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 이야기
대한(大寒)이 소한(小寒) 집에 왔다가 얼어 죽는다 / 대한 추위보다 소한 추위가 더 춥다는 뜻.
소한(小寒) 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 / 소한 때에는 반드시 춥다는 뜻.
속 빈 강정 / ① 겉만 그럴 듯하고 속은 아무 실속도 없다는 뜻. ② 주머니에 돈이 한푼도 없다는 뜻.
정월 초하룻날 먹어 보더니 이월 초하룻날도 먹으려 한다 / 한번 재미를 보더니 자꾸 하려고 한다는 뜻.
정월이 크면 이월이 작다 / 한번 좋은 일이 있으면 다음에는 나쁜 일도 있다는 뜻.
어원 이야기
동냥:‘동냥’은 ‘동령(動鈴)’에서 유래한 말로 원래 ‘(스님이 시주를 얻기 위해) 요령(搖鈴)을 흔들다’ 또는 ‘요령을 들고 다니다’라는 뜻이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들어서서 억불정책(抑佛政策)의 시행으로 승려 및 그에 관련된 일을 천하게 보게 됨에 따라 오늘날 ‘동냥’은 ‘구걸(남에게 돈, 곡식, 물건 따위를 거저 달라고 하는 것)’의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동령(動鈴) > 동녕 > 동냥]
고을:‘고을’의 중세국어 어형은 ‘올ㅎ’로 ‘읍(邑), 군(郡), 현(縣), 주(州), 부(府), 환(篻), 관(官)’을 의미하는 말이었다. 그러나 『두시언해』에서는 ‘향(鄕)’의 의미로도 ‘올ㅎ’을 쓰고 있다. 중세국어에서 ‘향(鄕)’의 일반적인 번역은 ‘시골’을 의미하는 ‘스’이다. ‘스’의 ‘스’가 ‘벽(僻: 후미지다), 하(遐: 멀다)’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본다면 ‘올ㅎ’은 ‘스’의 ‘’과 같은 기원이다(‘스’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 앞에 출현하는 예가 없어 종성 ‘ㅎ’을 보이지 않음). ‘스>스올>스골/스굴>시골’처럼 ‘올ㅎ’도 ‘ㅎ>올ㅎ>고올/고ㅎ>고을ㅎ(현대국어에서 ‘고을’은 ‘골’로 줄어 쓰이는데 보통 일부 명사에 붙어 마을의 이름을 이룰 때 나타남)’로 형태가 변화한 것이다. 반면 ‘산골’의 ‘골’은 형태상 ‘고을’과 관련되는 듯 싶지만 그렇지 않다. 중세국어에서 ‘올ㅎ’의 의미로 쓰이는 ‘골’이 발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산골’은 ‘산곡(山谷), 산욕(山汧)’에 대응하는 말로 ‘골’은 ‘谷’이나 ‘汧’의 의미로 쓰인 것이다. 원래 ‘묏골’이었으나 ‘뫼’라는 고유어가 ‘산(山)’이라는 한자어로 대치됨에 따라 ‘묏골’이 ‘산골’로 바뀐 것이다.[‘묏골>뫼/뫼ㅅ골>산ㅅ골>산골’]
건달:‘건달’은 대부분의 국어사전에서 ‘乾達’로 그 어원(한자 표기)을 밝히고 있으나 사실은 불교에서 팔부중(八部衆)의 하나로 음악을 맡아보는 신(神)인 ‘건달바(乾嫰婆)’에서 유래한 말이다. ‘건달바’는 향을 먹고 사는 신으로 허공을 날아다니면서 노래만 즐기기 때문에 후에 ‘하는 일 없이 빈둥빈둥 놀거나 게으름을 피우는 짓. 또는 그런 사람’을 일컬어 ‘건달’이라 하게 되었다.[범어 Gandharva > 乾嫰婆 > 乾嫰 > 건달]
살려 쓰고 싶은 우리말
올올(兀兀)하다솟은 모양이 우뚝하다.하늘을 찌를 듯이올올한 산봉우리.
귀잠아주 깊이 든 잠. 누가 업어 가도 모를 만큼 귀잠이 들었다.
대(代)거리 서로 번갈아 일함. 영수와 철수가 대거리로 톱질을 하였다.
갈맷빛 짙은 초록색. ‘갈매’는 갈매나무의 열매. 저 눈부신 햇빛 속에 갈맷빛의 등성이를 드러내고 서 있는 여름 산 같은… [서정주의 「무등을 보며」에서]
불목하니 절에서 밥을 맡아 짓는 사람. 옥천사(玉天寺)에서 불목하니 노릇을 하던 사비(寺婢)의 자식.
자별(自別)하다친분이 남보다 특별하다. 삼 년의 세월이 흘렀다. 문단 고우 중에서도 가장 자별한 사이였던 석에게도 거처를 알리지 않은 채, 흘러간 삼 년이었다. [안수길의 『第三人間型』에서]
후무리다 남의 물건을 슬그머니 훔쳐 제 것으로 만들다. 그렇게 탐이 나면 후무려서 넣을 일이지…


● 의견을 받습니다
-. 국어 생활을 하다가 겪는 여러가지 어려움이나 국어 생활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알려 주십시오.
전화 (02)779-4816. 팩스 (02)779-4819
컴퓨터 통신 kacademy(천리안). nakl(하이텔)
kacademy@chollian.net(인터넷 전자우편)
● 국립국어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등 국어 어문 규정과 「새국어소식」이 올라 있습니다.
홈페이지 http://user.chollian.net/~kacademy
● 국어문화학교
-.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바른 글쓰기, 한글 맞춤법과 띄어쓰기, 언어 예절, 외래어 표기법 등의 내용을 강의하는 ‘국어문화학교’를 연 4회 열고 있습니다. 올해의 첫 강좌는 4월에 시작할 예정입니다.
● 가나다 전화
-.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 언어 예절 등 국어 생활 전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지 누구나 이용하여 바로 답변을 들을 수 있습니다.
문의 전화 (02)771-9909[‘9909’는 ‘국어 연구’의 발음을 숫자화한 것임]

■ 주위 사람들과 돌려 보세요. 여기에 실린 내용은 저작권과 상관없이 다른곳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이 책자는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문예진흥기금으로 발간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