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정보화

한글 자모의 역방향 정렬 단위


이승재(李承宰) 국립국어연구원

지난 호에서 우리는 어절 끝에 오는 요소들을 같은 것끼리 묶어 그 어휘들의 성격을 연구하고자 할 경우 역방향 정렬이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역방향 정렬은 음절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한 음절 안에서 자소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순방향 정렬과는 달리 두 방식의 결과에 차이가 난다. 예를 들어 ‘통신’이라는 단어가 정렬 대상의 글자라고 할 때 순방향 정렬은 음절 단위이든 자소 단위이든 ‘통’의 초성 ‘ㅌ’을 가장 먼저 비교 대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역방향 정렬은 음절 단위로 정렬을 할 경우 ‘신’이라는 글자의 초성 ‘ㅅ’을 가장 먼저 비교 대상으로 삼아야 하지만 자소 단위 정렬을 할 경우에는 ‘신’을 다시 ‘ㅅㅣㄴ’으로 풀어쓰고 이를 다시 ‘ㄴㅣㅅ’으로 순서를 바꾸어 맨 처음에 있는 ‘ㄴ’을 비교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역방향 정렬은 음절 단위와 자소 단위 정렬이 서로 차이가 있어

그러면 관형형 어미 ‘-ㄴ’과 같이 형태소가 하나의 자소로 되어 있는 경우 음절 단위와 자소 단위로 정렬을 하면 각각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 다음의 예를 살펴보도록 하자.

정순 순방향 정렬 정순 역방향 정렬(음절 단위) 정순 역방향 정렬(자소 단위) 역순 역방향 정렬(자소 단위)
거친 게낮 → 낮게 한착 → 착한 리파해 → 해파리
게으른 고하순 → 순하고 한수우 → 우수한 고하순 → 순하고
낮게 닌아 → 아닌 운다름아 → 아름다운 게낮 → 낮게
순하고 른으게 → 게으른 른으게 → 게으른 서아작 → 작아서
아닌 리파해 → 해파리 닌아 → 아닌 친거 → 거친
아름다운 서아작 → 작아서 친거 → 거친 닌아 → 아닌
우수한 운다름아 → 아름다운 서아작 → 작아서 른으게 → 게으른
작아서 친거 → 거친 게낮 → 낮게 운다름아 → 아름다운
착한 한수우 → 우수한 고하순 → 순하고 한수우 → 우수한
해파리 한착 → 착한 리파해 → 해파리 한착 → 착한

음절 단위로 역방향 정렬을 하면 관형형 어미 ‘-ㄴ’이 쓰인 어절이 한군데로 모이지 않는다. 관형형 어미 ‘-ㄴ’이 한 음절을 이루고 있는 형태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을 한군데로 모으기 위해서는 이들 목록을 자소 단위로 비교하여 역방향 정렬을 해 주어야 한다. 자소 단위로 역방향 정렬을 하게 되면 종성부터 중성, 초성의 순으로 배열하게 된다. 위의 정순 역방향 정렬의 예에 나왔던 말들을 자소별로 풀어 쓴 후 자모 순서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한착 → ㄴ ㅏ ㅎ ㄱ ㅏ ㅊ 친거 → ㄴ ㅣ ㅊ ㅓ ㄱ
한수우 → ㄴ ㅏ ㅎ ㅜ ㅅ ㅜ ㅇ 서아작 → ㅓ ㅅ ㅏ ㅇ ㄱ ㅏ ㅈ
운다름아 → ㄴ ㅜ ㅇ ㅏ ㄷ ㅁ ㅡ ㄹ ㅏ ㅇ 게낮 → ㅔ ㄱ ㅈ ㅏ ㄴ
른으게 → ㄴ ㅡ ㄹ ㅡ ㅇ ㅔ ㄱ 고하순 → ㅗ ㄱ ㅏ ㅎ ㄴ ㅜ ㅅ
닌아 → ㄴ ㅣ ㄴ ㅏ ㅇ 리파해 → ㅣ ㄹ ㅏ ㅍ ㅐ ㅎ

위의 목록에서는 첫 음절의 종성에 ‘ㄴ’이 쓰인 어절들을 앞에 배열하였고 그 다음에 종성에 아무것도 쓰이지 않은 어절들을, 다시 그 다음에 중성을 참조하여 순서대로 배열하였다. 그리고 ‘ㄴ’이 쓰인 어절들은 다시 그 다음 중성을 참조하여 순서를 정하였고 같은 중성이 쓰인 경우에는 계속 뒤로 이동하면서 한 음절 안에서 자모를 역방향으로 비교하여 정렬 순서를 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