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표기

‘ㅈ, ㅊ’ 다음에 이중모음을 쓰지 말아야

김세중 국립국어연구원

주위에서 가장 흔히 목격하는 외래어 표기의 오류는 ‘ㅈ, ㅊ’ 다음에 ‘ㅑ, ㅕ, ㅛ, ㅠ’ 따위를 쓰는 것이다. ‘쥬스’, ‘비젼’, ‘챠트’와 같은 표기를 보면 안타까운 느낌이 든다. 잘못된 표기가 횡행하는 이유는 아마도 이런 표기가 틀린 줄을 몰라서이기 때문일 것이다. 외래어 표기의 몇 가지 중요한 원칙만이라도 학교에서 제대로 가르친다면 이런 오류는 나타나지 않을 텐데 이런 표기가 흔히 보이는 것은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가 아닌가 한다.

그럼 왜 ‘주스’, ‘비전’, ‘차트’가 바른 표기이고 왜 ‘쥬스’, ‘비젼’, ‘챠트’는 틀린 표기인지 알아보자. ‘ㅈ, ㅊ’은 파찰음인데 ‘ㅈ, ㅊ’이 나는 위치는 경구개로 잇몸 바로 뒤인 가파른 입천장 부분이다. 보통 구개음이라고 하면 바로 이 경구개에서 나는 소리를 가리키는데 구개음인 ‘ㅈ, ㅊ’은 특이한 성질이 있다. 그 다음에서 단모음과 이중모음이 구별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자’와 ‘쟈’는 글자로는 구별되지만 소리로는 좀처럼 구별되어 들리지 않는다. 경구개보다 앞인 잇몸에서 나는 ‘사’와 ‘샤’, ‘나’와 ‘냐’나, 입술에서 나는 ‘마’와 ‘먀’ 등이 잘 구별되어 들리는 것과는 사뭇 다르다. 이는 ‘ㅏ’ 모음뿐 아니라 ‘ㅓ’, ‘ㅗ’, ‘ㅜ’ 등 다른 모음에서도 마찬가지다. 그 결과 국어에서는 ‘ㅈ, ㅊ’ 다음에 ‘ㅑ’, ‘ㅕ’, ‘ㅛ’, ‘ㅠ’ 등의 이중모음이 오는 단어가 아예 없다. 단모음이 왔을 때와 소리가 구별되지 않으니 그런 단어가 생겨날 리가 없는 것이다. 결국 ‘ㅈ, ㅊ’ 다음에는 이중모음을 적을 일이 없고 적어서는 안 됨을 알 수 있다. 외래어도 국어이기 때문에 ‘ㅈ, ㅊ’에 관한 이러한 특성을 적용받아 마땅하다. ‘쥬스’라고 적고 발음해도 ‘주스’와 발음이 다르지 않다. 그러니 굳이 ’쥬스’라고 적을 이유가 없는 것이다.


‘ㅈ, ㅊ’ 다음에서는 단모음과 이중모음이 구별되지 않아

때로는 표기법을 몰라서가 아니라 현행 표기법이 잘못되었다고 보고 따르지 않는 이들도 있다. ‘쥬스’, ‘비젼’, ‘챠트’와 같이 적어야 외국어 발음을 잘 나타낸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쥬스’라고 적는다고 외국어 발음에 가까워진다는 보장이 없다. ‘주스’든 ‘쥬스’든 한글로 적는 이상 외국어 발음과 달라져 버린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어떻게 적는 것이 더 가까우냐를 따지는 것은 별로 의미있는 일이 아니다. 외래어는 외국어가 아니라 국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ㅈ, ㅊ’ 다음에 이중모음을 적는 경우가 있다. ‘가졌다’, ‘넘어졌다’ 등이다. 이때 ‘가저끁다’로 적지 않고 ‘가졌다’로 적는 이유는 ‘가지다’의 어간 ‘가지-’에 어미 ‘-었-’과 ‘-다’가 합해져서 된 말임을 표기상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즉 ‘가졌다’는 한 단어이지만 형태소로는 세 형태소가 합해져서 된 말이다. 국어에서 하나의 형태소 안에서 ‘ㅈ, ㅊ’ 다음에 이중모음을 적는 경우는 없다. 외래어라고 이러한 제약에서 벗어날 이유가 없다. ‘쥬스’, ‘비젼’, ‘챠트’와 같은 표기가 거리에서 사라질 날이 어서 오기를 바란다.


‘쥬라기 공원’도 ‘쥐라기 공원’이라고 해야

마지막으로 영화 ‘쥐라기 공원’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영화의 원래 제목은 ‘Jurassic Park’이다. ‘Jurassic’은 지질학의 한 시기를 가리키는 말인데 우리나라 과학 교과서에는 이미 ‘쥐라(기)’로 쓰고 있다. 프랑스와 스위스 국경 지역의 한 산에서 따온 말이기 때문에 ‘쥐라’라 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말 영화 이름도 ‘쥐라기 공원’이라 했어야 옳다. 굳이 영어식으로 표기한다 해도 ‘쥬라기’는 있을 수 없고 ‘주라기’가 옳다. 대중에게 영향을 크게 미치는 영화 제목이 틀린 것은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이다. 이런 잘못된 표기가 발붙일 수 없도록 하자면 국민 모두가 깨어 있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