첨] 僉 瞻 [첩] 帖 捷 [체] 締 諦 遞 [초] 樵 焦 蕉 楚 [총] 寵 叢 [최] 崔 [추] 楸 樞 鄒 錐 錘 [축] 軸 [춘] 椿 瑃 賰 [충] 珫 沖 衷 [췌] 萃 [취] 翠 聚 [치] 熾 峙 雉 馳 [칙] 勅 [칩] 蟄 [칭] 秤 [쾌] 夬
[탁] 度 卓 倬 琸 晫 託 擢 鐸 [탄] 呑 坦 誕 灘 [탐] 耽 [태] 汰 兌 台 胎 邰 [택] 垞 [통] 桶 [퇴] 堆
[파] 巴 把 芭 琶 坡 [판] 阪 坂 [패] 覇 浿 佩 牌 [팽] 彭 澎 [편] 扁 偏 [평] 坪 枰 [폐] 陛 [포] 葡 褒 砲 [표] 杓 豹 彪 驃 [품] 稟 [필] 弼 泌 珌 苾 馝
[하] 廈 昰 霞 [한] 澣 瀚 翰 閒 [할] 轄 [함] 涵 艦 [항] 亢 沆 姮 [해] 偕 楷 諧 [행] 杏 [향] 珦 [허] 墟 [혁] 赫 爀 [현] 見 峴 晛 泫 炫 玹 鉉 [협] 俠 挾 峽 浹 [형] 型 邢 珩 泂 炯 瑩 瀅 衡 馨 [혜] 蕙 慧 譿 [호] 晧 皓 澔 昊 淏 濠 灝 祜 琥 瑚 頀 顥 扈 鎬 壕 壺 [혼] 渾 [홀] 惚 [홍] 泓 烘 虹 [화] 嬅 樺 [환] 喚 奐 渙 煥 晥 幻 桓 鐶 [활] 闊 [황] 凰 堭 媓 晃 滉 榥 煌 璜 [회] 廻 恢 晦 檜 澮 繪 [효] 涍 爻 驍 [후] 后 垕 逅 [훈] 勳 焄 熏 薰 壎 燻 塤 [훤] 喧 暄 萱 [휘] 彙 徽 暉 煇 [휴] 烋 [흔] 欣 炘 昕 [흘] 屹 [흠] 欽 [흡] 洽 恰 翕 [희] 姬 晞 僖 熺 禧 嬉 憙 熹 凞 羲 燨 曦 [힐]詰

주: 위 한자는 이 표에 지정된 발음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첫소리[初聲]가 'ㄴ' 또는 'ㄹ'인 한자는 각각 소리 나는 바에 따라 'ㄴ' 또는 'ㅇ'으로 사용할 수 있다.

[참고 2] 인명용 한자 허용 자체표
[감] 鑑(鑒) [강] 强(강@) [개] 個(箇) 蓋(盖) [검] 劍(劒) [고] 考(攷) [관] 館(舘) [교] 敎(敎) [긍] 亘(亘) [년] 年(秊) [덕] 德(悳) [룡] 龍(龍) [리] 裏(裡) [무] 無(无) [배] 杯(盃) 裵(裴) [백] 栢(柏) [번] 飜(翻) [병] 幷() 竝(並) 昞(昺) [봉] 峯(峰) [비] 祕(秘) [삽] 揷(揷) [상] 床(牀) [서] 叙(敍) 棲(栖) 壻(婿) [성] 晟(晟) [수] 修(脩) [안] 鴈(雁) [암] 巖(岩) [연] 煙(烟) [염] 艶(艶) [예] 叡(睿) [위] 衛(衛) [이] 彛(彛) [자] 姉(姊) [잠] 潛(潛) [장] 莊(庄) 墻(墻) [점] 點(点) [주] 遒(遒) [진] 晉(晋) 瑨(瑨) [집] 潗(潗) [찬] 贊(贊) 讚(讚) [참] 慚(慙) [책] 冊(冊) [초] 草(艸) [충] 沖(冲) 蟲(虫) [풍] 豐(豊) [하] 廈(厦) [항] 恒(恒) [화] 畫(畵) [활] 闊(濶) [효] 效(効) [훈] 勳(勳, 勛)
[기타] '示'변과 '礻'변, '十十'변과 '艹'변은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 예: 福=복@ 蘭=난@

2. 전문 용어 순화
    (1) '공사 용어 순화안' 검토
    조달청에서 문화부에 심의 요청한 '일본어투 공사 용어 순화안'(1991년 1월)에 대하여 우리 원에서 검토를 행하고 검토 의견서를 문화부에 전달하였다(1991년 4월 20일). 이번에 검토한 용어는 모두 399단어이다.
    (2) '미술 용어 순화안' 검토
    한국 미술 진흥 협회와 한국 표준 색채 연구소에서 문화부에 심의 요청한 '미술 용어 순화안'(1990년 10월)에 대한 우리 연구원의 검토 결과와 두 번의 자문 회의[(1991년 4월 3일, 4월 10일, 자문 위원: 김영중(조각), 황종례(공예), 서승원(회화), 김석제(색채)] 결과를 정리한 검토 의견서를 문화부에 전달하였다. (1991년 4월 30일). 이번에 검토한 미술 용어는 모두 795단어(한국화 94, 서양화 125, 조각 95, 금속 공예 100, 목공예 165, 염색 공예 109, 도자기 공예 50, 색채 57)이다.

3. 어린이 대상 만화의 국어 오용 실태 조사
    우리 연구원은 청소년의 달 5월을 맞아 어린이 대상 만화의 말과 글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1년 4월 25일부터 5월 25일까지 모두 35종 110권의 만화에 나오는 우리말과 글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번 조사는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문장 부호를 포함),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등의 언어 규범을 제대로 지키고 있는지, 문법에 맞지 않은 문장은 없는지, 외국어나 국적 불명의 말을 쓰고 있지는 않은지, 만화에 많이 나오는 의성․의태어가 국어의 특성에 맞는지 등에 대하여 행하여졌다. 조사 결과 모든 사항에 걸쳐 오용 사례가 나타났으며 특히 적절하지 않은 어휘 사용과 맞춤법에 어긋나는 예가 두드러지게 많았다. 만화의 말과 글이 자라나는 어린이들의 모국어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만화가들의 자율적인 국어 순화 노력과 아울러 간행물 심의 과정에서 더욱 세심한 주의가 요청된다.
    이 오용 실태 조사 결과에 대하여 조선일보(5월 29일), 서울 경제 신문(6월 1일) 등에서 소개한 바 있다.

4. 북한 국어 교과서 분석
    민족어 동질성 회복을 위한 기초 작업의 하나로 북한어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남한의 국민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와 북한의 인민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비교 검토하였다. 검토 내용은 1. 단원별 주제, 2. 어문 규정(사이시옷 규정, 두음 법칙 규정, 띄어쓰기 규정 등), 3. 어휘 사용(남한 사전에 없는 단어들, 표준어, 외래어 사용 등), 4. 어휘 빈도수, 5. 문법 현상 등에서의 남북한의 차이이다. 이번의 검토에서 김일성 우상화와 관련된 특이한 문법 현상으로 '-께서'가 김일성 가계의 인물에만 사용되고, '-님'을 붙인 '할아버님,' '아버님,' '어머님'은 김일성 가계의 인물만을 가리킨다는 사실이 최초로 밝혀졌다.
    이 분석 결과는 동아일보(6월 11일), 서울신문(6월 12일), 중앙일보(6월 12일), 세계일보(6월 13일), 스포츠 서울(6월 13일), 국민일보(6월 13일), 경향 신문(6월 17일), 한국일보(6월 25일) 등에 소개된 바 있다.

5. '가나다 전화' 운용 사업의 현황
    지난 2월 2일 우리 연구원 안에 개설된 '가나다 전화'(전화: 765-9909)에서는 6월 26일 현재까지 총 2,000여 건(아래의 이용 현황 참조)의 문의 및 상담이 있었다. 이 전화가 개설된 이래 국민들의 꾸준한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 문의 내용이 다채로울 뿐만 아니라 이용 계층 또한 국민학교 학생, 가정주부, 현직 교사, 출판사 편집인, 회사 및 정부 기관 홍보실 관계자 등 매우 다양하다.
    개설 초기에는 일반인의 관심이 많이 반영되어 호칭어, 지칭어 등 언어 예절 분야 및 고유어 이름 짓기에 관한 문의가 많았던 반면에, 시간이 지나면 국어를 직업적, 전문적으로 다루는 출판사 편집인이나 회사의 홍보 관계자, 중고등학교 국어 교사 등의 문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문의 내용도 응답자에게 심도 있는, 언어학적 지식을 요하는 것이 많이 접수되고 있어 개설 초기와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인다. 지금까지의 이용 현황을 소개하면 [참고 3]과 같다.
    우리 연구원은 5월 '가나다 전화' 이용 안내서 1만 매를 제작, 정부 각 부처, 국공립 도서관, 시 교육 위원회, 언론 기관 등에 배포하는 한편, KBS, BBS, CBS, PBS 등 각 방송국의 출연 요청에 응하여 '가나다 전화' 이용 홍보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스포츠 서울(5월 11일), 동남일보(5월 15일) 등에 '가나다 전화' 이용에 대하여 소개된 바 있다.

[참고 3] '가나다 전화' 이용 현황
월별
분야
2월 3월 4월 5월 6월/26일
화법
언어 규범
이름 짓기
어휘
건의
기타
193
104
50
40
20
24
431
80
145
21
75
10
14
345
81
170
12
70
6
45
384
46
263
47
124
5
35
520
32
228
21
19
9
26
335
432
910
151
328
50
144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