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도
국어 분야의 주요 일지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 정책 논저 목록
국어 교육 논저 목록
한국어 교육 논저 목록
음성학·음운론 논저 목록
형태론 논저 목록
통사론 논저 목록
어휘론·의미론·
화용론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논저 목록
사회 언어학 논저 목록
방언학 논저 목록
국어 정보학·
사전학
논저 목록
그 외 논저 목록
2. 정기 간행물 목록 논저 목록
전국 대학 국어 관련 학과 및 대학원
1. 전국 대학 국어 관련 학과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언어학
2. 전국 대학 국어 관련
   대학원
국어국문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언어학
3. 전국 한국어 교육 관련
   기관
한국어 교육 기관
한국어 교사 양성 과정
국어 관련 학회 및 단체
  Ⅱ. 국어학 관계 문헌

1. 분야별 논저 목록                         

국어사·국어학사
<단행본>

강길운, 『한국어 계통론 上券』, 한국문화사
강길운, 『한국어 계통론 下券』, 한국문화사
姜相源, 『朝鮮古語실담어註釋辭典』, 朝鮮世宗太學院 出版部
姜相源, 『訓民正音28字語源的新解釋』, 朝鮮世宗太學院 出版部
강상호 편, 『한글 한국어 새 한글 뭉치』, one
강신항, 『韓漢音韻史硏究: 補遺篇』, 월인
고영진・김병문・조태린 편, 『식민지 시기 전후의 언어 문제』, 소명출판
국립국어원 주최・한글학회 한국어문학술단체연합회 창립 준비위원회 주관, 『조선어학회 수난70돌 기념행사: 조선어학회 항일 투쟁의 역사적 의미와 계승』(연구 책임자: 김아영), 국립국어원
국민교육회 저・박치범・박수빈 편역, 『초등소학 상』, 경진
국민교육회 저・박치범・박수빈 편역, 『초등소학 하』, 경진
국어국문학회 편, 『세계화 시대의 국어국문학』, 보고사
권재일, 『북한의 『조선어학전서』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권중혁 편, 『유라시아어의 기원과 한국어』, 퍼플
김명식, 『가림다 한글 나랏말싸미: 바탕글자의 얼과 뜻』, 홍익재
김문웅, 『(역주) 여씨향약언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김미형, 『우리말의 어제와 오늘: 정신의 변화를 안고 흐른 국어의 역사』, 제이앤씨
김수봉, 『창란호연록: 한글 필사본: 고소설 역・주해 1-12』, 한국학술정보
김슬옹,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발달사』, 역락
김영환, 『한글철학: 자주문화를 위한 투쟁』, 한국학술정보
김용길, 『중국문자는 고대 한국인이 만들었다』, 청연
金智勇 해제, 『구급방언해』, 明文堂
김혜영, 『한국 근대문학과 이중어연구: 김사량을 중심으로』, 국학자료원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강독편』, 교학연구사
나찬연,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이론편』, 교학연구사
나찬연, 『훈민정음의 이해』, 월인
나찬연・권영환・김문기・박성호・박영미・오효순,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경진
나찬연・권영환・김문기・오효순, 『중세 국어 문법의 이해: 주해편』, 교학연구사
박동화 저・정성화 그림, 『한글 우리말을 담는 그릇』, 책 읽는 곰
박성훈 편, 『朴通事諺解辭典』, 태학사
박영섭, 『한자 대역어의 통시적 연구』, 박이정
박용규, 『조선어학회 항일투쟁사』, 한글학회
박종국, 『우리 국어학사』, 세종학연구원
박철주, 『大明律直解: 全篇解釋 및 分析硏究』, 한국문화사
박희민, 『박연과 훈민정음』, Human & Books
배우성・김창수・박민수・이원준・이지영 역, 『국역 『同文彙考』犯越 史料 4』, 동북아역사재단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고전번역학센터 역, 『대한자강회월보 편역집 1』, 소명출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편, 『三韻通考』,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송성수 초역・하혜정・오준호・박연주 개역, 『경률이상: 개역본 한글대장경 1-3』, 동국역경원
신양선, 『조선중기 서지사 연구: 16세기 관찬서를 중심으로』, 혜안
신양선, 『조선초기 서지사 연구: 15세기 관찬서를 중심으로』, 혜안
신지연・최혜진・강연임, 『개화기 가사 용언 용례집』, 보고사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HK사업단, 『(풀어쓰는) 국문론집성: 근대 계몽기 국어국문 담론의 현대적 해석을 위하여』, 박이정
오재성, 『우리말뿌리(根): 訓蒙字會註解』, 다물
유길준 저・조윤정 편역, 『노동야학독본』, 경진
유덕선 편, 『훈몽자회』, 홍문관
유희 저・김지홍 역, 『언문지』, 지식을 만드는 지식
유희 저・하영삼 역, 『석명: 언어에 대한 글자 풀이』, 지식을 만드는 지식
이근화, 『근대적 시어의 탄생과 조선어의 위상』, 서정시학
이병선, 『韓國古代國名地名의 語源 硏究』, 이회
이원긍 저・박선영 편역, 『초등여학독본』, 경진
이찬구, 『돈: 뾰족돈칼과 옛 한글연구』, 동방의빛
이태영, 『국어사와 방언사 연구』, 역락
임균택, 『훈민정음의 기원』, 大經
장지연 편・문혜윤 편역, 『여자독본』, 경진
정광,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역락
정광・배성우・김유정, 『한국어와 알타이어 비교어휘 2』, 지식과 교양
정연규・신세용, 『(인류의 문자를 탄생시킨) 가림토-한글문자』, 한국문화사
정윤수 저・이상혁・권희주 편역, 『초목필지』, 경진
정인호 편・이승윤・김준현 편역, 『최신 초등소학』, 경진
정재영・문무경・안대현・박부자 외, 『한글나들이 569: 우리말 우리글 우리뜻』, 태학사
정창수, 『말과 글자의 DNA추적』, 바른소리
정호완, 『(역주) 연병지남』,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조두상, 『쐐기문자의 생성과 소멸 그리고 판독: 약 3100∼2900 B.C. 우르크에서 사용된 선형문자평판』, 한국문화사
최경봉, 『한글 민주주의』, 책과 함께
최춘태, 『국어 음운의 통시적 연구』, 쏠티북스
최현배, 『글자의 혁명: 1947년판』,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글자의 혁명: 1956년판』,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나라건지는 교육』,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나라사랑의 길: 1958년판』,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나라사랑의 길: 초고본 상』,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나라사랑의 길: 초고본 하』,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민주주의와 국민도덕』,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시골말 캐기 잡책』,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우리말 말수 사용의 잦기 조사』,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우리말 존중의 근본뜻』,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우리말본: 1937년 온책 초판』,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우리말본: 1955년판』,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우리말본: 1961년판』,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우리말본: 1971년판』,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우리말본: 유인교정본 1928년판』,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우리말본: 유인교정본: 1932년판』,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우리말본: 첫재매』,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우리말본: 특별보존본』,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우리말에 쓰힌 글자의 잦기 조사』,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조선민족갱생의 도: 1930년판』,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조선민족갱생의 도: 1962년판』,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조선민족갱생의 도: 동아일보연배본 1926년판』,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한글 가로글씨 독본』,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한글 바로적기 공부』,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한글갈』,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한글의 바른 길』,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최현배, 『한글의 투쟁』, 연세대학교 출판문화원
코리아 스토리 기획위원회 편, 『한글, 자연의 모든 소리를 담는 글자』, 허원미디어
편자: 김순전・박제홍・장미경・박경수・사희영・김서은・유철, 『(일제 강점기 일본어교과서 『國語讀本』을 통해 본) 식민지조선 만들기』, 제이앤씨
河野六郞 저・李珍昊 역, 『河野六郞과 國語 音韻論』, 지식과 교양
학부 편・김혜련・장영미 편역,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 상』, 경진
학부 편・김혜련・장영미 편역,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 하』, 경진
학부 편집국 편・강진호 편역, 『국민소학독본』, 경진
학부 편집국 편・구자황 편역, 『신정심상소학』, 경진
학부 편집국 편・유임하 편역, 『소학독본』, 경진
한승주, 『금강경삼가해의 국어학적 연구』, 청목출판사
허웅 저・권재일 편, 『우리 옛말본』, 지식을 만드는 지식
허재영 해제, 『광복 이후의 문자 보급 운동 교재 1』, 역락
허재영 해제, 『광복 이후의 문자 보급 운동 교재 2』, 역락
허재영 해제, 『근대 계몽기의 노동 야학과 성인 강습』, 역락
허재영 해제, 『농민독본 및 갱생운동 1』, 역락
허재영 해제, 『농민독본 및 갱생운동 2』, 역락
허재영 해제, 『작문법(作文法)과 근고문선(近古文選)』, 역락
허재영 해제, 『초학용 문자 학습서 1』, 역락
허재영 해제, 『초학용 문자 학습서 2』, 역락
허재영 해제, 『한글 맞춤법 보급 자료』, 역락
현채 저・박민영・최석재 편역, 『신찬초등소학 상』, 경진
현채 저・박민영・최석재 편역, 『신찬초등소학 하』, 경진
현채 편・이정찬 편역, 『유년필독』, 경진
홍사만, 『倭語類解와 日語類解의 어휘 연구: 표기형 교체를 중심으로』, 박이정
휘문의숙 편집부 편・김찬기 편역, 『고등소학독본』, 경진

<학위 논문>

강성미, <「父母恩重經諺解」의 국어학적 연구: 喜方寺本과 龍珠寺本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강진구, <15・16세기 의약서 언해의 표기와 음운 현상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석사)
김근영, <개화기 선교사들이 한글 교육>,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란화, <『두시언해』의 수사법 연구>, 성균관대학교 동아세아학술원(박사)
김명남, <《三綱行實圖》언해본(諺解本)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김민지, <어미 ‘-거든’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김세환, <청송지역어 용언 어간의 통시적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
김소담, <영상 매체를 활용한 한국문화 특별수업 교육 방안: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소연,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영상 매체 활용 방안: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김승은, <주시경의 타이포그라피 표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석사)
김예니, <음식조리서에 나타난 근대국어 부사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석사)
김은주, <국어 비통사적 합성용언과 통사적 합성용언의 공존 양상에 대한 통시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
김지오, <均如傳 鄕歌의 解讀과 文法>, 동국대학교 대학원(박사)
나까지마 히로미, <古代國語 地名語의 國語學的 硏究: 韓・日 地名語 比較를 中心으로>, 선문대학교 대학원 교육대학원(박사)
류자, <『어록해(語錄解)』의 표기와 음운 현상 연구: 이본 6종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석사)
서연, <일제 강점기 유행가 가사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석사)
서정호, <의존명사 ‘사’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선한빛, <『閨閤叢書』의 형태론적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석사)
오주록, <日帝强占期 식민지 교육에 이용된 神話 고찰: 普通學校『修身書』『國語讀本』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석사)
왕리췬, <韓國漢字音 初聲과 漢語 聲母의 對照 硏究: 訓蒙字會 漢字를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
원수연, <‘싶다’ 구문의 통시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
위메이란, <중국의 소학교 <조선어문>에 수록된 어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 명사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석사)
이광영, <《박통사》언해본의 역음에 반영된 중국어 음운변화 현상 연구: 구개음화와 입성운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석사)
이상목, <15〜17세기 음소결합제약의 변화>, 부산대학교 대학원(석사)
이상문, <朝鮮 中期 郭澍의 한글簡札 書體硏究>,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석사)
이진희, <광복 이후 국어 문법 교과서 연구: 음운 변동 영역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자오징징, <『老乞大』네 개 판본에 나타난 "得"자의 의미기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장고은, <‘돌다’의 복합동사에 대한 역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
전기량, <15세기 국어 어미 ‘-잇-’의 ‘-이-’와 ‘-ㅅ-’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정명숙, <대종경의 어휘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정수희, <개화기 국어의 표기와 음운체계: 신소설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
조용림, <현풍 곽씨 한글 간찰의 종결어미 형태와 의미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박사)
천원베이, <근대 한국 한자음/ㅅ/비구개음화 원인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석사)
켈핀말테, <중부 방언 ‘ㅚ, ㅟ, ㅢ’에 대한 통시적 연구: 19세기 이후의 외국인 전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석사)
한문수, <<순천 김씨묘 출토 언간>의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석사)
황정인, <개화기국어 종결어미 연구: 신소설 자료를 대상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석사)
Bae, Mary Joo-ok, ,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박사)
Yang, Lin Lin, <『박통사』 번역 문헌류에 나타난 오류 양상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 논문>

강문식, “조선전기의 『효경』 이해”, 정신문화연구 35-1, 한국학중앙연구원
강창석, “훈민정음 頒布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개신어문연구 35, 개신어문학회
고광모, “15세기 국어의 종성/ㅅ/에 대하여”, 국어학 64, 국어학회
고은숙, “후기 중세국어의 원망(願望)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어학 54, 한국어학회
고은숙, “후기 중세국어의 차등 비교 표지에 관하여”, 국제어문 54, 국제어문학회
구사회・김영, “<관록>의 가사 발굴과 <관동해가>와의 비교”, 한국언어문학 83, 한국언어문학회
권시현, “<漢語獨學>의 표기법과 음운현상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35,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회
權仁瀚, “廣開土王陵碑文의 국어학적 연구 서설”, 구결연구 28, 구결학회
권인한, 김양진, 장향실, 박진호, “원나라 거주 고려인을 위한 漢語 교육: 『朴通事』의 편찬 목적과 교육 대상을 중심으로”, 진단학보 114, 진단학회
金泰均, “李漢鎭 編 『靑丘永言』의 특성 탐색”, 어문연구 40-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경남, “근대계몽기 독본, 수신 교과서의 우화 텍스트의 변화 양상”, 우리말글 55, 우리말글학회
김광철, “『고려사』의 간행 유통과 동아대 소장 『고려사』 판본의 특징”, 석당논총 54,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김기종, “15세기 불전언해의 시대적 맥락과 그 성격”, 한국어문학연구 58, 한국어문학연구학회
김남경, “불설광본대세경(佛說廣本大歲經) 의 서지와 한자음에 대하여”, 민족문화논총 51,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김남경, “조선시대 한글 의서의 문체 연구”, 언어과학연구 63, 언어과학회
김무림, “고대국어의 음운: 박병채(1971)의 연구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55, 한국어학회
김무림, “중세국어(中世國語) 특이(特異) 한자음(漢字音)의 시대성(時代性) 논의(論議): 고대국어(古代國語) 차자표기(借字表記)와의 비교(比較)를 통하여”, 한국어학 54, 한국어학회
김무봉,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현황과 사회 문화적 의의”, 한국어문학연구 58, 한국어문학연구학회
김미미, “한글 子音字 배열의 역사적 변천과 그 수정의 필요성”, 국어사연구 14, 국어사학회
김병문, “주시경 문법에서의 ‘씨난’의 변천 과정”, 국어학 65, 국어학회
김부연, “≪훈민정음≫ 사진 자료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55, 한국어학회
김상태, “훈민정음 제자 원리와 한자 육서의 자소론적 연구”, 국어학 63, 국어학회
김상태, 김경열, “The Formal Grapheme <ㅇ> in Middle Korean”, 인문과학연구 32,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김선효, “근대국어의 특이처격어의 변천 양상과 특성”, 우리어문연구 44, 우리어문학회
김성주, “역학서 언해와 조선의 외국어 교육”, 한국어문학연구 58, 한국어문학연구학회
김성철, “새 자료 필사본 <양보은전>과 <보심록>의 소개와 의미”, 어문논집 66, 민족어문학회
김슬옹,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공식문자론”, 한글 297, 한글학회
김슬옹, “한글 우수성, 독창성, 과학성에 대한 통합 연구”, 문법교육 16, 한국문법교육학회
김언주, “금강경언해에 나타난 부정문의 양상”, 우리말연구 30, 우리말학회
金永旭, “古代國語의 處所格 ‘-良’에 對한 硏究”, 구결연구 28, 구결학회
김영환, “한글의 기원 및 창제 원리로서의 ‘상형’과 ‘고전 모방’의 재검토”, 한국언어문화 47, 한국언어문화학회
김유권, “15세기 국어의 어미 중첩구성 연구”, 겨레어문학 48, 겨레어문학회
김유범, “고대국어 문법 연구의 회고”, 한국어학 55, 한국어학회
김유정, “경상도 문헌에 나타난 /・/의 비음운화 연구”, 인문과학연구 17,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김인회, “조선시대 사대부의 한글 사용과 의미”, 정신문화연구 35-4,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정우, “‘량’(梁)계 지명의 분포와 독법: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가라문화 24, 경남대 박물관 가라문화연구소
김제정, “근대 ‘京城’의 용례와 그 의미의 변화”, 서울학연구 49, 서울시립대 부설 서울학연구소
김주원, “중국 문헌에 나타난 한글”, 문헌과 해석 58, 문헌과 해석사
김주필,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성격(性格)과 “전환(轉換)”의 의미(意味)”, 어문학논총 31, 국민대학고 어문학연구소
김지연, “일본 한자어의 수용과정으로 고찰한 大統領의 성립”, 언어정보 15, 고려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김지오, “釋讀口訣에 나타난 ‘-은여/을여’에 대하여”, 한국어문학연구 58, 한국어문학연구학회
김지홍, “이른바 세종이 정한 「통고 사성도」에 대하여”, 규장각 40,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김진호, “<楚亭集序>에 나타난 연암의 法古創新論 연구”, 민족문화 39, 한국고전번역원
김차균, “중고한음 성조와『소학언해』에 나타난 우리말 한자 형태소 성조의 비교”, 한글 297, 한글학회
김풍기,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문화적 의미”, 한국어문학연구 58, 한국어문학연구학회
김하라, “통원(通園) 유만주(兪晩柱)의 한글 사용에 대한 일고(一考)”, 국문학연구 26, 국문학회
김현권, “김방한의 소쉬르 연구”, 언어학 62, 한국언어학회
김현주, “종결어미 {-으세요}의 형성과 화행의 편향적 관련”, 형태론 14-2, 형태론
金曉民, “고려대 소장 ≪西廂記諺抄≫의 번역 양상과 특징”, 중국어문논총 54, 중국어문연구회
김훈태, “17세기 疊用副詞의 形態的 特性과 意味的 機能”, 어문연구 40-1, 어문교육연구회
나까지마히로미, “高句麗・百濟 地名에 나타나는 ‘冬音’에 關한 一考察”, 어문연구 40-4, 어문교육연구회
남경란,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동빈문고 소장 구결 자료에 대하여”, 민족문화논총 51,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남권희, “韓國의 大藏經 硏究 現況과 展望: 2000년대를 중심으로”, 고인쇄문화 19, 청주고인쇄박물관
남기탁, “국어학 연구 60년의 회고와 전망”, 국어국문학 161, 국어국문학회
남길임, 송현주, 최준, 현영희,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의미 주석 연구”, 한국어의미학 39, 한국어의미학회
남미정, “중세국어의 사이시옷과 합성명사”, 언어와 정보사회 18,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南豊鉉, “『三國遺事』의 鄕歌와 『均如傳』鄕歌의 文法 比較”, 구결연구 28, 구결학회
南豊鉉, “古代 韓國語의 如實法 動詞 ‘支/디’와 ‘多支/다디’에 대하여”, 구결연구 29, 구결학회
노춘기, “근대계몽기 유학생집단의 시가 장르와 표기체계에 관한 인식 연구: 『태극학보』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40, 한민족문화학회
도수희, “지명 연구 방법론에 대한 반성”, 지명학 18, 한국지명학회
柳勝國, “한글 筆寫本 『뎡감녹』의 文法形態에 관한 고찰”, 어문론집 50, 중앙어문학회
문현수, “점토석독구결 용언 부정사의 의미기능”, 국어사연구 14, 국어사학회
미쓰이 다카시, “박승빈(朴勝彬)의 언어운동과 그 성격”, 한국학연구 26,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민현주, “『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구결 자료에 대하여”, 한국말글학 29, 한국말글학회
박기선, “개화기 소설의 한, 중, 일 번역 양상에 관하여: 「천로역정(天路歷程)」의 고유명사 표기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48, 이중언어학회
박기영, “開化期 遞信 語彙에 대한 一考察”, 국어학 63, 국어학회
박기영, “일제 식민지 시기의 한국어 회화서 『日鮮 遞信會話』와 『朝鮮語遞信會話』에 대한 일고찰”, 인문연구 64,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박병철, “『新增東國輿地勝覽』에 나오는 ‘遷’계 地名語의 衰退에 관한 硏究”, 어문연구 40-1, 어문교육연구회
朴秉喆, “『朝鮮王朝實錄』에 쓰인 韓國固有漢字 ‘串’에 관한 硏究”, 국어사연구 15, 국어사학회
朴秉喆, “文字 ‘串’에 관한 硏究”, 국어학 64, 국어학회
박보현, “조선 시대 한글 서체의 이해와 교육적 접근”, 한말연구 30, 한말연구학회
박승배, “갑오개혁기 학부 편찬 교과서 저자가 활용한 문헌 고증”, 교육과정연구 30-3, 한국교육과정학회
박영기, “정부수립기 아동문학교육의 기획, 성취: 초등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46, 청람어문교육학회
박용식, 김성주, “땅이름 진주(晉州) 남강(南江)의 통합적 고찰”, 지명학 18, 한국지명학회
박용식・정재영・김성주, “경상대학교 소장 고종, 명성황후 상식, 다례발기에 대하여”, 배달말 51, 배달말학회
박은정, “<명주옥연기합록>의 이본과 영남대본의 가치”, 민족문화논총 51,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박인호, “앙호동・거의동 옛 지명 조사”, 선주논총 15, 금오공과대학교 선주문화연구소
박재연, “한글 필사 고문헌에 나타난 어휘 고찰”, 한국언어문학 82, 한국언어문학회
박재연・최정혜, “조선후기 중국어 회화서 <漢語>의 속담에 대하여”, 어문논집 66, 민족어문학회
박진완,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조선어 학습서의 계통 재고”, 한국어학 54, 한국어학회
박찬규, “『한국한자어사전』에 수용된 이두, 구결, 차자어의 구성과 출전문헌”, 동양학 52,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박창원, “한국어의 형성과 발전”, 영남국어교육 13, 영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박효훈, “『우리말본』 유인본에 나타난 최현배의 체언 체계 및 내용 변천과정 연구”, 새국어교육 91, 한국국어교육학회
방영심, “근대국어 일음절 한자 어근 형용사의 소멸과 변화 양상”, 언어사실과 관점 29,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배영환, “‘야[爲]’의 통시적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 82, 한국언어문학회
배영환, “16세기 국어 어미의 양성모음화 연구”, 정신문화연구 35-4, 한국학중앙연구원
배영환, “19세기 대전 지역 음식 조리서의 국어학적 연구”, 언어학연구 25, 한국중원언어학회
배영환, “현존 最古의 한글편지 ‘신창맹씨묘출토언간’에 대한 국어학적인 연구”, 국어사연구 15, 국어사학회
백두현, “융합성의 관점에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 어문론총 57, 한국문학언어학회
백두현, “음운변화로 본 하생원 『주방문』(酒方文)의 필사 연대”, 한국문화 60,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백두현・전영곤, “『수운정비회유록(睡雲亭悲懷遺錄)』의 원문 번역과 주해”, 국어사연구 15, 국어사학회
백두현・송지혜, “19세기 초기 안동부(安東府)의 『승부리안(陞付吏案) 주방문(酒方文)』연구”, 영남학 22,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백두현・송지혜, “안동부(安東府) 향리 문서 『승부리안』(陞付吏案)의 주방문(酒方文) 주해”, 어문론총 57, 한국문학언어학회
백채원, “부사 ‘같이’에 대한 통시적 연구”, 국어사연구 14, 국어사학회
사재동・사진실,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의 훈민정음 활용과 연행적(演行的) 유통 양상”, 어문연구 74, 어문연구학회
杉山 豐, “『杜詩諺解』初刊本의 成立・印出 年代에 對한 再論: 藏書閣 소장 卷10의 紙背文書에 對한 檢討를 通하여”, 국어사연구 15, 국어사학회
서민정, “조선 시대의 번역 표기에 대한 연구”, 코기토 72,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서신혜, “한국 기독교 초기 출판 서적 소개 ①: 『초학언문』과 『국문독본』”, 문헌과 해석 60, 문헌과 해석사
서신혜, “한국 기독교 초기 출판 서적 소개 ②: 지리 교과서 『민필지(士民必知)』와 『초학디지(初學地誌)』”, 문헌과 해석 61, 문헌과해석사
서형국, “수식과 수식 단위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인문학연구 21,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서형국, “판소리계 고소설의 담화 요인 분석 방법:
성윤아, “근대 일본에서의 조선어회화 학습 열기: 조선어회화서 붐의 실체”, 아시아문화연구 25,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성희제, “충청권 지명 연구의 성과와 과제”, 지명학 18, 한국지명학회
蘇信愛, “국어의 △>ㅈ 변화에 대하여”, 진단학보 114, 진단학회
소신애, “점진적 음변화로서의 ㅅ>ㅿ”, 국어국문학 162, 국어국문학회
蕭悅寧, “『譯語類解』와 『方言類釋』에 나타난 近代漢音系 借用語”, 구결연구 29, 구결학회
손희하, “고지도에 나타난 ‘관매도’ 표기 연구”, 지명학 18, 한국지명학회
宋康鎬, “『삼역총해』의 한글 번역과 판본학적 고찰”, 규장각 40,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신성철, “‘먹다’류 어휘적 대우의 통시적 연구”, 국어학 63, 국어학회
신용권, “≪번역노걸대, 박통사≫의 한어음 표기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언어학 62, 한국언어학회
신종원, “울산 대왕암의 명칭과 유래”, 지명학 18, 한국지명학회
신중진, “어휘 구성소 ‘-알/을-’과 그 화석어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61, 국어국문학회
신하영, “『시의전서』와 『반찬등속』의 국어학적 연구”, 어문학 117, 한국어문학회
심경호, “일본 일광산(동조궁) 동종과 조선의 문장”, 어문논집 65, 민족어문학회
沈保京, “開化期 韓國語學習書 『交隣須知』 表記 硏究”, 어문연구 40-2,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심보경, “국어사 자료 구축을 위한 한국지명 연구목록 데이터베이스: 수도권과 강원권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51, 중앙어문학회
심재기, “세종(世宗)과 훈민정음(訓民正音) (1)”, 한글한자문화 154,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심재기, “세종(世宗)과 훈민정음(訓民正音) (2)”, 한글한자문화 15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심재기, “세종(世宗)과 훈민정음(訓民正音) (3)”, 한글한자문화 156,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심재기, “세종(世宗)과 훈민정음(訓民正音) (4)”, 한글한자문화 157,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안영희, “『洪武正韻譯訓』 훈민정음 표기 ‘ᅨ’의 음운론적 대응”, 구결연구 29, 구결학회
양승민, “필사본 고전소설의 국어사 자료적 활용 방향 탐색”, 국어사연구 15, 국어사학회
양영희, “호・지칭어 형성 형태소 ‘님, 씨’의 기능 변별을 위한 시론”, 한글 297, 한글학회
梁伍鎭, “『老朴集覽』에 보이는 인용 예문과 참고 문헌 고찰 (Ⅱ): <朴通事集覽> (上)을 중심으로”, 국어사연구 15, 국어사학회
양지현, “‘-려고 하(다)’와 ‘-고자 하(다)’의 형성 과정 연구”, 경상어문 18, 경상어문학회
양희철, “향찰 ‘制, 苐, 底’ 해독의 변증”, 언어학연구 24, 한국중원언어학회
양희철, “향찰 ‘齊, 提, 兮’ 해독의 변증”, 인문과학논집 44, 청주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양희철, “향찰 ‘旀, 体’ 해독의 변증”, 인문과학논집 45, 청주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양희철, “향찰 해독에 문학이 연계되는 일례: 향찰 ‘米’ 해독의 어문학적 변증을 통하여”, 국어사연구 15, 국어사학회
여찬영, “국어학자 박창해 교수의 학문 활동 연구 1”, 인문과학연구 18,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연규동・이전경・김은희・김남시, “조선왕조실록 국역본에 나타난 문자(文字)의 번역 문제”, 인문과학 96,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오규환, “‘또한’과 ‘또’의 분포 및 기능 변화와 그 원인”, 국어학 63, 국어학회
옥영정, “『효경간오』, 『효경대의』, 『효경언해』의 간행본과 그 계통 연구”, 정신문화연구 35-1, 한국학중앙연구원
우진웅, “조선시대 간행『畵千手』版本考”, 고인쇄문화 19, 청주고인쇄박물관
위국봉, “韓國漢字音 舌內入聲韻尾에 대한 考察”, 국어학 63, 국어학회
유경민, “『新約全書 국한문』(1906)의 용언의 한자어화”, 국어국문학 162, 국어국문학회
유춘평, “중세 한국어 언해문의 인용문 구조에 대한 한문 번역적 해석”, 인문논총 29, 경남대 인문과학연구소
유필재, “15世紀 後半 국어 율동규칙의 변화”, 국어학 64, 국어학회
이건식, “『華嚴經傳記』 德圓傳과의 내용 비교를 통한 「新羅華嚴經寫經造成記」 語彙의 해독 재고”, 구결연구 29, 구결학회
이건식, “均如 鄕歌 請轉法輪歌의 내용 이해와 語學的 解讀”, 구결연구 28, 구결학회
이건식, “朝鮮 時代 文獻 資料에 나타난 말의 部分 毛色 名稱 借用語의 起源에 대하여”, 국어학 64, 국어학회
이건식, “朝鮮 初期 洞里村名의 國語學的 硏究”, 어문연구 40-4, 어문교육연구회
이광호, “중・근세어 ‘-내’ 부사의 의미”, 우리말글 56, 우리말글학회
이근열, “『훈민정음』 언해의 문법 인식”, 우리말연구 30, 우리말학회
이근열, “영남 지역 지명 연구의 성과와 과제”, 지명학 18, 한국지명학회
이기동, “북한 역사음운론의 내용 분석”, 한국학연구 4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이동석, “겹말에 대한 통시적 연구”, 어문논집 66, 민족어문학회
이동석, “전주역사박물관 소장 ‘한글 음식방문’에 대하여”, 민족문화연구 5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이래호, “언간에 나타난 지명의 용법 고찰”, 한국언어문학 83, 한국언어문학회
이래호, “한글본 <동의보감>의 언해 양상과 국어학적 특징”, 인문학연구 22, 경희대 인문학연구원
이봉형, “‘덕률풍’에서 ‘텔레폰’, ‘유사길’에서 ‘위스키’로: 개화기와 현대 차용어 비교”, 인문과학논문집 49, 대전대 인문과학연구소
이상규, “잔엽 상주본『훈민정음』분석”, 한글 298, 한글학회
이상혁, “남북 통합 국어학사 서술의 필요성과 과제: 일제 강점기 ‘조선어학’의 학문적 계보와 국어학사 서술의 단절을 넘어”, 아시아문화연구 26,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이상훈, “규장각 소장 한글 필사본 『오륜행실』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규장각 41,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이상훈, “중세한국어의 ‘현마’”, 국어사연구 15, 국어사학회
이세창, “최적성이론에 입각한 국어의 하향이중모음체계에 관한 연구: 역사적 변천과정의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 37-3, 한국언어학회
이순미, “≪老乞大≫・≪朴通事≫ 및 元雜劇 漢語에 보이는 몽골어의 영향: 접미사 ‘家’, ‘裏’를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총 52, 중국어문연구회
이순미, “≪老乞大≫・≪朴通事≫를 위한 어휘사전 ≪音義≫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논총 53, 중국어문연구회
이승희, “명령형 종결어미의 역사적 변화”, 국어사연구 14, 국어사학회
이영경, “국어 온도 표현 어휘의 발달에 대하여”, 한국문화 57,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이유기, “서술문 종결형식의 변천 과정”, 국어사연구 14, 국어사학회
이유리, “17〜18세기 초 서사 후게츠도의 조선본 간행”, 문헌과 해석 60, 문헌과 해석사
이윤자, “『老乞大』異本에 따른 表記와 內容의 變化 比較”, 어문론집 52, 중앙어문학회
이은주, “「高麗詞之事」에 나타난 구개음화 양상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81, 한국언어문학회
이재현, “식민지시대 국어학자 최현배의 민족주의적 사상과 학문 연구: 『조선민족갱생의 도』를 중심으로”, 시민인문 22, 경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이전경, “‘爲’자에 현토된 석독표기자와 그 해독”, 구결연구 28, 구결학회
이정옥, “근대 초기 연설교육서에 나타난 근대적 말하기 규범”, 국어국문학 161, 국어국문학회
이종덕・황문환, “흥선대원군이 명성황후에게 보낸 한글편지”, 문헌과 해석 60, 문헌과 해석사
이준환, “『자전석요(字典釋要)』의 체재상의 특징과 언어적 특징”, 반교어문연구 32, 반교어문학회
이준환, “18세기 국어 현실 한자음의 대응 및 변화 양상”, 구결연구 28, 구결학회
이준환, “池錫永 《言文》의 표기, 음운, 어휘의 양상”, 국어학 65, 국어학회
이지영, “『燕槎日錄』한글본에 대한 고찰”, 국어사연구 15, 국어사학회
이지영, “『孝經諺解』 이본에 대한 비교 연구”, 정신문화연구 35-1, 한국학중앙연구원
李賢熙, “權悳奎의 생애와 그의 국어학적 업적에 대한 한 연구”, 규장각 41,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임기영, “『扈聖原從功臣錄券』에 관한 書誌的 고찰”, 고인쇄문화 19, 청주고인쇄박물관
임상석, “1910년대 작문교육과 한문고전”, 작문연구 14, 한국작문학회
임용기, “동아시아의 구전전통과 문자문화: 훈민정음의 한자음 표기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인문과학 96,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임주탁, “소통 문맥을 통해 본 향가의 특성과 그 의미”, 어문학 118, 한국어문학회
임홍빈, “高句麗 地名 ‘濟次巴衣’의 ‘濟次’와 알타이 語族 假說”, 어문연구 40-1, 어문교육연구회
임홍빈, “고구려 지명 ‘혈구군(穴口郡)’의 ‘구(口)’에 대하여”, 동아문화 50,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아문화연구소
장경준, “고대국어의 표기 연구: 우운(于雲) 박병채(朴炳采) 선생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55, 한국어학회
장숙영, “<박통사> 언해류에 나타난 물음말 연구”, 겨레어문학 48, 겨레어문학회
장요한, “고소설 『구운몽』이본의 종결형식 연구”, 국어사연구 15, 국어사학회
장요한, “중세국어 [종결어미커니와] 접속 구성의 문법과 변화 양상”, 언어와 정보사회 17,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장윤희, “국어 종결어미의 통시적 변화와 쟁점”, 국어사연구 14, 국어사학회
정광, “고려본 <용감수경(龍龕手鏡)>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161, 국어국문학회
정민, “『집복헌필첩』과 사도세자 춘방관들의 편지”, 문헌과 해석 59, 문헌과 해석사
정수현, “15세기 관형화 구성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 연구”, 겨레어문학 48, 겨레어문학회
정수현, “협주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오-” 연구: <석보상절>과 <월인석보>를 대상으로”, 한말연구 30, 한말연구학회
鄭承喆, “自山 安廓의 생애와 국어 연구”, 진단학보 116, 진단학회
정승혜, “쓰시마 역사민속자료관 소장의 조선 왜학통사의 한글편지”, 문헌과 해석 58, 문헌과 해석사
정승혜, “영남대(嶺南大) 소장(所藏) 『노걸대(老乞大) 고귀(古貴)727』의 자료적 특성에 대하여”, 민족문화논총 51,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정승혜, “朝鮮通事가 남긴 對馬島의 한글편지에 대하여”, 어문논집 65, 민족어문학회
정우영, “중기국어(中期國語) 불전언해(佛典諺解)의 역사성(歷史性)과 언어문화사적(言語文化史的) 가치(價値)”, 한국어학 55, 한국어학회
정윤철, “『老乞大』・『朴通事』의 문법 연구 방법론에 대한 제언”, 외대논총 38, 부산외국어대학교
정재환, “해방 후 우리말 도로 찾기 운동의 내용과 성과”, 한글 296, 한글학회
조국현, “한국의 언어학 연구사 기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메타역사기술론적 접근”, 텍스트언어학 33,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조재형, “‘-良中’의 形成과 變遷過程에 대한 通時的 考察: 中世國語를 中心으로”, 어문연구 40-2, 어문교육연구회
趙宰亨, “用言의 名詞形과 冠形詞形에 介入하는 ‘-ㅗ/-ㅜ’ 의 機能 考察”, 어문론집 50, 중앙어문학회
조태린, “인문학으로서의 국어 연구의 대중화・실용화”, 어문학 115, 한국어문학회
주수일, “기획투고(企劃投稿): 뜻글자와 소리글자”, 한글한자문화 154,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차재은, “소사(召史)의 변천에 대한 연구: 전산화된 단성 호적을 중심으로”, 한국어학 55, 한국어학회
채완, “최초로 출간된 불한사전 『법한뎐』연구”, 어문논집 51, 중앙어문학회
최경봉, “국어학사에서 유응호(柳應浩)의 위상과 계보”, 한국어학 54, 한국어학회
최경봉, “근대적 언어관의 전개와 국어정립이라는 과제의 인식 양상: 한국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58,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최경훈, “德源堂本 『三綱行實孝子圖』의 發見과 價値”, 고인쇄문화 19, 청주고인쇄박물관
崔明玉, “중세한국어 곡용어미의 형태론과 음운론”, 진단학보 115, 진단학회
최영미, “<여씨향약언해> 화산본의 성조 연구: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의 성조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말연구 30, 한말연구학회
최우경, “初刊本『陶隱集』의 刊行과 版本”, 고인쇄문화 19, 청주고인쇄박물관
최유숙, “名詞形 語尾 ‘-기’의 分布 變遷에 대한 考察”, 인문과학연구 33,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최은지・이승연, “中國語圈 學習者들의 ‘敍述性 名詞接尾辭’ 構成 語彙의 使用 樣相”, 어문연구 40-4, 어문교육연구회
최정진, “1960년대 이전의 문법에 반영된 한국어 교착성 인식의 변화 양상”, 어문학 117, 한국어문학회
최중호, “가라어의 흔적을 찾아서”, 한말연구 30, 한말연구학회
최춘태, “기초어 凸의 음운・어형 변화 -[어]계를 중심으로”, 언어과학 19-1, 한국언어과학회
침보경, “開化期 韓國語學習書 『交隣須知』 表記 硏究: 明治14年本 『交隣須知(1881)』와 『校訂交隣須知(1904)』 比較”, 어문연구 40-2, 어문교육연구회
河崎啓剛, “均如鄕歌 解讀을 위한 漢文 資料의 體系的 對照와 巨視的 接近”, 구결연구 29, 구결학회
허경진, 이숙, “19세기 러시아에서 출판된 조선어독본『춘향전』에 대한 연구”, 한국민족문화 45,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허원욱, “18세기 어찌마디의 통어론적 연구”, 한말연구 31, 한말연구학회
허재영, “국어의 범용 어미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 80, 한국언어문학회
허재영, “근대 계몽기 야학의 대상과 교재 연구”, 어문논집 51, 중앙어문학회
허재영, “안서 김억의 언어관과 한글 문법론”, 인문과학연구 35,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홍사만, “「隣語大方」에 나온 특수조사 (1): {는}의 분포와 기능”, 한일언어문화연구 16, 한일언어문화연구소
홍윤표, “『字書輯要』해제”, 국어사연구 14, 국어사학회
홍윤표, “국어사 자료”, 국어학 65, 국어학회
Kim, Phil, “Terminal Suffixes of Spoken Korean in Soviet Korean Novels of Central Asia (1937-1991)”, 한민족문화연구 40, 한민족문화학회
Rainer Dormels, “18세기朝鮮 漢字音의 規範化와 ㄷ-구개음화”, 국제고려학 14, 국제고려학회

<기타>

고영근, “조선어학회 수난 70돌: 조선어학회 수난과 민족어 수호 운동: 일제 강점기의 한글 운동은 국권 회복 운동이었다”, 새국어생활 22-3, 국립국어원
고운기, “향가와 한글”, 나라사랑 121, 외솔회
김동진, “한국인보다 한글과 한국을 더 사랑한 ‘헐버트’”, 한글새소식 481, 한글학회
김석득, “빛나는 업적을 기리며”, 나라사랑 121, 외솔회
김석득, “외솔 최 현배 선생과 공 병우 선생”, 한글새소식 475, 한글학회
김슬옹, ““훈민정음”(해례본) 원본 검증 필요성”, 한글새소식 484, 한글학회
김슬옹, “외솔의 <조선민족 갱생의 도> 동아일보 연재 서지 정보에 대하여”, 말과 글 133, 한국어문기자협회
김슬옹, “이 극로, 우리말 사전 편찬의 선구자”, 한글새소식 479, 한글학회
김슬옹, “최현배, 우리말 문법, 한글 전용의 꿈”, 말과 글 132, 한국어문기자협회
김종택, “영원한 민족주의자 고루 이 극로 선생”, 한글새소식 482, 한글학회
민현식, “우리 말글의 위기와 희망: 올해는 조선어학회 항일 투쟁 70돌 기념의 해”, 한글새소식 480, 한글학회
박용규, “조선어학회 사건이 지니고 있는 역사적 의미”, 한글새소식 474, 한글학회
박용규, “최초의 국어사전 편찬가 문 세영의 생애와 업적”, 한글새소식 476, 한글학회
박종국, “세종대왕의 민본 자주 정신과 위업 (3)”, 한글새소식 473, 한글학회
송현, “마산의 이름값을 모르고 이 은상 선생을 푸대접하는 마산 사람들”, 한글새소식 484, 한글학회
오동춘, “도산 정신과 애국가”, 한글새소식 482, 한글학회
이익섭, “그분을 그리며: 일석 이희승 선생”, 새국어생활 22-4, 국립국어원
이종수, “이 극로, 한글과 함께한 치열했던 삶 (1)”, 한글새소식 474, 한글학회
이종수, “이 극로, 한글과 함께한 치열했던 삶 (2)”, 한글새소식 475, 한글학회
하치근, “눈뫼 허 웅 선생 기념사업 추진에 부쳐”, 한글새소식 473, 한글학회
홍현보, “‘언문’이 생기기 전의 용례”, 한글새소식 479, 한글학회